• 제목/요약/키워드: Test Anxiety

검색결과 1,466건 처리시간 0.029초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시험불안,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Impact of Self-Esteem and Test Anxiety on Mental Health in students of Dental Hygienics)

  • 최혜정;전수경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7-87
    • /
    • 2012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paper add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self-esteem and the mental health levels of freshmen and third year students of Dental Hygienics. In late 2011, we received a total of 298 questionnaires from freshmen and third year Dental Hygienics students of three South Korean universities, located specifically in Seoul and Gyeonggi-do. The timing of this questionnaire was significant because it was one week prior to midterm examin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ge (t=3.017, p<.001) and grade(t=2.665, p<0.05), subjective health status(t=27.513, p<.001). 2. The lower the participants' reported mental health in general, the higher their level of test anxiety (r=.565, p<.001), broken down into two subdivisions: cognitive text anxiety (r=526, p<.001) and emotional test anxiety (r=.534, p<.001). 3. When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general mental health of participants, there were age differences. For first year students, their subjeetive health status (${\ss}$=-.300, p<.001) and test anxiety (${\ss}$=.530, p<.001) were significant. For third year students, this was also true (subjective mental condition: ${\ss}$=-.242, p<.001 and test anxiety: ${\ss}$=.350, p<.001) but self-worth was also significant (${\ss}$=.377,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key factors that influence the mental health level of students Dental Hygienics are test anxiety, subjective appraisal of health level, and general self-worth. A systematic approach is therefore needed to improve students' mental health and reduce test anxiety. Health management programs which address and test students' physical health will also be important in improving student performance and welfare.

  • PDF

CT검사 시 다양한 매개변수와 환자의 불안 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 Various Parameter for the CT Test and the Patients-Anxiety of Factor Related)

  • 백철오;한만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2호
    • /
    • pp.149-156
    • /
    • 2011
  • 본 연구는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이하 CT)검사 환자를 대상으로 요인별 불안에 따른 지각과 반응의 정도를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CT검사 환자의 검사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0년 7월부터 2010년 9월까지 3개의 대학병원 영상의학과에서 CT검사 환자 26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CT 검사 대상자의 불안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변량 분석으로 독립변수의 CT검사 관련 특성에 따른 CT검사 요인별 불안은 환자의 방사선 노출, CT검사 이유, 질병상태 인지여부, 비용 부담자, 경제적 부담, 충분한 설명, 설명 주체에 따른, 내시경 조직검사 유무, 사전 처치에 따른, CT검사 이전에 따른, CT부작용 경험에 따른, 조영제 부작용에 발생에 따른 요인으로 나뉘어지고 종속변수의 불안 요인은 신체적 요인, 병원종사자 요인, 병원환경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나뉘어 SPSS WIN(ver. 1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CT검사 환자의 요인별 불안의 지각과 반응의 정도가 경제부담, 상태불안, 전처치 불안, 방사선 노출 불안, 부작용 불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검사의 전처치와 조영제의 화학적 독성, 부작용에 관한 사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CT검사 환자들의 검사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연구를 기초 자료로 CT검사 환자의 불안정도와 불안요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중재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환자의 경제적 부담이 CT검사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지하고 사회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초등교사의 과학과 교수 유형에 따른 학생의 과학 불안도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nxiety according to Teaching Styles for Science Class)

  • 정재훈;김영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1-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styl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nxiety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styles for science class. Data were gathered through the teaching style test and the science anxiety test. The teaching style test was taken in 293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science anxiety test was taken in 1,523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style for science class were most in provider, expert and least in enabler.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nxiety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style for science class were highest in facilitator and lowest in Enablers.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science anxiety according to the teaching styles in elementary school.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nxiety increased as grade goes up.

예비감각정보가 심도자 검사환자의 대응양상에 따라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paratory Information on the State Anxiety Depending on Coping Styles of Patients Undergoing Cardiac Catheterization)

  • 김조자;김기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648-65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what effect providing the patient with preparatory concrete information had on the state anxiety depending on coping styles of patients undergoing cardiac catheterization. State Anxiety scores for 32 patients who had cardiac catheterization were examined after information was provided about the test using an audio tape. The state anxiety of patients who had a high trait anxiety level was compared to that of those who had a low trait anxiety level. The state anxiety of those who had a monitor type were compared to those of patients who had blunter type. The Trait and State Anxiety Scale of Spielberger, Miller's Behavioral Style Scale, and Krantz's Health Opinion Survey and Visual Analog Scale (Ⅰ, Ⅱ) were used. Finding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difference of the pati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trait anxiety level. Female patients had higher trait anxiety level than male patients. 2. Analysis of state anxiety scores indicated that the mean score of the state anxiety prior to the test was higher than the mean score of the state anxiety examined after the tes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3. Among the patients, 14 patients (43. 7%) used monitor type, while 18 patients (56. 3%) used blunter type. The means of preference for information measured on the Krantz' subscale was 2. 45. 4.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state anxiety level of those who had a low trait anxiety level was low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a high trait anxiety level. 5. State anxiety levels depending upon the kind of coping style which patients used during the tes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study did not identify the influence of preparatory concrete information on the state anxiety depending on coping styles, and there fore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large sample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coping styles is recommended.

  • PDF

청소년의 시험불안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Test Anxiety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 노지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8-46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test anxiety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Method: The subjects were 450 students of two academic high schools in J City, who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1st to 15th 200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0.0 for Windows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 The mean score of test anxiety was 2.40 (range:1.13-3.81) and that of mental health was 2.77 (range:0.64-5.03).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est anxiety and mental health (r=-0.28, p=.000). Test anxie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dolescents' general characters such as gender (t=-1.98, p=.048), grade (F=3.54, p=.030), school life satisfaction (F=10.73, p=.000) and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F=11.60, p=.000).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dolescents' general characters such as religion (t=2.14, p=.032)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4.13, p=.017).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mental health was test anxiety and it, combined with religion, accounted for 9.0% of variance in mental health in adolescents. Conclusion: Test anxiety and mental health was found to be i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adolescents.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needs to reduce their test anxiety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 PDF

시험불안과 정신병리, 기질 그리고 가정환경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시험불안-우울-불안-자기개념-가정환경간의 인과적 관계분석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ST ANXIETY, PSYCHOPATHOLOGY, TEMPERAMENT & FAMILY ENVIRONMENT)

  • 조수철;유태익;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50-63
    • /
    • 1999
  • 서 론:시험불안은 한국의 청소년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불안이라고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의 시험불안은 학습을 촉진시키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학습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시험불안의 요인이나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으나 단편적이며, 시험불안의 정확한 특성이나 원인에 대하여 아직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험불안과 상태-특성불안, 우울증, 기질 그리고 가정환경과의 상호관련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방 법:서울시내 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불안, 우울증, 상태-특성불안, 기질 그리고 가정환경에 대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결 과:시험불안과 우울(상관계수 0.42, p<0.01), 특성불안(상관계수 0.34, p<0.05), 상태불안(상관계수 0.38, p<0.05), 자기개념(상관계수 -0.05, p<0.01), 기질(상관계수 0.36, p<0.05), 그리고 가정환경(상관계수 -0.23, p<0.05)과의 상관성은 모두 의미 있는 정적 또는 부적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회귀분석 결과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시험불안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판정되었으나 우울, 기질 그리고 가정환경은 시험불안에 대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 론: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시험불안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나 우울, 기질 그리고 가정환경은 상태 또는 특성불안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불안에 대한 치료적인 대책을 수립할 때에는 이러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한다. 기질양상의 조기 발견은 부모들에게 의사 소통 장애 아동들의 발달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에게 적절한 양육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주제와 정서 반응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공격적 주제(r=0.28)와 반항적 주제(r=0.29)는 고통의 감정 반응과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사회적 주제는 근심(r=-0.29), 불안(r=-0.43)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정서적인 갈등을 야기하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흔히 보였으며 부모들은 자신들을 도와주는 긍정적인 표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격적 주제를 많이 보이는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서 반응과 부모에 대해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많이 나타냄을 알 수 있다.학적인 면으로는 UHT 처리유의 품질이 저장 9일까지 큰 변화가 없으나, 관능적인 면으로는 이취의 발생으로 인한 품질 저하가 유발된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LTLT와 HTST 처리유의 경우는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미생물적인 면과 괸능적면 모두를 감안한다면 현재의 유통기간 5일이 LTLT나 HTST 처리유에게는 적합한 것으로, UHT 처리유에게는 5일 이상도 가능하리라 사료된다.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과잉행동성과 음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잉행동성과 충동성, 강박성, 야뇨증, 자기파괴적 행동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의 강박증상의 정도와 과잉행동성, 수면장애, 자기파괴적 행동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저자들은 외래에 내원한 뚜렛장애 환자의 임상적 특성이나 동반된 행동상 문제들이 이전 연구와 크게 상이하지 않음을

  • PDF

초등학교 중학년용 불안 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Anxiety Inventory for Middle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 김세영;은혁기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2호
    • /
    • pp.195-21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중학년의 불안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를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초등학교 중학년 불안의 구성내용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문항을 구성하여 검사를 개발하고 둘째, 초등학교 중학년용 불안검사 문항이 학생들에게 명확하게 이해가 되는지, 셋째 그 신뢰도와 타당도가 적절한지를 살펴보았다. 이 결과 초등학교 중학년용 불안검사는 초등학생의 일반불안, 대인불안, 학업불안, 시험불안, 발표불안과 관련된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으나 하위요인별, 세부영역별로는 차이가 있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는 적합하여 불안검사를 제작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쓰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는 기존의 검사도구의 단점을 보완하여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이 겪는 불안의 특성을 밝히고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적용대상을 불안 형성시기이자 가장 큰 불안을 겪는 중학년 아동들로 하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학년 아동 개개인의 불안에 관한 기초선을 측정하여 불안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지도와 상담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 PDF

시험 불안의 치료 - 이론적 배경 - (TREATMENT OF TEST ANXIETY -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reatment of Test Anxiety -)

  • 백영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49-55
    • /
    • 1991
  • 시험 불안은 인지적인 worry와 정서적인 emotionality 2요소를 갖고 있으며 상황에 특정한 인격 성향으로 정의되어 왔다. 정서적, 인지적 요소를 수정하려는 정도에 있어서 여러 치료가 다르고, 여러 치료가 치료적 기술의 영향이 예상된 궤적에 근거해서 인지-정서 연속선상에 따라서 놓여질 수 있게 되었다. 인지-정서 연속선상에 놓여진 여러 치료들과 학습 습관, 시험 치루는 기술과 모델링등이 검토되었다. 최근 시험 불안 치료 연구를 고찰하여 본 결과, 대부분 인지적 치료가 정서적 치료보다 시험 불안을 감소시키고 worry와 emotionality를 감소시키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 PDF

간호대학생의 국가고시 관련 시험불안,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Impact of Self-Esteem and Test Anxiety on Mental Health among Nursing Students Taking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Registered Nurses)

  • 이선혜;김진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7-185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306 nursing students in a dormitory for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registered nur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through the SPSS WIN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ean for test anxiety was $79.70{\pm}18.74$ points, the degree of self-esteem was $28.26{\pm}5.02$, and mental health was $24.31{\pm}13.07$. In the correlation analysis, mental heal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st anxiety (r=.559, p=.000)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r=-.141, p=.013). Test anxiet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explained 36.4% of mental health. Conclusion: This finding of this study recommends that test anxiety control and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ment for mental health promotion in nursing students taking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registered nurses.

중학교 학생을 위한 수학불안 검사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nxiety T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이소라;구예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69-489
    • /
    • 2020
  • 중학교 학생은 수학불안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중학교 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검사도구의 필요성에 따라 중학교 학생을 위한 수학불안 검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수학불안의 하위 요인을 설정하였으며 각 요인에 해당하는 문항을 제작하였다. 두 번의 파일럿 검사를 통해 문항의 적합성 및 타당도를 분석하여 일부 문항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문항을 사용하여 중학교 학생 255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고, 24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최종 개발된 검사도구는 하위 요인 6개, 총 3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학불안의 정도에 대한 준거를 함께 제시하여 학생의 수학불안에 대한 정보를 학생과 교사, 학부모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