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restrial laser scanner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9초

지상 라이다를 활용한 현황측량 연구 (The Study on Reconnaissance Surveying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er)

  • 이인수;강상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9-86
    • /
    • 2006
  • 현재 3차원 지상 레이저 스캐너를 통해서 짧은 시간에 대상물의 수많은 위치에 대한 고정도의 3차원 좌표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최근에 지상 레이저 스캐닝은 측지분야를 포함하여 토목공학, 고고학 및 건축, 그리고 응급서비스 및 국방, 기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상 라이다를 이용한 현황측량을 다루었으며, 실험측량 결과 대상물의 선형 특징추출이 가능하였으며 토탈스테이션 측량성과에 필적하는 위치결정 정확도를 얻었다. 이를 통해 향후 항공 라이다와 항공사진측량기술과의 결합에 의해 지상 레이저 스캐닝의 잠재응용분야는 더욱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건축물의 3차원 경계 추출 (3D Boundary Extraction of A Building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er)

  • 이인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53-65
    • /
    • 2007
  • 지상라이다는 고정도의 3차원 영상을 제공하고 레이저빔을 현장이나 대상물에 발사하여 짧은 시간에 수백만점의 3차원좌표를 기록할 수 있는 최신 측량장비로서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아파트 건축물의 3차원 경계 추출을 다루었다. 실험측량결과 지상라이다로 아파트건축물의 3차원 경계를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었지만 지상기반시스템이므로 건축물 지붕 그리고 나무, 전주 때문에 건축물 저층부에서는 이것이 쉽지 않았다. 향후 토탈스테이션, 지상라이다, 항공라이다와 항공사진측량과의 결합을 통해 효율적인 3차원공간정보 획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valuation of Geometric Error Sources for Terrestrial Laser Scanner

  • Lee, Ji Sang;Hong, Seung Hwan;Park, Il Suk;Cho, Hyoung Sig;Sohn, Hong Gyoo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9-87
    • /
    • 2016
  • As 3D geospatial information is demanded, terrestrial laser scanners which can obtain 3D model of objects have been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structural analysis, and disaster management. To acquire precise data, performance evaluation of a terrestrial laser scanner must be conducted. While existing 3D surveying equipment like a total station has a standard method for performance evaluation, a terrestrial laser scanner evaluation technique for users is not established. This paper categorizes and analyzes error sources which generally occur in terrestrial laser scanning. In addition to the prior researches about categorizing error sources of terrestrial Laser scanning, this paper evaluates the error sources by the actual field tests for the smooth in-situ applications.The error factors in terrestrial laser scanning are categorized into interior error caused by mechanical errors in a terrestrial laser scanner and exterior errors affected by scanning geometry and target property. Each error sources were evaluated by simulation and actual experiments. The 3D coordinates of observed target can be distortedby the biases in distance and rotation measurement in scanning system. In particular, the exterior factors caused significant geometric errors in observed point cloud. The noise points can be generated by steep incidence angle, mixed-pixel and crosstalk. In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er, elaborate scanning plan and proper post processing are required to obtain valid and accurate 3D spatial information.

LAND SLIDE DISPLACEMENT DETECTION USING TIME SERIES DIGITAL SURFACE MODEL ACQUIRED BY A TERRESTRIAL LASER SCANNER

  • Jeong, Jong-Hyeok;Takagi, Masatak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567-569
    • /
    • 2006
  • Recently, the terrestrial laser scanner is considered as useful measurement equipment for acquiring a three-dimensional data. In this study, a terrestrial laser scanner which has +/- 2.5cm accuracy is examined whether the terrestrial laser scanner is reliable to present the tendency of landslide movement. The test area is covered by protection blocks, and they are being moved by landslide movement. Landslide movement was detected by measuring the movement of protection blocks. Totally three scenes of test area were acquired during 2004 and 2006. The three scenes of the protection blocks were registered in global coordinate system, then the landslide movement was investigated. The landslide movement detected in the three scenes wa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landslide movement measured by a total station. Although the measurement accuracy of landslide using the terrestrial laser scanner was worse than the total station, the scanning data showed the tendency of landslide movement of the test area.

  • PDF

3차원 레이저 스캐너용 ND 필터의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ND Filter for Terrestrial Laser Scanner)

  • 양수효;오동근;정중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5-73
    • /
    • 2009
  • The terrestrial laser scanner measures the signal delay time of electronic circuit in EDM(Electronic Distance Measurement) Module for distance measurement. To measure signal delay time precisely, transmitting laser beam of terrestrial laser scanner is divided optically. Therefore, 10% of the laser beam power is entered into the electronic circuit and the others go out through lens. But, measure of delay time is severe in the laser scanner system that the laser beam power is changed dynamically by reflectance of a object, because characters like gain of electronic circuit involving APD(Avalanche Photo Diode) and so on are changed by incident laser beam. Therefore, we adapt ND(Neutral Density) filter that has grid pattern to the laser scanner system to keep constant the incident laser beam pow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imulation program for efficient design of ND filter pattern. Finally, to affirm simulation program, we conduct the experimental test of simulated ND filter that has linearly transmittance change, and we consider the experiment result.

  • PDF

지상레이저스캐너 성능평가를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방안 (Test-Bed Establishment Scheme for Terrestrial Laser Scanner' Performance Evaluation)

  • 이인수;차득기;김수정;김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39-49
    • /
    • 2009
  • 3차원 지상레이저스캐너는 짧은 시간에 대상물의 수많은 위치에 대한 고정도의 3차원 좌표를 얻을 수 있는 장비로서 측지분야를 포함하여 토목공학, 고고학 및 건축, 그리고 응급서비스 및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용되는 지상레이저스캐너 장비는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현재 측량장비로서 공인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지상레이저스캐너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장비 검정과 성능평가를 위한 실외 표준 테스트베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레이저스캐너의 테스트베드 구축과 관련하여 국외 사례를 고찰하여 이를 통해 국내 테스트베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지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의 측정 위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서보 제어기의 연구 (Study of Servo Controller for Improving Position Accuracy of 3D Terrestrial Laser Scanner)

  • 유종욱;정중연;김태형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7-194
    • /
    • 2009
  • 지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있어서 위치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하기 위한 서보 모터의 선정과 서보 모터 FOC(Field Oriented Control) 제어 방식의 적용에 대한 연구이다. 개발 중인 지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360$^\circ$방위각과 270$^\circ$고도각의 스캔 범위를 가지고 있다. 이의 구현은 서보 모터인 방위각 모터와 고도각 모터의 정밀한 서보 모터 제어를 통해 실현된다. 연구 결과 FOC(Field Oriented Control)제어를 통해서 모터의 일정한 토크를 유지하면서 모터의 동작 위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모터 제어는 지상용 3차원 레이저 스캐너뿐만 아니라 로보틱 토털스테이션에도 적용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빈 모형 구현을 위한 지상용 레이저 스캐너와 RTK-GPS의 자료 획득 (Data Acquisition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er and RTK-GPS for Implementation of Beach Model)

  • 이형석;김인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4-63
    • /
    • 2009
  • 해안 침식에 따른 해안선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해빈의 표면 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지상용 레이저 스캐너와 RTK-GPS를 활용하여 해빈 지형을 구현하여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상 레이저 스캐닝을 실시하여 20cm 측점 간격으로 취득된 3차원 자료와 수치 사진으로부터 화상이 피복된 수치표면모형을 생성하였다. 또한 7개월 후에 동일 지역을 1초 수신 간격의 RTK-GPS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하여 1.9cm의 측량 정확도로 해빈 모형을 구현하였다. 계절적으로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해빈 지역에 즉각 대응적이면서 양호한 결과를 요하는 측정일 경우는 지상용 레이저 스캐너의 활용이 가능하며, RTK-GPS는 해빈 모형의 측점수와 관계가 있어 측점을 직접 관측해야 하는 애로사항이 있지만 지상용 레이저 스캐너에서 발생하는 사각지대를 보정하면서 3차원 모형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동해안 해빈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때 RTK-GPS와 지상용 레이저스캐너의 조합 활용하여 해빈 모형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보다 정밀한 방법일 것이다.

  • PDF

지상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한 고건축물의 3차원 모델링 (3 Dimensional Modelling of a Old Architecture Using a Terrrestrial Laser Scanner)

  • 이진덕;도철호;한승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34
    • /
    • 2007
  • 레이저는 단시간에 높은 정밀도로 다량의 측정을 행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며, 이의 구체적인 실현이 지상 LiDAR라고도 불리는 지상레이저 스캐너이다. 본 논문에서는 Z-F 레이저시스템을 사용하여 대상물의 3차원 레이저 측정, Point 데이터의 생성, Registration & Merging, Polygon 데이터의 생성, Surface 데이터 생성의 과정을 거쳐 수행된 고건축물의 3차원 모델링 결과에 대하여 기술한다. 문화재의 보존 및 복원을 위한 자료 기록 및 측정에 있어서 지상 레이저스캐너를 사용한 고건축물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기술은 문화유산의 복원 및 관련분야에 커다란 영향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상LiDAR와 토탈스테이션에 의한 측량성과의 정확도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e Accuracy to the Surveying Data by Terrestrial LiDAR and Total Station)

  • 양인태;신문승;이성구;신명섭
    • 산업기술연구
    • /
    • 제31권B호
    • /
    • pp.9-15
    • /
    • 2011
  • Nowadays, the Surveying field is growing rapidly in terms of technology such as TS(Total Station) surveying, photographic surveying, digital aerial photogrammetry, utilization of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obtaining 3D Coordinate using GPS. But control point surveying, benchmark measuring, and field Surveying are still performed by the engineers in the field. So, 3D yerrestrial laser scanner comes to the fore recently. 3D terrestrial laser scanner can get 3D coordinate about a number of sites of the subject in a short period with high accuracy. This paper compared the accuracy of data from the performance using 3D terrestrial laser scanner with that of TS. It also obtained the geopositioning accuracy result equivalent to the surveying result of TS. With further research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used not only in LiDAR itself but also in various areas like reconnaissance Surveying and construction by combining with TS or other Surveying equip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