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ms definition

검색결과 538건 처리시간 0.027초

해양시설 용어 정의 및 분류 체계에 관한 일고찰 (A Study for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Offshore Units)

  • 임영섭;권도중;이창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689-701
    • /
    • 2017
  • In recent offshore industries, various ambiguous terms have been used without clear definition or classification, causing difficulties in legal, technical, and educational understanding and usage. For an example, the commonly used term of 'Offshore Plant' in Korea is not an universal word technically. There has been no clear technical or legal definition about the 'Offshore Plant' and its classification is also very ambiguous; sometimes it is used to refer offshore oil and gas production platform or it is used to mean offshore renewable power generation plant in some cases. To build a conceptual framework,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classification of offshore units (1) using internationally agreed terms, (2) agreed with the technical classification used by the ship classification society and (3) being able to include not only the current but also future concepts of offshore units.

불교에서 본 무한 개념에 관한 수학적 고찰

  • 이승우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1-46
    • /
    • 2001
  • In the western culture, the definition of infinity and finiteness developed into various features, being combined with classical Hebraism and Hellenism, and after modernism, it has been paralleled with natural sciences within the circle of its tradition, whereas the definition of infinity has been showed in Buddhism, the traditional religion, which has been handed down without scientific consideration, in the eastern culture. This is the most notable characteristics between two hemispheres. In this paper, I will show sameness and differences of these two cultures in terms of defining infinity. Also in terms of examining the definition of infinity and finiteness in the Buddhist principles which has been handed down since 600∼500 B.C. I will show how the definition of Buddhist infinity connect with the mathematical definition of today.

  • PDF

수학에서의 정의 개념 변화에 대한 철학적 분석 (Conceptual Change of Definition in Mathematics: Philosophical Analysis)

  • 이지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3-73
    • /
    • 2011
  • 기하학의 기본용어인 점과 선에 대한 유클리드의 사전적 정의에서 힐베르트의 수학적 정의 개념으로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수학에서의 정의 개념 변화의 인식론적 배경은 바로 수학적 대상의 존재 방식에 대한 실재론, 개념론을 거쳐 유명론에 도달하는 철학적 인식의 변화이다.

중학교 수학에서 도입된 용어 및 기호에 관한 고찰 (A Note on the Terms and Notations Introduced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 김흥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223-257
    • /
    • 2008
  • 수학 학습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 중의 하나인 용어와 기호의 뜻을 올바르게 잘 이해하는 것은 그에 연관된 학습 내용의 이해와 활용에 매우 중요하다. 곧 용어와 기호의 정의는 수학 학습을 해나가는데 중요한 시발점이 되는 것이므로 고대로부터 그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용어와 기호의 변천 상황과 현행 중학교 교과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와 기호들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는데, 변천 상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용어의 표현 변경, 삭제, 생성에 대하여 앞으로도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겠고, 일부 용어와 기호의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이었다. 또, 현행 중학교 몇몇 교과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부 용어의 정의에 대하여는 가능한 한 학습 내용 수준에 맞는 방법으로 서술하도록 해야 하고, 누락되었거나 올바르지 못한 표현은 보완과 수정을 해야만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용어의 정의를 외국의 경우와 비교해 필요한 경우에는 조정을 하고, 용어와 기호 정의의 서술 표현에 따른 차이에서 오는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 용어와 기호의 해설에 대한 지침을 교육과정에 게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에서 정의와 증명 개념 변화에 대한 수학사적 분석 (Historical Analysis of Definition and Proof Conceptions in the Transition from Secondary to Tertiary Mathematics)

  • 이지현;최영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57-65
    • /
    • 2011
  • 이 연구는 학교수학에서 대학수학으로의 이행과정에서 정의와 증명의 변화와 관련하여, 기하학에서 공리적 방법의 발달과정을 분석하였다. 고대 그리스에서 현대수학적인 공리적 방법으로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상수 혹은 변수라는 기본용어의 성격 차이는 중요한 지표이다. 특히 기본용어의 상수에서 변수로의 성격 변화는 수학에서 정의와 증명 개념 및 수학에 대한 인식 변화를 설명한다. 이러한 수학사적 분석은 대학수학의 입문과정에서 형식적 정의와 증명 개념의 의미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초등 수학 교과서에 사용되고 있는 수학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분석 -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Terms Being Us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Centering on the Field of Geometry -)

  • 권유미;안병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7-159
    • /
    • 2005
  • 수학 용어를 바르게 이해하고 가르친다는 것은 수학 학습의 모든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학생들이 수학 교과서에 나오는 수학 용어에 대해 얼마만큼 정확하게 그 의미를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어려움을 느끼는 용어에 대해서는 그 원인을 찾아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수학 교과서 도형 영역에 사용되고 있는 수학 용어를 조사하고 각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분석해 보았다.

  • PDF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erm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권치순;신원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1-147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erms in primary science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higher-grade science textbooks use more types of categories and less definitions for terms. Only 14% of definitions for terms are showed in textbooks, and no more than 0.4~0.6 definitions shows the shortage of definitions for terms in one class content. 2. The definitions by contract, which forms 68%, was the highest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the dictionary definitions, which are 62%, was the highest in experiment-observation textbooks. 3. The most used type of definitions is the way which is used for a case or a indicating methods, and its rate is increasing steadily. And its rate was 76% of the whole of terms. 4. Terms used in energy field are few as compared with terms of other fields. Each field has completely different ways of defining terms and presenting content in textbooks to other fields.

  • PDF

각기둥의 정의 만들기에 관한 지도 사례 연구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A Scheme of the Instruction of Prism Definition for 5th Grade Students)

  • 조영미;박하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17-332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각기둥의 정의 만들기 활동을 위한 학생용 활동지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정의 만들기 수업에서 핵심은, 학습지에 차례로 제시되는 비(非) 예들이 포함되지 않도록 기존의 정의를 수정하여 새로운 정의를 만드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로, 학생들이 각기둥의 성질을 어떻게 인식하며, 비(非) 예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각기둥의 정의에 사용되는 성질들로 무엇이 부각되는지를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정의 만들기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수학적 정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건축 문화재 용어의 법제도적 개념 정의를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for the Legal Definition of Cultural Property Terminology related to the Architecture)

  • 주상훈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5호
    • /
    • pp.27-3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gal definition and usage of cultural property term related to the architecture within the cultural property-related legal system and general legal system, and to present proper terminology and specific concepts that can be used for the architecture as cultural properties. In the current cultural property legislative system, terms about the architecture are diverse and obscure, and the definition of each term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 in the general legal system.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esented the terminology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 as 'a cultural property by construction act' to cover whole cultural properties related to Korean architecture. And the conceptual scope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 is divided into the technology and the performer related to the act, the record and the building related to the product. and Each concept needs to be specifically tailored to its object and scope. Systematic definition of terms for cultural properties related the architecture can positively influence systematization of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empirical research and education on Korean architecture.

미분법 단원에서 용어의 문제 (A Study on the Problem of Terminology in Calculus)

  • 한대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495-507
    • /
    • 1998
  • This article intends to review what problems the terms in calculus have and how those problems are caused. For this purpose We make examinations on the considerations in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terminology, which includes the problems of general and technical terms, the meaning and the boundary of words, their consistency, the name and meaning, concept and their concept images, translations and qwerty effects. And in chapter 3, We analyse the textbook which are currently used, through which I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terms in calculus have some problems, In other words, the key terms such as "differentiable", "differential coefficient", "differential" have their roots in the term "differential" but the term "derived function" is very distinct from other terms and thus obstructs the consistency of terms. And the central term "differential" is being used without clear definition. In particular, the fact that "differential", when used in its arbitrary definition, has the image of "splitting minutely" can be an obstacle to understanding the exact concepts of calculus. In chapter 4, We make a review on the history of calculus and the term "differential" currently used in modern mathematics so that I can identify the origin of the problem connected with the usage of the term "differential". We should recognize the specified problems and its causes and keep their instructional implications in mind. Furthermore, following researches and discussions should be made on whether the terminology system of calculus should be reestablished and how the reestablishment should be made.e terminology system of calculus should be reestablished and how the reestablishment should be ma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