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minal Care Attitud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인식과 영적안녕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ption on Hospice and Spiritual Wellbeing on Terminal Care Attitude of Nursing Students)

  • 김지숙;김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76-383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인식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영적안녕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344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SPSS 21과 AMOS 21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간호대학생의 임종태도는 호스피스인식 및 영적안녕과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에 호스피스인식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들의 관계에서 영적태도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과 웰다잉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ption of Death, Well-Dying, on Terminal Care Attitude among Nursing Students)

  • 김오숙;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63-71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아름다운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을 맞추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웰다잉과 임종간호태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 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 정도는 호스피스 교육경험(F=2.53, p=.012), 가까운 주변 지인의 죽음경험(F=3.37, p=.001), 주관적 건강상태(F=5.37, p=.005)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죽음인식은 웰다잉과(r=.23, p<.001), 웰다잉은 임종간호태도(r=.22,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웰다잉(${\beta}=.19$), 가까운 주변 지인의 죽음경험(${\beta}=.16$)이었다. 따라서 양질의 임종간호태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와 태도가 중요함으로 웰다잉과 죽음인식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Palliative Terminal Cancer Care among Thai Generalists

  • Budkaew, Jiratha;Chumworathayi, Bandi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0호
    • /
    • pp.6173-6180
    • /
    • 2013
  • Background: Our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Thai generalists (general physicians) toward palliative terminal cancer care (PC) in a primary care setting.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total number of completed and returned questionnaires was 63, giving a 56% response rate. Data analysis was based on these (Cronbach's alpha=0.82) and percentages and mean values were assessed using the Fisher's exact test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Results: Overall, attitude and knowledge levels were slightly satisfactory. Results indicated that general physicians had moderate scores in both attitudes (84.1%) and knowledge (55.7%) regarding palliative terminal cancer care. However, they had insufficient knowledge regarding truth telling, pain control and management with morphine, emergency management in terminal cancer care and treatment of fluid intake in terminal stages. Attitude and knowledge scores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p=0.036). Knowledge scores were further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ing taught palliative care in their medical curriculum (p=0.042). Conclusions: Formal education in palliative care and development of palliative care services are very much needed in Thailand to provide holistic care to terminally ill patients.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영성과 임종간호태도 (Nurses' Spirituality and Attitude toward Terminal Care in Geriatric Hospital)

  • 이금재;박연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347-357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 306명을 대상으로 영성과 임종간호태도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노인요양병원에서 임종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3년 9월 3일부터 9월 30일까지 하였으며,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en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성의 차이는 종교, 종교중요성 인식, 임종간호교육경험, 직무만족, 삶의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임종간호태도 차이는 학력, 중교중요성 인식, 임종환자간호경험, 임종간호교육경험, 직무만족, 삶의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영성과 임종간호태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영성정도가 높을수록 임종간호태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for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 임귀연;최소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75-28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for explaining and predicting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The model was based on the stress integration model of Ivancevich and Matteson(1980) a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Method: Data was obtain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22 from 267 nurses in 13 long-term care hospitals in G-do. Results: Results of model verification for this study, revealed that factors directly affecting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were nursing work environment(β=0.43, p<0.001), death anxiety(β=-0.29, p<0.001), and terminal care stress(β=0.22, p=0.003). However, the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dying(β=0.07, p=0.287) had no effect on the terminal care perform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an individual's perceived nursing work environment, continuous education related to terminal care to reduce death anxiety, and an interventional approach for enhancing terminal care performance.

환자의 임종간호 관찰경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웰다잉에 대한 인식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태도 비교 (A Comparison of Awareness to Well-dying,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erminal care Experience)

  • 서연희;이현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430-144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종간호 관찰경험 여부에 따른 웰다잉에 대한 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태도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소재의 4년제 간호학과 대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중 임종간호 관찰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이 관찰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3.011, p<.003). 임종간호 관찰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웰다잉에 대한 인식(r=.194, p=.008)과 사전연명의료의 향서 지식(r=.201, p=.006)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임종간호 관찰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와 웰다잉에 대한 인식(r=.189, p=.029)에서만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질 수 있도록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및 자아존중감이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Death Anxiety and Self-Esteem on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 김원순;조헌하;권수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2호
    • /
    • pp.154-162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과 죽음불안, 자아존중감 및 임종간호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K시와 B광역시 소재 10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21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수행이었으며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임종간호스트레스가 높았다. 이들 변수들은 임종간호스트레스에 대하여 32.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효율적인 인력배치 등의 행정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죽음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종간호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 수행을 제안하는 바이다.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erminal Care Stress in General Hospital Nurses)

  • 박미선;김혜영;김지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8-38
    • /
    • 2019
  •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J시 소재의 일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97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12월 25일부터 31일까지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예측요인은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 이직의도, 존엄사에 대한 태도 및 영성이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은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39.6%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이들 변인을 모두 고려한 구체적인 중재를 개발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말기 암 환아 부모가 경험하는 어려움 (The Difficultie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Terminal Cancer)

  • 강경아;김신정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229-239
    • /
    • 2005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for facing parents of children with terminal cancer. Method: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n inductive and descriptive study. Thirty???]one parents of children with terminal cancer participated in???]depth were interviewed s. C in depth and content analysis was used for analyzing the data. Results: The main categories in the findings were 'difficulties in cop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suffering of children', 'suffering of family', 'bereavement with children', 'economic problems', 'incurable situation', 'preparation of death', 'social isolation', 'coping after a child dies', 'spiritual problems', receiving active treatment', 'informing children of their condition', 'a sense of meaninglessness', 'emotional iunstability', and 'giving up hope'. Conclusion: The main point identified from this result in this study was that parents who have a child with terminal cancer don't never give up the hope of recovery for their child even when the child is in by the terminal stage of their children, even though and they are unwillingly to prepare for their child's death. This is a unique characteristic in the attitude of the families' attitude in child hospice care and differs from that found in adult hospice care. This resul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guide for nurses to in assessing the parents' needs in the terminal care setting.

  • PDF

가정전문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죽음 불안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of Perceptions and Anxiety of Home Health Nurses about Death, on their Attitudes to Terminal Care)

  • 김숙희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1-26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tent to which in-hospital-based home health nurses' perceptions and anxiety about death following terminal care, affects their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Methods: The subjects were 128 advanced practice nurses working in hospital-based facilities for home health care,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3, 2019, to June 3, 201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on terminal care and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 literature.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the Student'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variable stepwise regression using the SPSS Version 25.0 program. Results: The scores of the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of home health care nurses was 3.25 points out of a possible 4 points. Factors affecting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were their concern about death(β=0.45, p<0.001), religion(β=-0.26, p=0.001) and the anxiety of others about dying(β=-0.23, p=0.003), which explained 32.0% of the observed variance concerning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concern about death, anxiety about how other people process dying, and religion, were found to be associated factors. The more concerned the nurses were about death and the less their anxiety about how others process dying, the better the home health care nurses' attitude toward implementing terminal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