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nsile properties

검색결과 5,792건 처리시간 0.037초

알루미나 분말을 혼입한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성질 (Properties of Polymer-Modified Pastes with Alumina Powder)

  • 주명기;이윤수;연규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539-54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응결 시간, 건조수축, 강도, 동결융해저항성 및 흡수율에 미치는 결합재량 및 알루미나 분말 혼입량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SBR 및 PAE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응결 시간은 결합재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폴리머 종류에 관계없이 SBR PAE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건조수축은 결합재량 및 알루미나 분말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폴리머 종류에 관계없이 SBR 및 PAE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인장 및 부착강도는 결합재량 및 알루미나 분말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BR 및 PAE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내구성 지수는 폴리머 종류에 관계없이, 알루미나 분말 혼입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폴리머 종류에 관계없이 SBR 및 PAE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흡수율은 결합재량 및 알루미나 분말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섬유보강 아스팔트 포장의 점탄성 거동연구 (Viscoelastic Behaviors of Geosynthetic-Reinforced Asphalt Pavements)

  • 인식연;김형배;안성순;서영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37-45
    • /
    • 2004
  • 아스팔트 포장은 주행의 쾌적성, 안전성 그리고 시공 및 보수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세계적으로 많은 도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고도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교통량 증가와 차량의 중량화로 야기된 상습적 인 지체와 여름철 고온현상으로 아스팔트 포장의 파손정도가 심화되고 포장수명이 단축됨으로서 유지보수비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국내외에서 아스팔트 포장에 대한 파손 방지대책 및 내구성 증진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한 방법으로 토목섬유와 같은 보강재를 포장체에 삽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포장 표층의 거동을 점탄성으로 분석하였으며 포장체에 삽입된 지오그리드의 설치 위치, 포장단면의 두께를 조합하여 지오그리드의 최적 설치 위치를 알아보고 포장단면의 물성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지오그리드를 기층과 보조기층 사이에 보강하였을 경우. 기층아래에서 발생하는 횡방향 인장응력을 무보강 아스팔트 포장에 비해 29$\sim$56% 정도 감소시켜 균열 발생을 상당히 억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노상에서의 수직 변형률과 최대 전단변형률을 살펴보았을 때 지오그리드를 포장체에 삽입하여 소성변형에 대한 억제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이층 포설 콘크리트 포장의 국내 적용을 위한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기초 물성평가 (Estimation of The Basic Properties of Two-Lift Concrete Pavement to Apply Korea Condition)

  • 원홍상;류성우;홍종용;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47-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포장의 균열, 스폴링 등의 파손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시공사례가 없는 이층 포설 공법의 도입 및 기술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포장공법중 하나인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SFRC,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의 포장 배합 적용성이 검토되었다. 강섬유 함량과 포장 높이가 산정되었으며,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물성 평가를 위해 압축강도, 휨강도, 휨인성 지수, 인장강도, 피로강도를 측정하였다. 슬럼프와 공기량은 대부분이 시방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28일 강도도 교통개방을 할 수준 정도로 발현되었다. 휨강도 실험 결과,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가 무보강 콘크리트에 비해 휨인성은 증가하였지만 휨강도는 증가하지 않았다. 에너지 흡수능력, 피로 저항성 및 동결 융해저항성은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가 무보강 콘크리트에 비해 향상되었다. 향후, 시험시공을 통해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성 및 공용성을 평가할 것이다.

SBR Latex를 이용한 흙 포장의 재료특성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SBR Latex on the Properties of Soil Pavement)

  • 이상염;황성도;양성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73-82
    • /
    • 2014
  •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ptimum addition rate of SBR latex through the evaluation of durability and strength of SBR latex applied soil pavement. Formerly used materials such as fly ash and cement in soil pavement had resulted in decreased durability due to micro crack by heat of hydration and shrinkage crack in winter. However, that agglutinated polymers help adhesion to aggregate increased comes up with preventing the crack opening when the number of capillary tubes of SBR latex get decreased in the hydration process of c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 of the field applicability of soil pavement be conducted through the performance lab test in terms of strength increment, adhesion improvement, and crack resistance based on SBR latex addition rate. METHODS : In order to evaluate the field applicability of soil pavement, SBR latex was added 0 to 3% by 1% increment, with fixed cement contents of 3% and 5%. The resistance of shear failure and crack of soil pavement were evaluated by performing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test and indirect tensile strength test at -20 and $20^{\circ}C$, respectively. RESULTSCONCLUSIONS : It was found out that from both tests, resistance of shear failure and crack were improved with increment of curing time, and especially more than 2% of SBR latex addition rate and 5% cement content gave better results.

이종재료 마찰용접에 의한 초내열합금 대형 배기밸브 스핀들 개발 (Development of Large Superalloy Exhaust Valve Spindle by Dissimilar Inertia Welding Process)

  • 박희천;정호승;조종래;이낙규;오중석;한명섭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9권8호
    • /
    • pp.891-898
    • /
    • 2005
  • Inertia welding is a solid-state welding process in which butt welds in materials are made in bar and in ring form at the joint race, and energy required lot welding is obtained from a rotating flywheel. The stored energy is converted to frictional heat at the interface under axial load. The quality of the welded joint depends on many parameters, including axial force, initial revolution speed and energy amount of upset. working time, and residual stresses in the joint. Inertia welding was conducted to make the large exhaust valve spindle for low speed marine diesel engine. superalloy Nimonic 80A for valve head of 540mm and high alloy SNCrW for valve stem of 115mm. Due to different mater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rmal conductivity and flow stress. on the two sides of the weld interface, modeling is crucial in determining the optimal weld geometry and Parameters. FE simulation was performed by the commercial code DEFORM-2D. A good agreement between the Predicted and actual welded shape is observed. It is expected that modeling will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experimental trials needed to determine the weld parameters. especially for welds for which are very expensive materials or large shaft. Many kinds of tests, including macro and microstructure observation, chemical composition tensile , hardness and fatigue test ,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fy of welded joi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es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ertia welding joints of the superalloy exhaust valve spindle are better properties than the material specification of SNCrW.

미세성형 공정에서 다결정 금속재료의 크기효과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the Size Effects of Polycrystalline Metallic Materials in Microscale Deformation Processes)

  • 김홍석;이용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0호
    • /
    • pp.1463-1470
    • /
    • 2010
  • 미세성형 기술은 다양한 소재의 활용, 높은 생산성과 적은 재료의 손실, 고품질 생산과 같은 기존 소성가공의 장점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크기의 부품생산에 매우 유망한 기술로 간주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매크로 영역에서 축적된 많은 기술과 노하우들은 소재의 크기가 마이크로 단위에 줄어듦에 따라 나타나는 소위 "크기효과"로 인해 미세성형 공정에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영역에서 나타나는 재료거동의 크기효과를 이론적,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다양한 두께의 구리시편에 열처리를 실시하여 결정립의 크기를 다양화 하였고, 인장시험을 통하여 시편의 두께와 결정립의 크기가 유동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러한 크기효과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마이크로 및 매크로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소재의 유동응력 모델을 이론적으로 도출하였다.

미세튜브 열교환기의 장착을 고려한 구조건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Integrity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of a Micro-tube Heat Exchanger)

  • 오세윤;김태진;조종래;정호승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4호
    • /
    • pp.447-45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항공기 엔진에 장착된 미세 튜브형 열교환기의 작동하중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구조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작동 하중은 열-기계하중이 고려되었다. 항공기 엔진 부품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구조적 강성확보뿐만 아니라 고효율, 저중량, 최소체적을 만족하는 형상 설계가 요구 된다. 브레이징한 미세튜브의 기계적물성치 확보를 위해 고온 인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Ansys 12.1의 자체 모델러를 이용하여 형상을 모델링하고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열-구조 연성해석을 통하여 튜브를 제외한 모듈형(modular type) 열교환기에 대한 설계방법을 제시하고 구조적 건전성을 평가하였다.

CF8M 스테인리스 강 저주기 환경피로 실험의 주기적 변형률 경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Cyclic Hardening in Low Cycle Environmental Fatigue Test of CF8M Stainless Steel)

  • 정일석;하각현;김태룡;전현익;김영신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A
    • /
    • pp.17-22
    • /
    • 2007
  • Low-cycle environmental fatigue tests of cast austenitic stainless steel CF8M at the condition of fatigue strain rate 0.04%/sec were conducted at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15MPa, $315^{\circ}C$ of a operating pressurized water reactor. The used test rig was limited to install an extensometer at the gauge length of the cylindrical fatigue specimen inside the small autoclave. So the magnet type LVDT's were used to measure the fatigue displacement at the specimen shoulders inside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autoclave. However, the displacement and strain measured at the specimen shoulders is different from the one at the gauge length for the geometry and the cyclic strain hardening effect. FEM calculated the displacement and the strain of the gauge length from the data measured at the shoulders. Tensile test properties in elastic and plastic behavior of CF8M material were used in the FEM analysis. A series of low cycle fatigue tests simulating the cyclic strain hardening effect verified that the FEM calculation was well agreed with the simulated tests. The process and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so useful to produce reliable environmental fatigue curves of CF8M stainless steel in pressurized water reactors.

  • PDF

크리프-피로 손상된 페라이트기 9Cr 내열강의 미세조직 발달과 자기적 특성 (Microstructural Evolution and Magnetic Property of Creep-Fatigued Ferritic 9Cr Heat-Resisting Steel)

  • 김정석;권숙인;박익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17-425
    • /
    • 2007
  • 보자력 측정을 통하여 페라이트기 9Cr-1Mo-V-Nb 내열강의 크리프-피로변형 동안 미세조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크리프-피로시험은 $550\;^{\circ}C$에서 각각 인장유지시간을 60초와 600초로 하여 수행 하였다. 보자력은 파단 전까지 감소하였고 경도는 파단 시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크리프-피로 수명소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M_{23}C_6$ 탄화물은 오스트왈드 성장기구를 따라서 조대화가 나타났지만 MX 탄질화물은 $550\;^{\circ}C$에서 안정하기 때문에 조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르텐사이트 래스 폭은 래스경계에서의 전위회복으로 인해 증가하였다. 보자력은 전위, 석출물 그리고 마르텐사이트 래스경계와 같은 미세조직적 특성에 영향을 받게 되며 이를 미세조직변화와 관련하여 이해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페라이트기 9Cr-1Mo-V-Nb 내열강의 크리프-피로변형 동안 미세조직의 변화와 손상 정도를 보자력을 통하여 평가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Lactobacillus casei strain C1 attenuates vascular change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Yap, Wei Boon;Ahmad, Faisal Malau;Lim, Yi Cheng;Zainalabidin, Satirah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0권6호
    • /
    • pp.621-628
    • /
    • 2016
  • Hypertension can be caused by various factors while the predominant causes include increase in body fluid volume and resistance in the circulatory system that elevate the blood pressure. Consumption of probiotics has been proven to attenuate hypertension; however, the effect is much strain-dependent. In this study, a newly isolated Lactobacillus casei (Lb. casei ) strain C1 was investigated for its antihypertensive propertie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Lactic acid bacteria (LAB) suspension of 11 log colony-forming unit (CFU) was given to SHR (SHR+LAB, n=8), and phosphate buffer saline (PBS) was given as a control in SHR (SHR, n=8) and in Wistar rats as sham (WIS, n=8). The treatment was given via oral gavage for 8 wee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ekly systolic blood pressure (SBP), mean arterial pressure (MAP),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and aortic reactivity function were remarkably improved after 8 weeks of bacterial administration in SHR+LAB. These effects were mostly attributed by restoration of wall tension and tensile stress following the bacterial treatment.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malondialdehye (MDA) in SHR+LAB serum was found declining. Increased levels of glutathione (GSH) and nitric oxide (NO) in SHR+LAB serum suggested that the bacterium exerted vascular protection through antioxidative functions and relatively high NO level that induced vasodilation. Collectively, Lb. casei strain C1 is a promising alternative for hypertension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