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erature curing

검색결과 1,358건 처리시간 0.044초

보강제에 따른 EPDM의 원적외선 가교 특성 연구 (Effects of Reinforcing Fillers on Far-infrared Vulcanization Characteristics of EPDM)

  • 김정수;이진혁;정우선;배종우;박희창;강동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4권1호
    • /
    • pp.47-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보강제를 혼합한 EPDM 컴파운드의 원적외선에 의한 가교 반응을 조사하였다. 보강제가 원적외선에 의한 가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컴파운드의 발열 온도 및 DSC 분석에 의한 가교도를 측정하였으며, 특히 원적외선에 의한 가교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 조건에서 열풍에 의한 가교 반응을 조사하였다. 원적외선 가교 조건에서 카본블랙을 혼합한 EPDM 컴파운드는 입자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열전도도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원적외선에 의한 가교도 역시 증가하였으나, 열풍에 의한 가교도의 변화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보강제 종류에 따른 원적외선 가교 특성 평가 결과, 열전도도가 높은 아세틸렌 블랙을 함유한 컴파운드의 가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열전도도가 유사한 카본블랙 및 침강실리카의 경우 상대적으로 원적외선 흡수 특성이 우수한 침강실리카 배합 컴파운드의 경우 원적외선에 의한 가교도가 높게 나타났다.

말레무수물로 개질된 클로로프렌 고무와 에폭시화 천연고무의 반응 블렌드에 기초한 자기유변 탄성체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Based on Reactive Blend of Maleic Anhydride Grafted Chloroprene Rubber and Epoxidized Natural Rubber)

  • 최진영;정경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4호
    • /
    • pp.267-274
    • /
    • 2014
  • 가교제 사용 없이 가교반응을 진행할 수 있는 경화시스템에 자기응답 입자를 분산시켜 자기유변 탄성체를 제작하였다. 클로로프렌 고무(CR)와 Maleic Anhydride(MAH)의 열과 압력을 이용한 개질법인 dynamic maleation의 공정을 이용하여 10 phr, $100^{\circ}C$에서 최적의 grafting ratio를 가짐을 FT-IR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개질된 CR-g-MAH와 에폭시화 천연고무(ENR)를 반응 블렌드시켜 가교시켰으며 가교특성은 고무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30 wt%의 ENR를 첨가하였을 때 성형하기 적합한 스코치 시간과 가교속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기응답성 입자(MRP)를 배향시키기 위해 설계 제작한 자기장부여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입자가 배향된 자기 유변 탄성체를 제조하였다. SEM을 통해 MRP의 분산 및 배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방성 자기유변 탄성체의 인장강도는 등방성 자기유변 탄성체보다 낮고, 경도는 높음을 확인하였다.

THE LEVEL OF RESIDUAL MONOMER IN INJECTION MOLDED DENTURE BASE MATERIALS

  • Lee Hyeok-Jae;Kim Chang-Whe;Kim Yung-Soo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60-368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The residual monomer of denture base materials causes hypersensitivity on oral mucosa and intereferes with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ured resin. The amount of residual monomer is influenced by materials, curing cycle, processing method, and etc.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idual methyl methacrylate(MMA) content of injection molded denture base polymer, and to compare this with the self-cured resin and the conventional compression molded heat-cured resin. Materials and Methods: Disc shaped test specimens (50mm in diameter and 3mm thick) were prepared in a conventional flasking technique with gypsum molding. One autopolymerized denture base resins (Vertex Sc. Dentimex. Netherlands) and two heat-cured denture base resins (Vertex RS. Dentimex. Netherlands, Ivocap. Ivoclar Vivadent, USA) were used. The three types of specimens were process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 After polymerization,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the dark at room temperature for 7 days. There were 10 specimens in each of the test groups. 3-mm twist drills were used to obtain the resin samples and 650mg of the drilled sample were collected for each estimation. Gas chromatography (Agillent 6890 Plus Gas Chromatograph, Agillent Co, USA) was used to determine the residual MMA content of 10 test specimens of each three types of polymer. Results: The residual monomer content of injection molded denture base resins was $1.057{\pm}0.141%$. The residual monomer content of injection molded denture base resins was higher than that of compression molded heat cured resin ($0.867{\pm}0.169%$).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1). The level of residual monomer in self cured resin($3.675{\pm}0.791$) was higher than those of injection molded and compression molded heat cured resins (p<0.01). Conclusion: With respect to ISO specification pass / fail test (2.2% mass fraction) of residual monomer, injection molding technique($1.057{\pm}0.141%$) is a clinically useful and safe technique in terms of residual monomer.

광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복합체를 이용한 나노 임프린트 패턴 형성 (Nanoimprinting Pattern Formation Using Photo-Curable Acrylate Composites)

  • 김성현;박선희;문성남;이우일;송기국
    • 폴리머
    • /
    • 제36권4호
    • /
    • pp.536-541
    • /
    • 2012
  • 실리카 입자가 첨가된 광경화성 임프린트용 복합체를 제조하여 실리카 양에 따른 경화 특성과 전사된 수 백 나노미터 크기의 임프린트 패턴 형성에 관한 결함을 조사하였다. 상온에서 UV 경화한 임프린트 레진은 실리카 양이 증가할수록 탄성률이 커지고 수축률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리카 입자의 양이 7 wt% 이상인 경우 전사된 나노기둥끼리 서로 달라붙는 결함을 보이는데, 이는 실리카 입자가 광반응을 방해하여 임프린트 레진의 경화가 불완전하게 되면서 광경화된 레진의 점성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임프린트 레진에 실리카 입자를 충전제로 사용하면 경화 후 나노 패턴의 강도를 증가하여 형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실리카 양이 7 wt% 이상이 되면 오히려 광반응 전환율이 떨어져 임프린트 공정에 의한 나노 패턴의 전사가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Epoxy/PEG/PVdF-HFP] 복합체를 이용한 리튬고분자전지용 화학겔의 제조 및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Gel Based on [Epoxy/PEG/PVdF-HFP] Blend for Lithium Polymer Battery Applications)

  • 김주성;서정인;배진영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544-55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LiPF_6$ 하에서의 에폭시, 폴리에틸렌글리콜, 이미다졸 촉매, ethylene carbonate와 propylene carbonate 1:1 가소제 혼합물을 열 경화하여 [Epoxy/PEG] 고분자겔 전해질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얻어진 [Epoxy/PEG] 고분자겔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PVdF-HFP를 복합화하였다. [Epoxy/PEG/PVdF-HFP] 복합체 고분자겔 전해질은 기계적 안정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복합체의 이온전도도는 복합체의 액체 전해질의 양뿐만 아니라 PVdF-HFP 양에 크게 의존하는 결과를 얻었다. 최적화된 고분자겔 시스템의 상온 이온전도도는 $2.56\times10^{-3}S/cm$를 나타내었다.

1액 경화형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열적,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rm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One-component Curable Hybrid Polyurethane Elastomer)

  • 목동엽;김인수;김동호;김구니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4호
    • /
    • pp.318-3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blocked isocyanate와 하이브리드 기술을 이용해서 1액 경화형 폴리우레탄 탄성체를 제조하였다. 1액 경화형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의 제조를 위해서 hydroxyl group을 포함하는 실리카 하이브리드를 합성하고 입자크기, 형태 및 탄성체 내의 하이브리드 입자분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열해리특성, 기계적 물성, 성형특성을 조사하였다. 1액 경화형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열해리 특성을 평가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열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blocking된 isocyanate의 해리가 더 잘 진행되었다. 합성된 실리카 하이브리드는 직경이 23~27 nm이고 구형이었으며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의 단면을 FE-SEM과 EDS를 사용해서 분석한 결과 하이브리드 입자가 폴리우레탄 분자구조 내에 잘 분산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의 경우에는 하이브리드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우레탄 탄성체에 비해 기계적물성, 내마모성 및 열적특성이 향상되었으며 가소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량 기포콘크리트의 성능향상에 대한 섬유혼입의 영향 (Effect of Fiber Addition for Improving the Propertie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 이경호;양근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3-389
    • /
    • 2015
  • ALC 블록(0.6품) 성능 수준의 습식형 경량 기포콘크리트 배합설계 제시를 위하여 7배합의 섬유가 혼입된 기포콘크리트 배합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화열에 의한 온도균열제어를 위해 결합재에 고로슬래그를 30% 치환하였으며, 기포콘크리트의 균열저항성을 높이기 위하여 PVA 및 PA섬유를 혼입하였다. 고로슬래그를 30% 치환한 결합재는 시멘트 100% 대비 최대 열발생률 및 콘크리트 내부 최고 온도를 각각 28% 및 9% 저감시킬 수 있었다. 실험결과 섬유가 혼입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공극분포, 휨 강도를 고려하면 PVA 및 PA 섬유 $0.6kg/m^3$ 혼입이 추천될 수 있었다.

짧은 섬유상간의 접합을 가진 Silicon Carbide Web 복합재료의 분율별 열전도 거동 (Thermal Conducting Behavior of Composites of Conjugated Short Fibrous-SiC Web with Different Filler Fraction)

  • 김태언;배진철;조광연;이동진;설용건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49-555
    • /
    • 2012
  • Silicon carbide(SiC) exhibits many unique properties, such as high strength, corrosion resistance, and high temperature stability. In this study, a SiC-fiber web was prepared from polycarbosilane(PCS) solution by employing the electrospinning process. Then, the SiC-fiber web was pyrolyzed at $1800^{\circ}C$ in argon atmosphere after it was subjected to a thermal curing. The SiC-fiber web (ground web)/phenolic resin (resol) composite was fabricated by hot pressing after mixing the SiC-fiber web and the phenolic resin. The SiC-fiber web composition was controlled by changing the fraction of filler (filler/binder = 9:1, 8:2, 7:3, 6:4, 5:5).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indicates that at the filler content of 60%,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highest, at 6.6 W/mK, due to the resulting structure formed by the filler and binder being closed-packed. Finally, the microstructure of the composites of SiC-fiber web/resin was investigated by FE-SEM, EDS, and XRD.

주기적인 반복 열하중이 패키징된 FBG 센서 신호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yclic Thermal Load on the Signal Characteristics of FBG Sensors Packaged with Epoxy Adhesives)

  • 김헌영;강동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1권4호
    • /
    • pp.313-319
    • /
    • 2017
  • 광섬유 센서는 전자기 간섭에 독립적이고 원거리 계측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광섬유 브래그 격자(FBG) 센서는 다중화, 절대측정이 가능하여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SHM)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FBG 센서는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구조물에 직접 부착 및 모듈 제작을 통해 적용한다. 하지만, 에폭시로 부착된 FBG 센서 기반의 장시간 모니터링 과정에서 신호 변화가 발생하여 보정이 요구된다. 이는 계절적 요인으로써 장시간 온도 변화 환경에 노출되어 센서의 접착구조 변형에 의한 결과이며, 센서 접착제의 열경화 과정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패키징 방식 4가지 경우의 FBG 센서 시편을 제작하고, 반복 열하중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상온경화 과정에서 미소한 잔류 압축 변형률이 발생하였고, 반복 열하중 초기단계에서 수백 ${\mu}{\varepsilon}$의 압축 변형률이 인가되어 유지되었다. 이를 통해 FBG를 이용한 장시간 SHM을 위해서는 FBG 센서의 신호에 대한 안정화 과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초기에 투명한 상태인 고분자 분산형 액정셀의 전기 광학 특성 (Electro-Optic Characteristics of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Cell with Transparent State Initially)

  • 김미숙;원해경;송성훈;이명훈;이승희
    • 폴리머
    • /
    • 제28권4호
    • /
    • pp.298-304
    • /
    • 2004
  • 유전율 이방성이 음인 액정과 UV 경화용 단량체를 사용해 초기에 투명한 상태인 고분자 분산형 액정 (PDLC)셀을 제작하였고 그 셀의 전기 광학 특성을 연구하였다. 액정과 단량체의 비율이 70/30 wt%, 2$0^{\circ}C$의 노광 온도, 198㎽/$\textrm{cm}^2$ 의 노광 세기에서 만들어진 셀이 명암 대비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 조건에서 만들어진 초기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셀은 종래 PDLC 셀과 달리 액정들이 초기에 수직 배향막에 의해 기판에 수직으로 서게 되고 노광에 의해 중합된 고분자는 액정의 배열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아 전압 인가 전에는 입사 된 빛이 통과하게 된다. 전압인가 시에는 전기장에 액정들이 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누우면서 고분자와 액정의 굴절을 차이를 만들어내고 이는 입사된 빛을 산란시킨다. 또한 이러한 초기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PDLC 셀은 기존의 초기에 산란을 일으키는 PDLC 셀보다 우수한 시야각 특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