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iospore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6초

온실조건에서 Ustilago maydis의 소생자 및 동포자 접종에 의한 옥수수 유묘의깜부기병 발병유도 (Smut Induction on Corn Seedlings by Indoculation of Sporidia and Teliospores of Ustilago maydis in Greenhouse Conditions)

  • 김충회;이현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91-296
    • /
    • 1996
  • 옥수수 유묘접종시 깜부기병이 가장 잘 발병하는 조건은 4엽기 옥수수묘를 10\ulcorner~10\ulcorner/ml 농도의 소생자 현탁액으로 경엽살포한 후 28~3$0^{\circ}C$의 습실상에서 24시간 둔 후 꺼내어 온실에 두었을 때였다. 유묘의 엽기가 이보다 어리거나 접종원 농도가 이보다 높을 때, 혹은 습실상내 처리기간이 길어지면 접종후 유묘의 이른 고사를 초래하였다. 또한 습실상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깜부기병의 발병정도도 감소하였다. 깜부기병의 발생은 소생자 현탁액의 경엽살포 및 줄기주사접종에 의해서는 가능하였지만 토양관주에 의해서는 발병하지 않았다. 소생자 현탁액은 별도의 영양원의 첨가 없이도 발병을 잘 유도하였다. 동포자 현탁액을 직접 경엽살포하거나 줄기주사접종하여도 발병하였으나 소생자 현탁액접종에 비하여 발병정도가 현저히 낮았다.

  • PDF

18S 리보좀 RNA 부분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효모성 균류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Yeast-like Fungi Deduced from Partial Sequences of 18S Ribosomal RNA)

  • 정수진;신용국;주우홍;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4호통권75호
    • /
    • pp.310-317
    • /
    • 1995
  • 담자성 효모와 담자균계의 yeast-like 균류의 총 43개 균류의 18S 리보좀 RNA 부분염기배열을 비교하였다. Fibulobasidium inconspicuum은 Filobasidiella neoformans와 밀접한 유연관계를 보였다. Tremella foliacea, Ustilago rabenhorstiana는 각각 다른 계통지를 형성하여 담자균효모와는 독립적으로 진화해 왔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담자균효모는 Ustilago rabenhorstiana 보다 Tremella foliacea에 보다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였다. 한편, 표현형질 즉 색소, 동포자, 사출포자등은 18S ribosomal RNA의 부분 염기서열 분석 결과 계통학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uccinia carthami에 의한 잇꽃 녹병 (Rust of safflower (Carthamus thinctorius) caused by Puccinia carthammi)

  • 박경석;이순구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28-130
    • /
    • 2003
  • 잇꽃 녹병이 2001년 경상북도 의성군 일대의 dltRHc 재배농가에서 발생하였다. 조사지역의 발병엽율은 약 15%이었다. 병징은 잎에 흑갈색의 반점이 생기며 주변이 변색하였고 적갈색의 포자가 많이 형성되었다. 여름포자는 구형 또는 난형을 담갈색이며 크기는 21~23 x 21~25${\mu}m$ 이다. 겨울포자는 난형을 hghkdrkftor 내지 밤색이며 크기는 35~40 ${\mu}m$ 27~33${\mu}m$이며 격막에 의해 나누어진 두 개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자루부분은 무색으로 투명하며 길이는 15~30${\mu}m$ 이었다. 병징과 균학적 특성을 검정한 sruf과 이병을 Puccinia carthami에 의한 잇꽃 녹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Puccinia irdis에 의한 붓꽃 녹병의 발생 (Rust of Iris nertschinskia Caused by Puccinia iridis)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25-127
    • /
    • 2003
  • 2003년 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 야생화 재배포장에서 붓꽃 잎에 녹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처음 잎에 작은 황색의 반점을 형성하며 갈색의 하포자퇴가 약간 부풀어 오르며 표피는 세로로 갈라지면서 갈색 또는 적갈색의 하포자 가루를 형성하였다. 심하게 녹병이 발생된 잎은 말라 죽었다. 하포자는 구형 또는 도란형으로 황갈색 또는 적갈색을 나타내고, 크기는 22~30 ${\times}$ 12~25 ${\mu}m$ 이다. 동포자는 곤봉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밤갈색을 띠고, 크기는 32~54 ${\times}$12~22${\mu}m$이다.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Puccinia iridis에 의한 붓꽃 녹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Uromyces viciae-fabae에 의한 잠두 녹병 (Rust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Uromyces viciae-fabae)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8권3호
    • /
    • pp.162-165
    • /
    • 2002
  • 2002년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잠두 재배포장에서 잎, 줄기, 꼬투리에 녹병이 심하게 발생하고, 조사포장의 발병율은 84.3%이였다 초기병징은 잎에 약간 흰색띠를 두른 작은 반점 모양을 띠며 갈색으로 변하고 주위가 약간 솟아 오르고, 황갈색의 가루가 무수히 많이 형성한다. 심하게 발생하면 조기낙엽이 된다. 하포자는 구형 또는 난형이고 담갈색이며, 크기는 24~38$\times$21~26 $\mu\textrm{m}$이다. 동포 자는 구형 또는 난형이며 암갈색을 띠고, 크기는 22~42$\times$17~27 $\mu\textrm{m}$ 이다. 자루의 색깔은 황갈색 또는 진한 주황색이며, 길이는 52~l16 fm이다. 병원성도 강하였다.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병을 Uromyces viciae-fabae에 의한 잠두 녹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Puccinia belamcandae에 의한 범부체 녹병 (Rust of Belamcanda chinensis Caused by Puccinia belamcandae)

  • 권진혁;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4-56
    • /
    • 2004
  • 2003년 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 야생화 재배포장에서 범부체 잎에 녹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처음 잎에 작은 황색 또는 황록색의 작은 반점을 형성하며 병이 진전됨에 따라 표피가 터지면서 병반부에서 밤갈색의 하포자 가루를 많이 형성한다. 심하게 발생된 잎은 시들고 말라죽었다. 범부체 녹병균의 하포자는 원형 또는 난형으로 황색 또는 황갈색을 나타내었고, 크기는 $21{\sim}46{\times}18{\sim}38\;{\mu}m$였다. 동포자는 곤봉형 또는 긴 타원형이었으며 갈색을 띠었고, 크기는 $32{\sim}64{\times}12{\sim}26\;{\mu}m$있다.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Puccinia belamcandae에 의한 범부체 녹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옥수수 깜부기균에 의한 페닐알라닌의 대사적 분해 (Metabolic Fate of Phenylalanine in the Corn Smut Fungus Ustilago maydis)

  • 현민우;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9-253
    • /
    • 2011
  • Ustilago maydis(옥수수깜부기균)에 있어서 동포자 melanin의 구성성분으로 catecol 계 알려진바 이 물질의 전구체인 benzoic acid의 생성 여부와 그 유래 원천을 추적하고자 phenylalanine의 분해 과정을 조사하였다. 방사성 동위원소가 표지된 L-$^{14}C$-phenylalanine 및 $^{14}C$-trans-cinnamic acid를 첨가한 액체배지에서 균체와 배양액을 대상으로 대사산물을 추적 조사한 결과 trans-cinnamic acid, benzoic acid, 4-hydroxybenzoic acid와 hydroxybenzoic acid derivatives 추정되는 물질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L-$^{14}C$-phenylalanine을 대사하여 매우 천천히 공기 중으로 $^{14}CO_2$를 방출함을 확인하여 phenylalanine을 완전히 분해 할 수 있음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옥수수깜부기균이 benzoic acid를 생성하고 그 유래는 phenylalanine의 분해에서 만들어지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적성병)에 관한 연구 II. 중간기주조사 및 약제방제 (Studies on the Disease of Pear Rust Caused by Gymnosporangium haraeanum SYDOW II. Survey of Juniper Host and Chemical Control of Pear rust)

  • 김승철;김충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07-210
    • /
    • 1982
  • 본 연구는 배나무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생 조사 및 향나무${\cdot}$배나무에 대한 효과적 약제방제방법을 마련코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배나무붉별무늬병균의 동포자퇴 형성은 피라밋드향나무에서 가장 많았으며 참향나무, 향나무, 연필 향나무가 중간, 노간주자무, 둥근향나무는 적었다. 2. 향나무에 대한 살포약제는 Actidione 1000배액의 4월초순${\cdot}$중순의 2회 살포가 가장 좋았으며 약해도 없었다. 3. 배나무에 대한 Bayleton 800배액의 4월순$\~$5월초순의 $2\~3$회 살포는 병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4. 배나무에 대한 약제살포는 강우전에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강우후 살포시기가 지연될수록 효과는 감소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the Infection of Tilletia laevis Kuhn (syn. Tilletia foetida (Wallr.) Liro.) in Compatible Wheat

  • Ren, Zhaoyu;Zhang, Wei;Wang, Mengke;Gao, Haifeng;Shen, Huimin;Wang, Chunping;Liu, Taiguo;Chen, Wanquan;Gao, L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5호
    • /
    • pp.437-445
    • /
    • 2021
  • Tilletia laevis Kuhn (syn. Tilletia foetida (Wallr.) Liro.) causes wheat common bunt, which is one of the most devastating plant diseases in the world. Common bunt can result in a reduction of 80% or even a total loss of wheat productio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 laevis infection in compatible wheat plants were defin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y. We found T. laevis could lead to the abnormal growth of wheat tissues and cells, such as leakage of chloroplasts, deformities, disordered arrangements of mesophyll cells and also thickening of the cell wall of mesophyll cells in leaf tissue. What's more, T. laevis teliospores were found in the roots, stems, flag leaves, and glumes of infected wheat plants instead of just in the ovaries, as previously reported. The abnormal characteristics caused by T. laevis may be used for early detection of this pathogen instead of molecular markers in addition to providing theoretical insights into T. laevis and wheat interactions for breeding of common bunt resistance.

Puccinia sp.에 의한 이팝나무 잎녹병 발생 및 중간기주 보고 (First Report of Rust Disease on Fringe Tree by Puccinia sp. and Its Alternative Host)

  • 유난희;박애란;윤혁준;손연경;이병희;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26권3호
    • /
    • pp.179-182
    • /
    • 2020
  • 2018년 7월 전라남도 강진군의 가로수 전체 이팝나무에 심각한 녹병증상이 발견되어 잎을 채집하였다. 채집한 이팝나무 잎 앞면에서 황색 및 갈색의 병반과 잎 뒷면에서 황색의 녹포자기가 관찰되었고, 현미경아래에서 41.2 ㎛ 크기의 구형 녹포자와 28.84 ㎛ 크기의 구형 하포자가 확인되었다. 이팝나무 녹병균의 부분 small subunit rR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1, 5.8S rRNA, ITS2, 부분 large subunit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나무 녹병균으로 보고 되어져 있는 Puccinia kusanoi와 가까운 근연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2019년 5월 무위사로 이팝나무 주변에 식재된 대나무에서도 녹병 병징이 관찰되었고, 잎 뒷면에서 동포자퇴와 동포자를 확인하였으며, 대나무에서 채집한 동포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이팝나무 녹병균과 100% 일치하였다. 본 논문은 대나무 녹병균으로 알려진 P. kusanoi와 근연관계가 가까운 새로운 종 Puccinia sp. JCK-KCFR1 strain (MT729824)가 국내에서 이팝나무와 대나무를 기주교대하며 녹병을 발생시키는 것을 처음으로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