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escopic dentur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6초

치주적으로 불리한 소수 잔존치에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를 이용한 임상증례 (Clinical Report by using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emovable Partial Denture on a few remaining teeth with severe periodontal disease)

  • 서장원;이청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24-30
    • /
    • 2019
  • 소수 잔존치의 부분 무치악 환자들에 있어 이중관을 이용한 치료의 성공적인 결과에 대해 여러 논문에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이중관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는 잔존치의 치주 상태가 좋지 않고 클라스프 유지 가철성 국소의치가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crown/root ratio > 1) 대체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하악 양측 구치부 상실과 전반적인 치아 동요로 인하여 저작의 어려움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심한 치주질환으로 다수의 치아 발치 후 하악은 전치부 고정성 수복과 자연치의 구강형성을 통해 Kennedy class I 가철성 국소의치로 치료 계획을 하였고 상악은 클라스프 유지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기에 예후가 불분명하여 프릭션 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로 치료를 계획하였다. 이와 같이 보철 치료 완료 후 환자는 잘 적응 하였으며 발음, 저작, 유지, 심미적으로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이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Konus Telescopic Denture의 내관 각도 및 높이에 따른 지대치 및 지지조직의 응력 분석 (Stress Analysis of Abutment and Supporting Tissues by Changing Angles and Heights of Konus Telescope Inner Crown)

  • 방몽숙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9권3호
    • /
    • pp.139-151
    • /
    • 2003
  •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to compar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displacement effecting the abutment or the residual ridge which are transformed by the angle and the heights of the konus denture inner crown when restorating the unilateral konus denture by using the mandibular canine and the 1st premolar as an abutment. The author made 9 different models for different inner crown heights and konus angles. The inner crown height were divided to 5mm, 6mm, and 7mm and konus angles was divided to $4^{\circ}$, $6^{\circ}$, and $8^{\circ}$. And then in each model, 5kg of $15^{\circ}$ mesial load was stressed on the central fossa of the 1st premolar and the 1st molar. The stresses and displacement were measured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ximum compressive strength was shown on the connective area of the abutment and the denture base. 2. As the angle of the inner crown becomes increased,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shown smaller. 3. As the height of the inner crown becomes increased, the maximum compressive strength was shown smaller whil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root apex and the residual ridge showed larger. 4. When the stress was loaded only on the 1st premolar, the more compressive strength was concentrated on the root apex area of the 1st premolar. 5. When the stress was loaded only on the 1st premolar,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concentrated uniformly on the abutment and the residual ridge. 6. When the stress was loaded only on the 1st molar, the maximum displacement was shown on the distal part of the residual ridge.

실패한 이중관 국소의치에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를 이용한 임상증례 (A clinical report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denture with friction pin in a failed double crown denture case)

  • 박종훈;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201-209
    • /
    • 2021
  • 가철성 국소의치 치료 시 유지력을 얻는 방법에 따라 많은 연구와 임상적인 적용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중 한 종류인 이중관 의치는 독일과 스웨덴과 같은 유럽의 나라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는 구강 위생관리의 편의성, 지대치로 교합력의 수직적인 전달, 그리고 지대치들 간의 2차적인 고정과 같은 장점들이 있어 클라스프 유지형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임상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본 증례에서 처음에 환자는 자연치를 이용하여 상악에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의치를 제작하였습니다. 7년 뒤 환자의 불량한 구강위생관리 습관과 정기검진의 부재로 지대치들에 치주염이 발생하였고 5개중 4개의 자연치 지대치를 발치하게 되었다. 남은 1개의 자연치 지대치의 내관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3개의 추가적인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대합치인 하악이 고정성 보철임에도 불구하고 전략적인 임플란트 식립으로 인해 환자는 새롭게 제작된 상악 치아-임플란트 연합 이중관 의치에 적응하였고 만족하였다.

고립된 소수 잔존치 환자에서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의 임상증례 (A clinical case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using friction pin with an isolated few remaining teeth)

  • 손상혁;조진현;조성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80-86
    • /
    • 2016
  • 잔존 지대치의 수가 적은 경우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한 여러 보고에서 우수한 결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치주 상태가 양호하지 않고 고립된 소수 잔존치를 지대치로 이용하여 국소의치로 수복해야 하는 경우에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은 적절한 적응증이 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심한 치주염으로 다수 치아 발치 후 상악은 전치부 고정성 보철 수복과 Kennedy class I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고 하악은 양측성 고립 지대치만 남아있어 클래스프 국소의치로 수복하기에 예후가 불분명하여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를 이용하였다.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의 특성과 효용성을 고찰해 보고자 본 증례를 보고한다.

상악의 소수 잔존치와 실패한 하악의 임플란트 오버덴처의 재수복 임상증례: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법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denture on maxillary few remaining teeth and 2 mandibular implants in case of failed implant overdenture)

  • 하석준;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46-252
    • /
    • 2016
  •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는 지대치 간의 이차고정(secondary splinting), 응력의 수직 방향, 지대치 지렛점(fulcrum)의 내 외관 margin 부위 위치로 인한 지렛대 길이(the length of lever arm)의 감소로 소수 잔존치이거나 지대치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중관(double crown)을 이용한 의치는 치아가 얼마 남지 않은 부분 무치악 환자 뿐만 아니라,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임플란트 오버덴처에 있어서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은 소수 치아가 잔존했고, 하악은 치조골 흡수 및 수축이 심하고 임플란트가 실패한 상태였다. 상악의 소수 잔존치는 치주적으로 불량하였고, 하악에는 2개의 임플란트만을 다시 식립하였다. 이러한 불리한 조건에서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치료를 계획하였다. 1년여 정도의 관찰 기간 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의 효용성을 증명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의과적 문제가 있고 소수 잔존치를 가지는 환자에서의 치주보철 임상증례: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법 (Periodontal prosthesis on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 with few remaining teeth: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with friction pin method)

  • 하석준;이청희;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59-365
    • /
    • 2014
  • 치아가 얼마 남지 않은 부분 무치악 환자들에 있어 이중관(Double crown)을 이용한 치료의 성공적인 결과에 대해서 여러 문헌에서 보고 되고 있다. 이중관 가철성국소의치(Double crown removal partial denture)는 잔존치의 치주적인 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에게 치료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는 특히 치주상태가 좋지 않고,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는 의과적으로 문제가 있는 환자(Medically compromised patient)에게는 수술에 대한 부담 없이 치료할 수 있어 심리적이고 경제적인 이점이 존재한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은 다수의 치아가 잔존하여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이 가능한 상태였고, 하악은 소수 잔존치만 남아있고 치주 상태가 매우 불량하여 잔존치를 이용한 클라스프 가철성 국소의치로는 수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또한 환자는 1년 전에 하악 전치부 부위의 골수염으로 인한 수술병력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악조건에서 하악의 소수 잔존치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는 2년이상의 기간동안 기능적,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중관으로 연결된 자연치와 임플랜트의 악골 내응력분포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분석 (A Study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Tooth/Implant Connected with Konus Telescope Denture Us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 이수옥;최대균;권긍록;우이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81-395
    • /
    • 2008
  • 서론: 임플랜트와 자연치가 혼재하는 증례에 있어서 보철물의 연결여부와 그 결과에 대해 논쟁이 많이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임플랜트와 자연치를 이중관으로 연결했을 경우에 치조골 내에서 임플랜트 주변 조직의 하중에 대한 응력의 양상을 분석하여 자연 치와 임플랜트를 연결하는 보철물의 방식으로 이중관의 사용가능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실험군으로서는 한 개의 자연치아와 한 개의 임플랜트를 이중관으로 연결한 모델을 사용하고, 대조군으로 두 개의 임플랜트를 이중관으로 연결한 모델을 사용하여 응력분포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임플랜트와 자연치 각각 통상적인 금합금을 사용하여 내,외관을 모델링한 후 각각의 외관을 연결한 구조를 형성한다. 내관과 외관은 $6^{\circ}$의 경사도 (taper)로 형성하고 내외관 사이의 공간을 인정하여, 하중을 가했을 경우 내외관 사이에 합금의 마찰력과 변위를 계산하여, 그 결과가 골내 임플랜트의 응력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실험모델을 형성하였다. 하중은 일반적인 저작력의 크기로 임플랜트 부위와 자연치 부위에 각각 부여하여 응력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대조군과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하중 조건은 임플랜트와 자연치아 사이, 임플랜트 후방, 전방부 자연치아의 사이에 하중을 가하였으며, Load case 1, 2, 3로 분류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ANSYS Version 8.1을 사용하여 3차원 유한 요소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성적: 지대주에 가해지는 응력 - 최대 응력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2.4 (Load Case1), 1.02 (Load Case2), 0.46 (Load Case3)배 높게 나타났으며,Load Case3의 경우 대조군의 최대응력이 더욱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전치부 치아의 경우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악골내에 가해지는 응력 - 악골내에서 최대 응력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69 (Load Case1), 1.26 (Load Case2), 1.93 (Load Case3) 배 크게 나타났다 결론: 임플랜트와 자연치아가 혼재된 경우, 이중관으로 상부 보철물을 연결한 경우, 임플랜트만으로 구성된 대조군에 비해, 임플랜트 및 임플랜트 식립 부위의 악골에 가해지는 최대 응력은 1.02 에서 2.4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자연치아의 움직임이 임플랜트의 경부 및 악골 내에 응력을 집중시킨 것으로 보이며, 자연치아가 있는 악골부위에서는 응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경우 자연치아와 임플랜트에서 모든 하중을 받는 것으로 계산하였고, 실제 가철성 의치에서 나타나는 점막의 영향을 배제하였기 때문에, 실제 임상에서는 후방 임플랜트에 미치는 최대 응력의 크기는 2.4배 이하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앞으로, 실제 임상에 적용하였을 경우, 임플랜트에 미치는 영향 및 자연치아에 미치는 결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Clinical outcome of double crown-retained implant overdentures with zirconia primary crowns

  • Rinke, Sven;Buergers, Ralf;Ziebolz, Dirk;Roediger, Matthias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4호
    • /
    • pp.329-337
    • /
    • 2015
  • PURPOSE. This retrospective study aims at the evaluation of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IODs) supported by ceramo-galvanic double crowns (CGDCs: zirconia primary crowns + galvano-formed secondary crown). MATERIALS AND METHODS. In a private practice, 14 patients were restored with 18 IODs (mandible: 11, maxilla: 7) retained by CGDCs on 4 - 8 implants and annually evaluated for technical and/or biological failures/complications. RESULTS. One of the 86 inserted implants failed during the healing period (cumulative survival rate (CSR) implants: 98.8%). During the prosthetic functional period (mean: $5.9{\pm}2.2years$), 1 implant demonstrated an abutment fracture (CSR-abutments: 98.2%), and one case of peri-implantitis was detected. All IODs remained in function (CSR-denture: 100%). A total of 15 technical complications required interventions to maintain function (technical complication rate: 0.178 treatments/patients/year). CONCLUSION. Considering the small sample size, the use of CGDCs for the attachment of IODs is possible without an increased risk of technical complications. However, for a final evaluation, results from a larger cohort are required.

엇갈린 교합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수복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with crossed occlusion using implant fixed prosthesis: A case report)

  • 정병석;전영찬;정창모;윤미정;이소현;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38-346
    • /
    • 2018
  • 엇갈린 교합 환자의 치료 방법은 피개의치, 이중관 의치를 사용하여 치료하거나 결손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교합 지지를 회복해주는 방법이 있다. 잔존 치조골의 양이 양호하고 심미적, 기능적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경우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을 통해 환자에게 적절한 교합지지 및 기능,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증례는 발치 후 심한 치조골 흡수가 동반되어 좌우 엇갈린 교합이 된 환자에서 상악동 골이식술 및 수직, 수평적 치조골 증대술을 실시하였다. 이후, 보철적으로 이상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임시 보철물로 환자의 고유의 기능 및 심미를 평가한 후 이를 반영할 수 있는 double scanning technique을 사용하여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엇갈린 교합을 성공적으로 극복하였으며, 저작 및 심미를 회복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