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 teachers

검색결과 1,137건 처리시간 0.03초

Designing a Micro-Learning-Based Learning Environment and Its Impact on Website Designing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 Almalki, Mohammad Eidah Messfe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335-343
    • /
    • 2021
  • The study aimed to elucidate how to design a learning environment on the premise of micro-learning (ML) and investigate its impact on website designing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Adopting the experimental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achievement test, a product evaluation form, and a test to gauge motivation for achievement.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0.05≥α between the mean scores of the two groups that experienced ML, irrespective of the two modes of presenting the video in the pre-test and post-test, as for the test of websites design skills, product evaluation form, and achievement motivation test. Besides, there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0.05≥α between the mean scores of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that had exposure to ML using the split-video presentation style and the scores of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went ML using continuous video presentation style in the post cognitive test of website design and management skills in favor of the group that had segmented-video-presentation ML. Another salient finding is the nonexist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s at 0.05≥α between the mean scores of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went segmented-video-presentation ML and the grades of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ML with continuous video presentation style in the post-application of the product scorecard of websites designing skills and the motivation test. In light of these salient findings, the study recommended using ML in teaching computer courses at different educational stages in Saudi Arabia, training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teachers to harness ML in their teaching and using ML in designing courses at all levels of education.

피아노 코드 연습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학습 지원 (A technique to support the personalized learning based on the log data of piano chords practicing)

  • 정우성;이은주;최수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91-201
    • /
    • 2023
  • IT기술을 교육 서비스에 접목시키는 에듀테크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음악 교육에서도 다양한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다.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옮아가면서 학습자 맞춤형 학습에 대해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를 위해서 학습자의 숙련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피아노 학습에서 코드 운지법은 반주자가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맞춤형 코드 운지법 학습 도구를 제안하고 코드 운지법 패턴 분석을 통한 활용 방안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학습자의 축적된 코드 연습 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드의 난이도나 학습자의 숙련도를 파악하고, 코드 사이의 유사도에 기반한 계층적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코드 클러스터들을 통하여 보다 향상된 코드 연습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연습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획득하여 맞춤형으로 코드 학습을 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또한 테스트와 같은 부가적인 노력 없이, 연습 시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숙련도와 코드 학습 난이도가 산정되므로 학습자 입장에서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네일미용 교육센터의 온·오프라인 교육수업의 인식과 서비스품질 및 만족도 (Quality of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Services of Nail Art Education Cent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 김은지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83-88
    • /
    • 2022
  • 본 네일미용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는 학생이 늘어나면서 오프라인 교육을 통한 상호작용 속에서 강사와 학생들의 유대관계 형성과 새롭게 등장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매체를 통한 교육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네일미용 교육의 온·오프라인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네일미용 온·오프라인 교육실태 및 서비스 품질과 교육 만족도에 관하여 조사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로는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그 외 지역의 10대에서 50대 이상의 남·여로 불특정 다수 319명을 대상으로 조사 도구는 설문지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 통계프로그램인 SPSS 27.0과 SPSS Macro 3.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네일미용의 온·오프라인 교육 인식이 서비스품질과 교육 만족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정확한 측정의 한계점이 있어 추후 연구에서는 조사지역을 확대하고 온·오프라인 네일미용 교육 수업의 만족도에 교사들의 만족도를 추가하여 비교 및 분석한다면 더 좋은 연구 결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isiting Physical-Computing Experience in an Education Program

  • Lee, Eun-S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279-28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일선 초·중등학교에서 컴퓨터 사용이 필요한 일회성 특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사례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라즈베리 파이로 학생용 PC 기능을 수행하는 교구를 제작한 후 이 교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아두이노 기반 특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특강 프로그램은 K 대학 인근의 3개 초, 중학교에서 적용한 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강에서 활용할 PC 기능의 교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아두이노를 활용한 찾아가는 특강 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셋째, 특강에서 소수 인원을 개별지도 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였다. 넷째, 특강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컴퓨터 사용이 필요한 일회성 특강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피지컬 컴퓨팅 관련 기기를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교수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유익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토픽모델링을 통한 IT 인문학 개념의 정립 (Conceptualization of IT Humanities through Keyword Topic Modeling)

  • 최영미;박남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467-480
    • /
    • 2022
  • 이 논문은 IT 인문학 관련 연구의 동향을 탐색함으로써 IT 인문학이 어떤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디지털 과학기술 IT과 인문학 조합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꾸준히 수행되어온 국내외의 문헌을 통해, IT 인문학의 기원과 배경, 유사 개념을 바탕으로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IT 인문학의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IT 인문학' 및 'IT humanities' 검색어를 활용하여, 2001년 이후 발간 된 학술논문 중 주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KCI급 1,566편, SCI급 64편을 대상으로 주제어의 네트워크 토픽 분석을 실시하였다. IT 인문학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논문에서의 IT 인문학의 의미는 다양한 분야의 IT 정보기술이 인문학의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역량과 관련이 있었다. 토픽모델링 결과는 IT 인문학과 융합하는 분야 대상, 적용되는 형태, 문학·문화와의 연관, IT 인문학의 창출의 네 가지 군집으로 형성되었다. IT와 인문학의 융합은 한 쪽이 다른 한쪽을 도구화하거나 일방적으로 수렴하는 구조가 아닌, 상호 존중에 기초한 협업의 자세로 새로운 사유를 창출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자폐성장애 학생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상황이야기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the Social Story Application Designed to Improve 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ASD)

  • 김소리;강옥려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329-34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학생들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상황이야기 중재 콘텐츠를 담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자폐성장애 학생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요구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성장애 학생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에 심사를 거쳐 등록하고, 현장 교사 10명에게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 교육적 가치, 콘텐츠 구현 기술, 콘텐츠 정보 및 편의성 영역에서 모두 '매우 양호'에 가까운 결과를 얻었으며, 평가 결과에서 제시된 보완해야 할 사항들을 반영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의 사회적 기술 지도와 관련된 소프트웨어가 전무한 실정에서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 활성화에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What was the main factor in successful control of ascariasis in Korea?

  • Seung-Yull Cho;Sung-Tae H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1권2호
    • /
    • pp.103-126
    • /
    • 2023
  • In the l950s, under the legacy of traditional agriculture, Ascaris lumbricoides, spread epidemically in the war-bitten society of Korea. Consensus on the parasite control was drafted in the Parasite Disease Prevention Act, which passed a parliamentary agreement in 1966, and established safe disposal of feces and mass chemotherapy as control strategies. Biannual stool examinations and treating infected schoolchildren were basic scheme of the control activity through which revenue could be secured for organized business. In the 27 years following 1969, a maximum of 16 million stool examinations had been done every year. Cellophane thick smear enabled the task. The infection declined remarkably in the 1970s when industrialization and green revolution proceeded. A population study of A. lumbricoides in the late 1970s helped us better understand its epidemiology. The data also settled down the understandable protest of teachers against the repeated stool examinations. In the 9 years following 1987, the target population was gradually reduced when the egg positive rate was below 0.1%. An article in the Korean Law, stipulating obligatory stool examinations, was made optional. Although the long-term Korean effort of Ascaris control was a success, the effect of mass chemotherapy was not as succinct in terms of lowering reinfection. In the period of control, Korean agricultural technology changed, and the economy grew and supplied sanitary facilities by which the vicious cycle was disconnected. Reduction of morbidity was a benefit of mass chemotherapy, which is the only control method feasible in economically difficult countries. The most important hurdle of parasite control in the 1960s was poverty of general population and limited financial resources in Korea but the society formed a consensus on the priority of intestinal helminthiasis control during the ordeal period. The national consensus in the 1960s was the critical milestone for Ascaris control in Korea. Under the social agreement, application of timely technical and research advancements in parasitology achieved the success of ascariasis elimination.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ascariasis elimination in Korea can be a benchmark for countries where neglected tropical diseases are endemically recycled.

헤세의 다매체적 특징과 상호매체 넘나들기 (Hesse's Multimedia Features and Inter-Media Crossing)

  • 조희주;채연숙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515-523
    • /
    • 2017
  • 문학을 활용하는 실습현장에서는 문학의 전문이 아니라 일부분을 발췌해서 사용한다. 따라서 어느 부분을 기억힌트로 활용할 것인지, 어떻게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관한 실증적인 지침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헤세의 삶 전반과 그의 인물들을 문학치료적인 관점으로 들여다보았다. 첫째, 헤세의 작품 속 인물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자가치유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는 헤세의 모습을 만날 수 있었다. 또한 그는 쓰기, 그리기, 연주하기, 감상하기, 명상하기, 걷기 등과 함께하는 다매체적인 삶을 살았다. 둘째, 연구자는 헤세와 그의 작품을 활용한 문학치료 콘텐츠를 조현병 환자들에게 적용해 보았다. 임상에서 활용한 매체는 헤세의 작품 속에서 추출한 것이었다. 참여자들은 헤세의 작품에 대해 정서적 공감을 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참여자들간의 상호공감나누기도 가능하였다. 헤세가 보여주는 다매체적인 특성과 활용방법은 현대인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고 병리적인 문제를 치유하기 위해서 중요한 인문학적 자원이 될 것이다.

중국 교사 자격증 취득 시험에 대한 반성적 성찰 (A Reflection Study on the Teachers' Accreditation Examination in China)

  • 이효휘;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485-494
    • /
    • 2018
  • 이 연구는 중국 현행 교사자격증 취득 시험과 관련된 특징과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사자격증 취득 시험과 관련된 필기시험과 면접시험의 응시 조건, 시험 내용 등을 분석하였고, 그 특징과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중국 교사자격증 시험은 교육부 확정 각 지역 실행하여, 필기시험과 면접시험을 포함하고 있어, 사범생과 비사범생을 구별하지 않고 심신 조건과 학력 조건을 만족시키는 사람들은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필기시험에서 기본적으로 종합 소질, 교육교학지식과 능력, 교과목 지식과 교학 능력 3과목이 포함되어 있어, 면접시험은 주로 응시자의 기본 소양과 교학 설계, 실시, 평가 등의 교학 기본 기능을 고찰한다. 중국 교사자격증 시험에 대한 문제는 주로 3 가지로 여길 수 있다. 첫째, 응시 조건에서 학력 조건을 중점으로 낮게 요구하고 국적 및 사상을 기본 조건으로 요구하는 것에 대한 한계도 존재한다. 둘째, 교육 실천 능력을 경시하여 필기시험에 의한 교사 자격을 고찰할 뿐이다. 셋째, 면접시험은 합리적이지 않고 표면화가 되어 형식에 그친다.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현장 인식 연구 -미디어를 중심으로- (Focus Group Interview for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utilizing the media)

  • 배수민;윤정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533-54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이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현장의 인식 탐색에 있다. 먼저,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의 실태와 인식, 요구에 대해 유아교육 전문가 로 교수 3인과 유아교육 현장 전문가로 유아교육기관 원장 1인, 원감 1인, 교사 1인을 대상으로 총 6인의 전문가 집단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로 첫째,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의 실태는 전자 칠판, 애니메이션 동요나 애니메이션 동화 등을 활용하여 교육을 하고 있다. 둘째,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으로는 유아들은 미디어 매체와 함께 자라고 있어 이를 단절시킬 수 없으니 유아교육기관에서도 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요구는 교사 교육 또는 연수, 예비 유아교사에게 교육을 함으로써 바람직하게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추후 미디어 활용 유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