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m Effectiveness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36초

인적요인을 고려한 연안해역 위험도 평가모델 비교·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n Risk Assessment Models of Coastal Waters considering Human Factors)

  • 김인철;안광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7-34
    • /
    • 2016
  • 국제기구에서 제시해 온 해양사고 예방대책은 주로 선박의 구조 및 복원성 강화, 선원의 교육 훈련, 해상교통환경 개선에 중점을 둔 것이었다. 해양사고통계를 분석한 결과, 사고는 주로 연안해역에서 인적요인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에 기존의 사고예방대책들이 통계분석 결과에 호응하는지 검토하기 위해 사고조사기법인 SHELL모델에 대입하였다. 결과적으로 연안해역에서 인간과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선박 운항자와 항행여건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간공학적 접근이 필요함이 도출되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의사결정 메커니즘으로써 라스무센의 SRK 피라미드, 사고로 표현된 해상운송시스템의 붕괴에 관한 미국 연안경비대 등의 조사 지침서, 그리고 위험성평가모델인 IWRAP, PAWSA, ES모델, PARK모델과 NURI모델의 장단점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비록 기존의 위험성 평가모델은 항만이나 접근수로에서 유효성이 인정되었다고 하나 연안해역에서는 보완이 필요하며, 선박운항자가 직관적으로 해역의 상대적 위험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위험표시도를 발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선박운항자가 느끼는 정성적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새로운 한국형 모델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LED 조명기구의 함정 적용과 효과분석 (Application and effect analysis of LED luminaires for naval vessels)

  • 조규룡;길경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9호
    • /
    • pp.812-817
    • /
    • 2016
  • 본 논문은 함정용 LED 조명기구의 전기적, 광학적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실증으로 요구사항 만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2012년 함정에 최초 적용된 이후 현재까지 비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함정용 LED 조명기구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하여 한국산업규격(KS), 국방규격(KDS) 및 미 해군규격(MIL)의 요구사항을 비교하여 함정용 LED 조명기구의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형광등기구와 LED 조명기구의 전기적 특성과 광학적 특성을 실험으로 분석하여 요구사항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제시된 함정용 LED 조명기구의 요구사항으로 A1함정에 주 조명등으로 설치되었다. LED 조명기구로 설치된 이후 형광등에 비해 소비전력은 약 40% 감소되었고, 광속은 10 ~ 15% 증가하였다. 또한, 2012년에서 2015년까지 함정 10척에서 약 4,900개의 형광등기구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었고, 약 5.6억원의 절감효과를 확인하였다. 향후 지속적으로 함정에 LED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있어 많은 절감효과가 기대된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훈련이 족저압, 하지 근 기능, 균형에 미치는 융복합적 효과 : 메타분석 (Convergence Effects of Treadmill Training on Plantar Pressure, Lower Limb Muscle Function, and Balance in Chronic Stroke : A Meta-Analysis)

  • 최기복;조성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87-96
    • /
    • 2020
  •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메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트레드밀 훈련의 융복합적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PICOS 기준에 의거하여 문헌을 검색한 후 총 22편의 국내 '뇌졸중', '트레드밀' 관련 연구물을 선정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CM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국내 트레드밀 훈련의 전체 효과크기는 0.661(95%CI: 0.456~0.865)로 중간크기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트레드밀 훈련의 효과를 족저압(1.147), 하지 근 기능(0.875), 균형(0.664)으로 나누어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족저압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추가로 균형은 하위항목들을 나누어 분석하였고, 균형은 TUG(0.553), BBS(0.760), 정적균형지수(0.654)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따라서 트레드밀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한다. 트레드밀 훈련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는 정보, 통신 및 의료기술의 헬스케어 융합을 향한 업계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기존 노면요철 포장 개선 연구 (A study to improve the existing rumble-strip)

  • 류성우;임관;박권제;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77-186
    • /
    • 2009
  • 국내 도로의 주행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000년에 처음으로 노면요철 포장을 도입하였다. 본 공법의 효과가 증명되면서부터 시공물량은 매년 증가하였다. 본 연구진은 기존형태를 개선하여 본선 콘크리트 포장부 시공 시 동시에 노면요철 포장을 설치하는 형식을 제안하였다 노면요철 포장 시공장비를 제작하여 평택${\sim}$음성 고속국도에 시험시공을 하였으며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AASHTO에서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횡방향 정지거리를 산출한 결과, 개선된 노면요철 포장의 횡방향 여유 폭이 0.5m 더 확보되어 기존형태보다 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음도 평가결과, 노면요철 포장이 없는 구간을 주행할때보다 약 $3.5{\sim}9dB(A)$까지 더 크게 소음이 발생하여 졸음을 예방하거나 운전자의 환경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동평가에서는 주로 사람의 안구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 영역대의 진동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행 후 운전자들의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개선된 형태가 기존형태보다 소음이나 진동에서 큰 차이는 없지만 주행상의 안정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선된 공법을 도로에 확대 적용할 경우, 기존보다 교통사고 및 사망자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 PDF

NDSL 웹사이트 분석 및 서비스 품질평가 (Analysis and Service Quality Evaluation on NDSL Website)

  • 이주현;이응봉;김환민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4호
    • /
    • pp.69-91
    • /
    • 2006
  • 본 연구는 NDSL 웹사이트 전반에 대한 이용자 입장에서의 전문가 서비스 품질평가와 측정도구를 이용한 웹사이트 품질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웹서비스의 효율성과 품질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웹사이트 분석의 경우 NDSL 웹사이트의 완성도 분석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이용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웹기반 서비스 품질평가는 데이터베이스 품질평가 항목 중 서비스 품질을 중심으로 검색성 및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이용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검색 후 로딩 속도, 웹사이트 완성도, 사용자 체감, 개인정보보호, 메타데이터의 완성도, 웹사이트 접근성 등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웹사이트 서비스 품질평가 결과, 검색성 및 사용성 부분에서 검색방법과 검색결과 출력기능, 마크 리스트, Full-text 관련 항목에서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지는 않지만 타 정보제공 기관과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의 품질을 보이고 있다.

카지노 보안 및 고객접점 의전 종사자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otional Labor of Casino Employees : Security Team and also Employees who Care Customer Closer)

  • 허태구
    • 시큐리티연구
    • /
    • 제57호
    • /
    • pp.111-135
    • /
    • 2018
  • 카지노 기업에서는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조직목표 달성을 위해 업무시간 내내 실제로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속이거나 표면적인 감정으로 고객을 대하도록 강요하고 이로 인해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며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인적 경영에 있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요인은 조직 유효성과 연관이 있어 장기적으로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지노 보안 및 고객접점 의전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에 따라 증가하는 직무스트레스가 종사원들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력 및 인과관계를 규명한 결과 감정노동과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매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무교육뿐만 아니라 감정조절능력, 공감능력, 대인관계 기술 등 감성리더십 및 감성지능 교육을 실시 및 강화하여 감정노동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카지노 종사원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개인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고 긍정적 감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기존중감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학중점학교의 특성에 대한 질적 탐구 (Qualitative Inquiry of Features of Science Core Schools o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 곽영순;신영준;강훈식;이수영;이성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25-53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과학선도학교인 과학중점학교의 업무담당 교사들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함으로써 과학중점학교가 학생긍정경험에 주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교사 심층면담을 통해 학생의 정의적 태도, 즉 과학긍정경험 향상에서 과학중점학교의 효과성을 가져온 요인을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 측면,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측면, 과학중점학교의 2015개정 교육과정 적용 측면 등에서 탐색하고, 일반학교에 파급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과학중점고의 경우 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열의로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대한 참여도 향상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중점반 이외의 학생들에게도 과학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높아진 실험실 접근성을 통해 학생들의 실험과 탐구 능력 및 연구역량을 향상시키며, 과학수업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의사소통과 협력 등의 역량을 신장하고, 과학에 대한 흥미 체험을 토대로 진로 탐색 및 진로 찾기에서도 효과를 발휘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중점고의 특성을 일반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과학 공부의 가치를 체험할 기회 제공, 선배들을 통해 이공계열 진로 체험의 기회 제공, 팀프로젝트 등을 통한 자기주도적 과학탐구의 기회 제공, 과학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변화 의지의 필요성, 일반고 학생과 교사를 위한 공동실험실 운영 및 실험조교 지원의 필요성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Formulation of a rational dosage regimen of ceftiofur hydrochloride oily suspension by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PK-PD) model for treatment of swine Streptococcus suis infection

  • Luo, Wanhe;Wang, Dehai;Qin, Hua;Chen, Dongmei;Pan, Yuanhu;Qu, Wei;Huang, Lingli;Xie, Shuyu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6호
    • /
    • pp.41.1-41.14
    • /
    • 2021
  • Background: Our previously prepared ceftiofur (CEF) hydrochloride oily suspension shows potential wide applications for controlling swine Streptococcus suis infections, while the irrational dose has not been formulated. Objectives: The rational dose regimens of CEF oily suspension against S. suis were systematically studied using a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model method. Methods: The healthy and infected pigs were intramuscularly administered CEF hydrochloride oily suspension at a single dose of 5 mg/kg, and then the plasma and pulmonary epithelial lining fluid (PELF) were collected at different time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mutant prevention concentration (MPC), post-antibiotic effect (PAE), and time-killing curves were determined. Subsequently, the area under the curve by the MIC (AUC0-24h/MIC) values of desfuroylceftiofur (DFC) in the PELF was obtained by integrating in vivo pharmacokinetic data of the infected pigs and ex vivo pharmacodynamic data using the sigmoid Emax (Hill) equation. The dos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AUC0-24h/MIC values for bacteriostatic action, bactericidal action, and bacterial elimination. Results: The peak concentration, the area under the concentration-time curve, and the time to peak for PELF's DFC were 24.76 ± 0.92 ㎍/mL, 811.99 ± 54.70 ㎍·h/mL, and 8.00 h in healthy pigs, and 33.04 ± 0.99 ㎍/mL, 735.85 ± 26.20 ㎍·h/mL, and 8.00 h in infected pigs, respectively. The MIC of PELF's DFC against S. suis strain was 0.25 ㎍/mL. There was strong concentration-dependent activity as determined by MPC, PAE, and the time-killing curves. The AUC0-24h/MIC values of PELF's DFC for bacteriostatic activity, bactericidal activity, and virtual eradication of bacteria were 6.54 h, 9.69 h, and 11.49 h, respectively. Thus, a dosage regimen of 1.94 mg/kg every 72 h could be sufficient to reach bactericidal activity. Conclusions: A rational dosage regimen was recommended, and it could assist in increasing the treatment effectiveness of CEF hydrochloride oily suspension against S. Suis infections.

Effectiveness after Designation of a Trauma Center: Experience with Operating a Trauma Team at a Private Hospital

  • Kim, Kyoung Hwan;Han, Sung Ho;Chon, Soon-Ho;Kim, Joongsuck;Kwon, Oh Sang;Lee, Min Koo;Lee, Hohyoung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2권1호
    • /
    • pp.1-7
    • /
    • 2019
  • Purpos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how the trauma care system applied on the management of trauma patient within the region. Methods: We divided the patients in a pre-trauma system group and a post-trauma system group according to the time when we began to apply the trauma care system in the Halla Hospital after designation of a trauma center. We compared annual general characteristics, injury severity score, the average numbers of the major trauma patients, clinical outcomes of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mortality rat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nnual patients' average age ($54.1{\pm}20.0$ vs. $52.8{\pm}18.2$, p=0.201), transportation pathways (p=0.462), injury mechanism (p=0.486), injury severity score (22.93 vs. 23.96, p=0.877), emergency room (ER) stay in minutes (199.17 vs. 194.29, p=0.935), time to operation or procedure in minutes (154.07 vs. 142.1, p=0.767), time interval to intensive care unit (ICU) in minutes (219.54 vs. 237.13, p=0.662). The W score and Z score indicated better outcomes in post-trauma system group than in pre-trauma system group (W scores, 2.186 vs. 2.027; Z scores, 2.189 vs. 1.928). However, when analyzing survival rates for each department, in the neurosurgery department, in comparison with W score and Z score, both W score were positive and Z core was higher than +1.96. (pre-trauma group: 3.426, 2.335 vs. post-trauma group: 4.17, 1.967). In other than the neurosurgery department, W score was positive after selection, but Z score was less than +1.96, which is not a meaningful outcome of treatment (pre-trauma group: -0.358, -0.271 vs. post-trauma group: 1.071, 0.958). Conclusion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patient numbers and improvement in survival rat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trauma system. However, there were no remarkable change in ER stay, time to ICU admission, time interval to emergent procedure or operation, and survival rates except neurosurgery. To achieve meaningful survival rates and the result of the rise of the trauma index, we will need to secure sufficient manpower, including specialists in various surgical area as well as rapid establishment of the trauma center.

동물 분자 진단 시장의 동향 (Investigation of the Molecular Diagnostic Market in Animals)

  • 박창은;박성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6-33
    • /
    • 2019
  • 최근 반려동물 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동물용 질병 진단키트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동물 분자진단 개발을 위한 바이오마커의 도입으로 효용성을 재평가하고 있다. 좋은 바이오 마커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어야 하고, 정상 상태와 질병 상태를 구별하고, 다른 질병을 구별해야 한다. 최근 보고된 유전마커나 세포유리 DNA, 순환종양세포, granzyme, 피부종양에 관한 종양마커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타로는 브루셀라증, programmed death receptor-1, symmetric dimethylarginine, periostin, cysteinyl leukotrien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마커는 위험 예측에 사용되거나 질병 진행의 스크리닝, 진단 및 모니터링에 사용된다. 관련 바이오 마커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준은 질병 특이성이며 많은 잠재적 바이오 마커가 실험실 및 시험 연구에서 출현했지만, 독립적인 실험이나 대규모 임상 연구에서 검증이 부족하다. 후보 바이오 마커는 질병과 연관성을 평가하고, 조기 발견, 질병 진행에 대한 바이오 마커의 유효성을 검증하여서 인간 및 동물에게 접목하게 된다. 향후 잘 구조화 된 바이오마커 기반 연구의 효용성을 재평가하고 동물 질병 진단에 도입되는 추세에 맞춰 현장검사에서 활용될 수 있는 키트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요구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