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learning Contents

검색결과 1,254건 처리시간 0.029초

STEAM(융합인재교육)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AM(Science-Technology-Engineering-Art-Mathematics)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 이수기;윤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46-75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융합인재교육)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과 H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34명으로 실험집단 17명과 통제집단 17명 이었다. 실험집단은 8주 동안 STEAM 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과학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전체 과학과정 기술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은 전체 문제해결 능력에서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STEAM 활동 경험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졸업영상에 나타난 영상의미 전달 효과 (The Transfer Effect of Media Image presented Graduate Reflex)

  • 이승복;정선영;전병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1-254
    • /
    • 2006
  • 교육에서의 영상매체의 활용은 교수학습의 방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인성교육 측면, 학교문화측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는 영상을 통한 정보의 전달이 갖는 적용 범위의 보편성, 전달속도, 정보 전달량의 효율성 때문이다. 이러한 영상매체의 효율성을 새로운 졸업문화를 만드는데 이용하고자, 졸업생의 3년간의 생활모습을 담은 졸업 영상을 졸업식에서 보여 준 후, 영상에서 전달하는 의미가 학생들에게 어떤 의미로 생성되며, 졸업생의 행동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자신의 추억을 회상하고 다시금 기억하는 시간을 갖고자 하였던 졸업 영상의 기획 의도가 학생들에게 반영되었으며, 영상을 보면서 함께 웃고 우는 동안 선생님에 대한 고마움과 친구들에 대한 우정이 깊어짐과 동시에 학교에 대한 애교심도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가 치아카빙에 관한 지식, 수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obile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3D Multimedia on Tooth Carving Knowledge,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for Dentistry)

  • 박종태;김지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76-385
    • /
    • 2018
  • 본 연구는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가 치아카빙지식, 수행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치의학 전공 대학생 66명을 대상으로 3D 모델링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실험집단과 텍스트와 삽화로 구성된 2차원 수업자료를 활용한 통제집단에 각각 33명씩 배정하여 실험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차원 수업자료를 활용한 과제정보 집단(통제집단)이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집단보다 치아형태에 대한 이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치아카빙 수행 능력 향상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 집단의 수업만족도가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아형태학 수업에서 3D 모델링을 제공하는 것은 수업만족도를 높여주며, 치아카빙 수행 향상을 돕는 교육콘텐츠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창조경제 확산을 위한 중소기업 임직원의 역량강화방안 : 융합과제발굴을 중심으로 (Capacity Building Measures of SMEs Employee for Spreading the Creative Economy : For focus on Excavation of Convergence Project)

  • 한지원;박기남;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607-614
    • /
    • 2014
  • 중소기업 간 지식 기술 융합의 필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는 요즘, 이를 실천하고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부재하고 고품질의 융합 실천 교육 콘텐츠 보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임직원의 융합과제 발굴역량 강화를 위한 사례중심 교육과정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해 3단계로 연구목표를 세분화하여 제시한다. 1차로 중소기업의 국내 외 융합 동향 및 현황파악 및 융합성공사례 분석을 위한 표준분석 방안을 마련하고, 2차로 중소기업 융합 성공사례 발굴 및 자료수집과 융합 성공 사례 분석을 통한 융합 모형을 개발하며, 3차로 중소기업 임직원 융합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분석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융합 교육을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신제품 새로운 서비스 개발 및 신시장 창출, 중소기업 기술과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재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지식 기술 융합을 통한 글로벌 트랜드 부합 및 기업 경쟁력 강화를 이루고자 한다.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 상업계 고등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Students' Satisfaction Level in Computer Classes Offered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Commercial High Schools)

  • 김미량;신현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37-47
    • /
    • 2005
  •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특기 적성활동의 일환으로 운영되고 있는 컴퓨터 강좌는 학생들의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한편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관련 자격증의 획득을 지원해 줌으로써 다양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컴퓨터 특기적성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만족도 유인요인에 대해 실증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컴퓨터 특기적성 수업의 만족도 또는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다양한 선행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하고, 통계적 분석과정을 통해 유의한 요인들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육적 효과, 개인적 효과 그리고 즐거움 등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환경은 교육적 효과와 즐거움에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컨텐츠의 질도 학습의 용이성과 즐거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한국어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연극 기법 (Educational Drama Skills to Improve the Expressive Ability of Korean Language)

  • 박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72-679
    • /
    • 2015
  • 초창기 한국어 교육이 문법 이해를 중요시했다면 현재 한국어 교육은 원활한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래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교육을 위한 교육연극에 관심이 높다. 교육연극은 실제로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가상적 상황을 만들어 상황에 맞는 단어와 문법을 사용해 볼 수 있으며, 몸짓, 표정 같은 비언어적 표현도 배울 수 있어 실생활에서 자신감 있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데, 이는 한국어 교육이 추구하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활동이 이루어지고, 다른 학습자들과의 협동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면서 사회성과 자신감도 기를 수 있다. 본고에서 교육연극 기법 중 인터뷰하기, 텍스트를 대본으로 바꾸기, 이어질 글을 상상해 대본으로 바꾸기, 역할극, 토론을 활용한 활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활동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좋은 동영상이나 학습 자료들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교사를 위한 연수프로그램을 만들어 연수프로그램에서 배운 교육연극 기법들을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 능력을 키우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국내 환경교육 연구의 동향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of Korea)

  • 노경임;이학동;박현주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1권2호
    • /
    • pp.69-82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rends i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of Korea. In this study, the papers in $\ulcorner$Hwankyungkyoyuk$\lrcorn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ulcorner$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lrcorner$ from the initial number to the latest number were investigated. The category of analysis in this study were the number of papers, research area, method, character, the major targe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ajor targets of research,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papers in $\ulcorner$Hwankyungkyoyuk$\lrcorner$ were 178 and in $\ulcorner$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lrcorner$ were 406(10 of them were rel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2. The research areas of the papers were Environmental Education(52.4%),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19%), Environmental Science(8.5%), Science Education(7.9%), and Social Education(3.2%). 3. The major parts of the method of the papers were literature review(31.7%), survey research(21.2%), and descriptive study(20.3%). 4. More than half of the character of the papers wer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35.4%) and consciousness (17.9%), 5. The major targe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the papers were secondary school students(33.9%)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18.8%). 6. The major targets of researches of the papers were secondary school students(33.8%), teachers(30.0%), the general public(20.0%),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18.8%). 7.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the papers were Values and Attitudes(31.2%), Behaviors and Participations(29.6%), Knowledges and Informations(27.2%), and Skills(12%). 8. The contents of Environment of the papers were waste(27.7%), water quality(15.2%), the whole environment(12.5%), air quality(9.8%), natural environment(5.4%), soil(4.4%), energy(4.4%), and so 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of Korea were needed to be reinforced in the field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e development of learninyg meterals, and teacher education.

  • PDF

초등과학 영재학급 담당 교사의 영재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of Gasses for the Science Gifted in Elementary School)

  • 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252-25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us and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classes for those gifted in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a number of questions were posed to teachers : 27-item-questionnaires were given to 38 teachers of students gifted in science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Incheon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most elementary teachers were in charge of classes containing students gifted in science, but this was the case with only a few secondary teachers. Therefore, it appears to be more necessary to educate elementary teachers who majored in science content and gifted education. 2. In addition, most teacher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the needs, attitudes and environments needed for gifted education. Most of them attended 60-hour training programs on gifted education. They thought that it wa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but they wanted to learn more about actual pedagogical methods through such programs. 3. The teaching methods used in classes for those gifted in science were mainly experimental activities, but there were few opportunitie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project learning. This may be due to limited class time of about one hour every two weeks in this class. 4. When the materials used in class were first developed, they mainly used materials made by the city board of education and selected the theme of interest by themselves. Therefore, there may be problems of duplication of materials or systems regarding the science contents for one year. 5. Furthermore, the themes of the materials used were mostly related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extbooks than more generally. When planning and managing the classes for those gifted in science, the above point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 of those students gifted in science.

  • PDF

17-18세기 조선산학의 교육과정적 특징 고찰 (A Study on the Features of the Curriculum of Chosun-Sanhak in the 17th to 18th Century)

  • 최은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409-428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산학의 내용적 변화가 관찰되는 17-18세기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산학의 교육과정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문헌분석 결과, 17-18세기의 조선 산학교육에서는 실용적 차원뿐 아니라 심성함양 차원의 목적이 존재하였으며, 교수 학습방법과 평가 항목에서는 15-16세기와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 반면 내용 체계에서는 위계성이 강화되고 기하 영역의 비중이 높아지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이 시기의 조선산학서에서 유럽수학의 유입을 확인하였으며, 중국산학의 영향권에서 조금씩 벗어난 조선산학의 고유성의 면모를 관찰하였다. 이와 같이 이전 시기와 차별화되는 교육과정적 특징들이 다수 관찰되는 17-18세기는 중국산학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 조선산학의 고유한 발전이 있었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 PDF

전북농촌 여성노인 A의 생애구술에서 드러난 삶의 원동력 (An Authobiographical Narrative Interview Study on Life-Driveing Forces of A, a Female Farmer from Chonbuk Rural Area)

  • 오마리아;김하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95-303
    • /
    • 2009
  • 본 연구는 전북농촌에서 평생 살아온 여성노인 A의 삶의 주제를 찾아본 생애구술사 연구이다. 약 40여회의 면담에서 드러난 A 삶의 주제는 본인의 자율학습과 자식교육을 향한 끊임없는 노력인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는 어려서 야학당에 다니며 공부를 했다. 둘째, 일곱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해 농사를 짓고, 가마니 짜기, 삼베 짜기, 누에치기 등을 하고, 농산물과 해산물을 팔고, 쌀계의 계주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셋째, 아들교육이 우선되어 딸들 교육은 어려웠으나 누에가 크면 팔아서 갚는다고 "외상입학"을 시키기도 하면서 어렵게 이어갔다. 동시대 많은 여성노인이 교육기회박탈에 아쉬워하기만 할 때 본인과 자녀의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한 A의 삶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사회변화의 힘이 개인의 능동적인 노력에서 기인한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비슷한 삶의 주제를 가진 이들의 구술생애 연구가 활성화되어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농촌 여성노인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화가 필요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