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6초

학생성장을 위한 초등수학 수행평가모델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for Student Development)

  • 고상숙;박만구;강경은;김혜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625-642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을 통해 학생의 성장을 이끌 수 있도록 피드백이 강화된 초등수학 수행평가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또한 초등 수학교과 평가는 기존의 지필에서 벗어나 과정 중심 평가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핵심역량 중심의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하는 평가계획을 세웠다. 또한 평가문항, 채점기준표, 관찰체크리스트 등의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투입하였으며 결과에 따른 피드백으로는 수준별 보충 심화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투입하였다. 본 수행평가모델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능력이 향상되었고 성취수준에 미치지 못했던 학생들이 피드백을 통해 'N'수준에서 'N+1'의 수준으로 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0, 2011년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중학교 학생들의 학업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Appeared in 2010, 2011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조윤동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7-117
    • /
    • 2012
  • 정부는 기존의 교육과정과 교육 정책을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한 자료의 하나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는 까닭은 학생들의 학력을 신장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학생들의 학력을 높이기 위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의 하나는 그들이 어느 내용에서 취약한가를 밝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해당되는 내용을 가르치는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먼저 2010,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중학교 학생 전체와 남녀학생별 경향을 파악하고 있다. 이를 바탕에 두고 학생 전체와 남녀학생별로 어떤 내용에서 취약한지를 파악하고 그에대한 교수 학습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유아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 김희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95-70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 유치원인 연구 참여 유치원의 유아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분석,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실행, 평가의 4단계 프로그램 개발 절차를 거쳤다. 본 연구는 단위 유치원 차원의 유아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를 제시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인공지능교육을 실행함으로서 프로그램의 현장성 및 활용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실제적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코로나19 상황 속 발달 장애 학생의 온라인 학습 실태와 개선방안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Online Class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chungbuk-)

  • 김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50-358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발달 장애 학생의 온라인 학습권 실태 분석과 증진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발달 장애 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충북지역 200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와 학부모 6인이 참여한 FGI 자료를 함께 사용하는 혼합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주요 결과로, 가장 시급한 학습보조 제도는 보조인력 지원으로 확인되었고, 재택근무 등으로 자녀를 지원할 수 없는 응답자가 50.5%로 나타났다. FGI 자료 분석결과, '코로나19 온라인 학습 실태', '양육환경을 고려한 비대면 학습환경 개선'의 2가지 범주와 '화상수업 등 교수 방법 다양화', '필요 학습 자원 지원', '상황에 맞는 평가제도 도입', '돌봄 지원 강화', '건강 지원 확대'의 5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 장애 학생 온라인 수업 관련 법적 근거마련 검토, 학습지원 인력 파견 확대, 온라인 학습 환경 증진 대안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대학 기초수학 교과목에 대한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of University Basic Mathematics by Ability Grouping)

  • 표용수;박준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87-103
    • /
    • 2011
  • P대학에서는 자연계열 신입생을 대상으로 수학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일정 점수를 취득하지 못한 학생들과 미응시자를 대상으로 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학력증진을 위해 개설한 기초수학 및 연습 교과목을 필히 수강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초수학 및 연습 수강학생을 25개의 수준별 학급으로 편성하여 운영한 결과를 토대로 해당 교과목의 효율적 학습지도 방안과 수준별 학급 운영에 대한 유의점 및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 PDF

신규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이 인식한 직무역량과 교육요구 (Job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Perceived by New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 김현경;은영;전경자;소애영;김희걸;엄미란;송연이;최은숙;박지연;김형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5-9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job competencies and needs for job education perceived by new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Methods: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Eight new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Five job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including primary care, public health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aching and counseling, and leadership. The contents of job education that they needed were management of major symptoms and chronic diseases, understanding and prescription of medications, emergency responses and care, management of endemic diseases, planning and management of public health programs, writing official documentsand computer works, and leadership training. The learning methods they preferred were connecting theory and practice, situation- or case-based learning, skill- or practice-based learning, and increased opportunities of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d the direction of job education for new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Job education for new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needs to consider the job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identified in this study.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한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 차별기능문항 분석 (An Exploratory Study on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of multicultural and North Korea migrant families students, through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 of mathematics)

  • 조윤동;강은주;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75-94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수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에게 차별기능을 하는 문항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Simultaneous Item Bias Test(SIBTEST) 방법과 MantelHaenszel(MH) 방법으로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에 대한 차별기능문항을 추출한 결과, 초 중 고등 세 학교급에서 8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이 문항들은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의 학업성취 정도와 특성을 나타내는 객관적인 자료로서 기능할 것이다. 또한 추출된 각 문항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에게 차별기능을 한 잠재적인 원인을 탐색한 결과 언어 능력, 계산 및 문제 해결 과정의 복잡성, 교육과정의 일치 여부, 문제 상황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다문화 탈북가정 학생들을 위한 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교수 학습 방법을 구안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중학교 과학 수업 학습 환경에 대한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s of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 이재봉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17-72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학습 환경에 10년 간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지난 3주기 간의 TIMSS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 현황,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 학교 환경 측면으로 범주화해 분석하였다. 보다 세부적으로 과학 수업 현황의 경우는 교수 학습 활동, 평가, 숙제로 3가지 범주로,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은 교사 연수, 교사의 교류, 교사 평가의 3가지 범주로, 학교 환경은 학교 특성, 지원 환경의 2가지 범주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그동안의 과학 교육 관련 정책들이 어느 정도 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과학 수업에서는 다양한 과학 탐구 활동의 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교사 중심의 수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실험이나 조사 활동을 직접 수행하는 활동이 감소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평가에 있어서도 사실이나 개념 지식의 이해와 관련된 문제의 비중이 높지만, 최근 과학적 탐구나 정당화를 요구하는 문제가 많이 증가하고 있었다. 숙제와 관련해서는 피드백을 주거나 토론을 위해 사용하는 비중은 낮고 숙제를 다 했는지 점검하거나 성적 산출을 위해 사용하는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점차 개선되고 있었다. 교사의 전문성 계발 활동에서는 교사들은 다양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과학 내용과 교육 과정, 교수법에 대한 비중이 높은 편이었으며, 과학과 정보 기술을 통합하거나 비판적 사고력이나 탐구 능력 향상에 대한 연수 비중은 적었다. 학교 지원 환경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직무 만족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학교 교육과정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이해나 실행 성과도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자원과 관련해서도 과학 수업을 위한 자원의 부족이 과학 수업에서 많은 영향을 주지 않고 있으며, 일부 부족한 경우도 점차 개선되고 있었다.

고등학교 수학과 지필평가 문항의 교육과정 반영 실태 연구: 수열의 극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flection Status of Curriculum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Paper-Based Assessment Items - Focused on the Limit of Sequences -)

  • 양성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1호
    • /
    • pp.43-58
    • /
    • 2017
  •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정도에 따라 교수 학습 방법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평가 문항은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는 대표적 산물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지필평가 문항 분석을 통하여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가 지필평가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에 대한 실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로 출제된 '미적분I' 219개 검사지에 수록된 문항 중 '수열의 극한'을 내용 영역으로 하는 문항을 중심으로 변화된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의 지필평가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필평가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확인하고, 교육과정 개정 이후 새로운 교육과정의 안정적 안착을 위하여 반드시 동반되어야 할 교육정책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학교육 선도학교 특성에 대한 질적 탐구 (Qualitative Inquiry of Features of Science Education Leading Schools o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 곽영순;이성희;강훈식;신영준;이수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3호
    • /
    • pp.317-33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cience leading schools on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P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of science leading schools. Science leading schools at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 level such as Creative Convergent Science Labs and Student Participatory Science Classes were investigated and 11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each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led to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leading schools in improving the student's PES in light of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leading schools, characteristic factors of science leading schools on students PES, and improvement plans and requirements of science leading schools, as well as implications for general high schools. Science leading schools including Creative Convergent Science Labs and Student Participatory Science Classes applied for the leading school funding to secure supplies, equipments, and lab improvement for authentic science classes. In addition, reconstructed the curriculum more broadly than before, and emphasized and expanded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and process-centered assessment a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level. Through student-participatory classes, the science leading schools stimulat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provide students with PES) through various instructions including projects, engage students in interesting science experiences in Creative Convergent Science Labs, and enhance inquiry skills and PES as well as science content knowledge. Based on the results, ways to sprea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leading schools to general schools are suggested including expanding budget support, securing the space of science labs and improving spatial composition, providing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diversifying assessment subjects and methods, and the necessity of teachers'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