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Practicum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초

다문화가족 구성원 대상 보이스트레이닝 서포터스 양성과정 운영 사례 연구 -B대학교 정부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Voice Training Supporters' Training Course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Focus on B University's Governmental Support Policy)

  • 이영희;조위수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121-147
    • /
    • 2017
  • This study shows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and the results of B University's multicultural creative-HR team's voice training supporters' preparation course that is part of the local funding project at the university. For this, the concept of voice training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members are first extracted from several documents. Then, a description of the management case of B University's voice training supporters' education course is given regarding the goals, operator of management, propulsion progress, and contents of previous education. For analyzing the management results of this work,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pporters and a half-structured survey are conducted with the voice academy main instructors. Moreover, reports of the work results, work journals of supporters and etc. are used for analyzing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aspect of education, previous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practicum are not organically connected. A more detailed curriculum about the comprehension ability of practical affairs is needed for managing a classroom. In aspect of management, the preparatory stage of voice training course and the practice stage were not linked, and thus, more cooperation is required with the main instructors. Although the results are limited, the voice training of the supporters' training course has its implications. First, the education of Korea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are provided for the supporters, thereby being able to facilitate learner-centered education. Second, it demonstrates in an empirical case that a class can be administered by specializing in Korea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At last, it can provide a chance to practice teaching and offer field experience for students who have a Korean education major.

Case Studies of Preservice Teachers' Conceptual Ecologies

  • Park, Hyun-Ju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991-1009
    • /
    • 2002
  •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d two preservice teachers' conceptual ecologi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during the scien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The notion of a conceptual ecology contains nature of knowledge,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learning, and content knowledge and comfort level.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articipants' preservice year and their practicum experience. Both data collections and analyzing were from the various sources of interviews, teaching observations, journals, and information and profiles by the participants' supervisor. Two preservice teachers serve as cases representative of this study. Results show that problems preventing the preservice teachers from moving closer to conceptual change teaching were their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nature of knowledge. The preservice teachers' views about knowledge come from, and what knowledge is, are largely shaped by the nature of science and learning drive pedagogy and classroom practice. Knowledge of and comfort with the subject matter are also important.

예비초등교사의 수학적 신념과 수업 실제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Belidf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 류현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203-227
    • /
    • 2020
  • This study is observed in this paper that how the mathematical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re reflected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actual mathematics class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senior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ir mathematical beliefs and analyzing their actual mathematics classes in a teaching practicum,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 mathematical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generally shown in a similar tendency. The beliefs formed by the students' experience and the beliefs established in the course of preparing to become teachers have coexisted. Second, the teachers' belief in learning mathematics and the teaching practices are largely inconsistent. Third, wh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lan and implement their mathematic classes, they are influenced by their guidanc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ir own mathematical beliefs.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실행과 반성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Questions and Practice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Reflection)

  • 김상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251-270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what questions posed, and for arranging the matters, what decisions made, what practices put into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his or her enacting and reflecting mathematics teaching. Analysis of the study focused on the mathematics instructions practiced by four participants in practicum for senior students. Their own questions raised by each one in the instructional designs, performances, and reflections were picked out and categorized by five dimensions of mathematics instruction; the nature of classroom tasks, the role of the teacher, the social culture of the classroom, mathematical tools as learning supports, and equity and accessibility. Their instructional decision-makings and action-takings for answering to these questions were analised.

DACUM 기법을 활용한 간호대학생의 학교현장실습 직무분석 (Job Analysis for Nursing Student in Pre-Service Health Education Teacher Practicum using DACUM Method)

  • 서요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64-67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초등학교 현장실습에 관한 직무 및 과업을 DACUM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J도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의 보건교사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초등학교 현장실습과정을 수행한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DACUM 워크숍을 실시하여 임무, 과업, 과업별 중요도, 난이도, 빈도 등의 직무내용을 분석하였고, 직무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도구, 장래전망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직무분석 내용은 J시, I시, G시 등의 학교현장전문가 7인과 교육학전공 교수 2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DACUM 차트를 개발하였다. DACUM 차트는 6개 임무와 24개 과업으로 구성되었고,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로는 초등학교 학교현장실습의 임무 중 건강관리는 가장 중요도가 높은 과업으로 산출되었고, 교수학습능력과 문서작업능력이 실습을 위한 기본적인 기술로 제시되었다. 학교현장에서의 보건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에 대한 중요도는 증가되므로 보건교육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기관의 제도적 노력과 교육환경 개선 등의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현황과 방향에 관한 연구 -사이버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Direction of Social Work Field Practicum - Focused on Cyber University -)

  • 배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97-211
    • /
    • 2018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사이버대학교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을 지도한 11명의 교수를 대상으로 질적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현황을 학생, 학교, 실습기관, 제도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학생의 노력, 학교의 노력, 실습기관의 노력, 한국사회복지사협회의 노력, 제도적 정비, 사회복지실습지도교수의 노력 등으로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 학교, 실습기관 등은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교육, 일관성 있는 교육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가 단순한 자격을 가진 직업인이 아니며, 철학과 가치와 이념을 지닌 전문가임을 되새겨야 한다.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학교는 사회복지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현장 감각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교육과정과 교수법을 갖추어야 한다. 학생은 사회복지사가 미래를 위한 막연한 투자의 일환으로 자격을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위한 최상의 복지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생각하며 사회복지사로서의 소명을 다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전문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적 역량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기관은 학생들이 예비사회복지사로서 생생한 사회복지현장을 경험을 하며 이론과 실천을 통합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100만 사회복지사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빛나는 미래를 열기 위해 예비사회복지사인 학생, 사회복지인을 양성하는 대학교, 실천현장을 경험할 수 있는 실습기관, 제도를 구축하는 정부가 함께 내실 있는 사회복지현장 실습교육이 될수 있도록 공동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미국 초등교사교육 과정 과학교육방법론 수업(Science Methods Course)의 과학적 탐구 활동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학습에 대한 자기 효능감 및 PCK 이해의 향상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Science Self-Efficacy Belief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hrough Scientific Investigations)

  • 최상희;이영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406-418
    • /
    • 2015
  • 본 연구는 현 과학교육의 개혁 운동에 기초하여 예비 교사들의 자기 효능감과 교과교육지식(PCK) 이해의 향상을 위하여 과학적 탐구를 실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교육 방법론 수업(Science Method Course)은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과학 탐구 모델링 수업과 과학적 실천 교수학습을 포함하도록 수정하였다(RSMC).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조사하였다: (1) 수정된 과학교육 방법론 수업(RSMC)의 처치 전후 예비교사들의 PCK 정도는 어떠한가?: (2) RSMC 이수 후 과학 교수학습에서 예비교사들의 자기 효능감의 정도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3) 예비교사들의 자기 효능감과 PCK 수준의 변화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미국 중부의 중간정도 규모의 대학의 교사교육 과정에서 제공하는 과학교육 방법론 수업에 등록한 76명이며, 분석을 위해서 STEBI-B 설문지와 PCK 평가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예비교사들이 RSMC 이수 후 개인적 과학교수 효능감(PSTE: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이 확실히 향상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PCK 평가지에 근거하면, RSMC 전과 후의 PCK 수준은 평균값이 현저히 상승하였으며, 예비 교사들의 자기 효능감과 PCK 수준의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개혁 운동에 근거하여 설계된 과학교육방법론 수업(RSMC)은 예비 교사들의 오개념의 수정, PCK 수준의 향상 증진, 그리고 현장 학교에서 탐구수업의 모델링 등을 통하여 과학교수학습에서 자기 효능감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예비 과학 교사의 수업 능력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Longitudinal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한재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310-322
    • /
    • 2013
  • 사범대학에서는 예비 과학 교사가 교사로서 다양한 능력을 개발해 나가도록 지원해 주어야 하며, 수업 능력은 개발해야 할 능력 중 가장 기본이 된다. 이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가 사범대학에서 수업 능력을 발달시켜 가는 과정을 추적하는 종단적 연구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예비 과학 교사가 세미나 강좌에서 한 발표, 화학교육 관련 강의에서 한 수업 시연 및 중등 실험 수업, 교육실습에서의 수업 등의 동영상 자료를 수집하였다. 서로 다른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분석하여 예비 과학 교사의 수업 능력을 평가하고 비교할 수 있는 틀을 개발하였다. 내용, 진행, 언어 비언어 측면의 분석틀에 따라 5명의 예비 과학 교사의 수업을 분석하였다. 예비 과학 교사의 수업 능력은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었으며, 내용 측면에서는 학습자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진행 측면에서는 수업 시간 조절 및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언어 비언어 측면에서는 비언어적인 행동 부분에서 변화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 과학 교사의 수업 기회 확대와 지원 등 사범대학 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하이브리드모델 활용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With Hybrid Model for Nursing Students on Nursing Performance Ability and Self Confidence)

  • 이숙정;박영미;노상미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0-182
    • /
    • 2013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 training with a hybrid model of student nurses' performance ability and reported self confidence.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pre-posttest was designed. Data collection was done during the first semester in 2012 at a college of nursing in Seoul. Nursing performance ability and reported self confidence related to taking care of patients with urinary problems were evaluated. The treatment group (n=96) received simulation training of a catheterization procedure with a hybrid model involving standardized patients and a mannequin. Nursing students in the comparison group (n=84) did not receive the simulation training but would receive it prior to their next clinical practicum's. Results: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ability and reported self confidence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The perceived helpfulness and contentment of the simulation training in experimental group was high.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imulation with a hybrid model was effective in teaching skills prior to the clinical experience which suggests that skill development is not dependent on the actual clinical situation. Nurse educators should consider simulation training as a tool beyond that of clinical practicum.

기본간호학 학습성과와 교육방법 (Learning Outcomes and Teaching Methods in Fundamentals of Nursing)

  • 원종순;박형숙;신윤희;박효정;임세현;신미경;김정희;김영주;장성옥;정승교;양영옥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2-29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for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nursing education by investigating learning outcomes that apply to fundamentals of nursing and teaching methods used in clas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11 professors of fundamentals of nursing who responded to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Results: For learning outcomes in fundamentals of nursing the most frequent number of outcomes was two (35.2%), or three (32.4%). For learning outcomes in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the most frequent number of outcomes was two (32.4%), or three (31.6%). In fundamental nursing classes, teaching methods used most frequently were lectures (98.2%) and videos (60.4%), and in practice classes, demonstration (98.2) and open laboratory (90.9%).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that were utilized in fundamental nursing were team-based learning (19.8%) and case-based learning (19.8%), and for practice classes,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29.7%). In the cross analysis, 28.8% of the nursing professor used the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in fundamental nursing and in practice classes.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continue to improve teaching methods for new nurse-educators and professors and to discuss learning outcomes of fundamental nur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