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Materials

검색결과 1,686건 처리시간 0.03초

웹기반 학습지도안 관리 및 활용 시스템 (Web-based System for Managing and Utilizing The Teaching Plan)

  • 김선희;정순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53-60
    • /
    • 2005
  • 학습지도안은 학습활동에 있어서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중요한 문서이긴 하지만, 그 중요도나 작성하는데 들이는 시간에 비해 학습활동에 대한 활용도가 매우 낮다. 웹이 발달하면서 개인 홈페이지나 에듀넷과 같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학습지도안의 공유가 활발해지긴 했지만, 단지 학습지도안을 작성하기 위해 내용을 참고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고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로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학습지도안을 형식적인 문서로써 재활용하는 데서 벗어나 학습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한 후,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지도안 관리 및 활용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일본에 있어서의 생물교재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Using of Teaching Materials for Biology in Japan)

  • 박인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5-59
    • /
    • 1987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how the way to develop and use the teaching materials for biology in Japan. This study was mainly carried out in docum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should be taken in moderate consideration: 1. Private enterprises as well as the government make heavy investments and careful considerations for the promotion of the science education including biology education. 2. Among in-service teachers one or two volunteer(s) chosen for special training course managed by the local education center are cultivated as excellent teachers on the development and using of teaching materials through an intensive study and training for six months or twelve months. 3. Most research groups consist of specialists in every field and they carry out studying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n biology.

  • PDF

의복구성 교재에 나타난 타이트스커트 봉제 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wing Teaching of 'Tight Skirts' in Teaching Materials of Clothes Configuration)

  • 김선용;최영순
    • 복식
    • /
    • 제56권8호
    • /
    • pp.113-122
    • /
    • 2006
  • In this study, about forty teaching materials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ight skirt sewing methodtreated in basic process in a college and a fashion related educational institution. The study objects limited with a belt, back centered zipper, and back double slits on a tight skirt, and used fifteen suitable teaching materials in this study. The first study result appeared that every single teaching material suggested the different way of wick adhesion which is used in zipper slit, back slit, and belt part when the skit has been manufactured in order to do a form of clothes well. Secondly, it is the case of a back slit part used for the purpose of both functionality of action and decoration, and it is the section which varies a sewing and cutting way according to seam room width of a back middle seam. However, the majority of teaching materials appeared by being selecting the way how it had cut an inseam of the back center by the both upper part of back slit. Finally, the result showed that it mentioned mainly only both sided zipper sewing method if it seems to be easy to treat the majority in a basic process even though use of a console zipper Is general on a zipper sowing way recently for several years. Also, two forms are used in the belt manufacturing, and they are based with a waist line. However, the teaching materials that were used in this study presented only a manufacture way of the straight line on the waist belt.

교원양성대학의 컴퓨터교육 교재개발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Computer Education in Teachers' College)

  • 박선주;김정랑;김철;전동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72-82
    • /
    • 2000
  • 지식기반 사회를 맞이하여 컴퓨터 교육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가고 있다. 2001년부터 컴퓨터 교육이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필수적으로 포함되고, 교육정보화 사업이 2000년 안에 마무리됨에 따라 교원 양성 대학에서는 예비교사들에게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컴퓨터 교육, 컴퓨터교육과정, 컴퓨터 교수법 및 교재연구등에 대한 교육들이 이루어질 수 있는 표준화된 교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예비교사들에게 정보소양 능력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컴퓨터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컴퓨터교육 교재개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 PDF

중등 수학영재 교수.학습자료 개발 동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Development Tend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Gifted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 전선미;유원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79-9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개발된 중등 수학영재를 위한 교수 학습자료를 최대한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들을 교수 학습 대상, 수학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렌쥴리의 3부 심화학습 단계, 자료의 성격, 교육과정 역역 등의 5가지 유목에 대해 각 유목별로 세부영역을 두어 분류한 다음 개발 동향과 특정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중등 수학영재를 위한 교수 학습자료를 개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세부영역별 개발 빈도수의 편차를 줄이고 개발 자료의 질적 향상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 탐구형 수학 영재 교수$\cdot$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ject Based Teaching$\cdot$Learning Materials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 최종현;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2호
    • /
    • pp.169-192
    • /
    • 2005
  • 본 연구는 수학 영재들을 위한 교수$\cdot$학습 자료 개발의 준거를 설정하고 교수$\cdot$학습 자료 개발의 절차 모형을 개발하여 그에 따른 주제탐구형 수학 영재 교수$\cdot$학습 자료의 실제적인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수학 영재 교수$\cdot$학습 자료 개발 준거와 파네스의 창의적 문제해결 학습 모형에 따라 '약수를 통한 자연수 탐구'라는 주제로 4차시 분량의 주제 탐구형 수학 영재 교수$\cdot$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의 초등 수학 심화/사사반 학생들과 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 초등 수학반 영재아들을 대상으로 4차에 걸쳐 현장에 적용하면서 수정 및 재구성을 한 자료를 부록에 실었다. 그리고 그 자료를 수업에 적용$\cdot$분석함으로써 원형 및 자료 개발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얻게된 수학 영재 교수$\cdot$학습 자료 개발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규칙성이 있는 수식을 소재로 한 교수단원 설계 연구 (A Design of Teaching Unit on Series of Number Sentences with Patterns.)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2호
    • /
    • pp.297-316
    • /
    • 2002
  • In this paper, a teaching unit on series of number sentences with patterns is designed according to Wittmann's perspectives. In this paper, series of number sentences wish patterns means number sentences in which some patterns are contained. especially, seven kinds of number sentences wish patterns are offered as basic materials, and fifteen tasks based on these basic materials are offered. These tasks are for ninth grade students and higher grade students. These tasks heap students to recognize patterns, and to understand mechanism underlying in those patterns by looking for patterns and proving whether these patterns are generally hold. As working on these tasks, students can reinforce meaning of algebraic expression, its manipulation, and concept of number series. Students also can reinforce mathematical thinking such as analogical thinking, deductive thinking, etc. In this point, this teaching unit reveal important objectives, contents, and Principles of mathematics education. This teaching unit can also be rich sources for student's activities. Especially, for each task's level is different, each student's personal ability is considered fully. Since teachers can know mathematical facet, psychological facet, and didactical facet holistically, this teaching unit can offer broad possibilities for experimental studies. SD, this leaching unit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 In this paper, this leaching unit is not applied in classroom directly. Actually such applying in classroom is suggested as follow-up studies. By appling this teaching unit in various classroom, some effective informations for teaching this teaching unit and some particular phenomenons in those teaching processes can be identified, and this teaching unit can be revised to be better one.

  • PDF

학습 단계별 수학사 활용 학습을 통한 수학 수업 개선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athematics via the Use of the Mathematical History based on the Learning Stages)

  • 이정재;윤상현;추신해;심수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0권1호
    • /
    • pp.57-70
    • /
    • 2007
  • 수학사 관련 교수 학습 자료 개발에만 치중하였고 개발한 교수 학습 자료는 학습내용에 알맞은 수학사나 수학자의 일화로 실제 수업시간 중 흥미유발 자료로 사용하는데 그쳤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사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문제 파악, 문제추구 및 해결, 적용 발전, 과제 파악 등의 각 학습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학사 자료를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수학 사업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PDF

전문대학(專門大學) 전기.전자분야(電氣.電子分野) 전공교과(專攻敎科)의 컨텐츠 체제(體制) 개발(開發) 방향(方向) (The Development of Contents Systems on Major Course Materials for Technical College in Electric-Electronic Field)

  • 김선태;노태천;김춘길
    • 공학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22-35
    • /
    • 200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n outline for developing the Contents Systems that achieve self-study systems to make the students adopt themselves into new study atmosphere and maximize the result of study on technical college in Electric-Electronic field. Questionnaire posed to analyze the demand of teaching materials to the students, and professors and also to fi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echnical college. The SPSSWIN/PC+ statistics Package was used to assay the collected answers. And simple frequency with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check the entire trend and actual state of each question. The primary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The students in the technical college prefer self-directed learning to lecturer-oriented teaching. ii) It is difficult to offer the technical college students normal education systems since the students?interest and motivation towards study are very low. iii) The lack of capability of foreign language and basic mathematics are considered as obstacles for many students technical college to study. iv) The professors in technical college still depend on traditional method to teach the students without organized research of the intellectual levels and attitude the students. v) Teaching materials in currently use are not appropriated to induce the motivation and interest of study from the students. Also, the teaching materials in use now were discovered not to have enough originality, practical application, andwere text based.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teaching materials was demanded while the fundamental ability to study of general students is declining.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new teaching materials which are simple, easy, and organized to offer the studen ts study desire and interest.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활동자료의 개발과 유형 분석 (Development and Analysis of Various Activity Types for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 박종원;김진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10-327
    • /
    • 2013
  • 본 연구는 과학 창의성 지도를 위한 자료를 개발하고 특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5개 영역에서 80여개의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의 특징으로는,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였고, 활동마다 창의성 요소가 명시되어 있으며, 창의적 활동을 위해 사고하는 방법과 활동결과 예시를 제시한 데 있다. 또 개발된 자료는 목적과 상황에 따라 변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창의적인 활동을 위한 사고방법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정리함으로서 다른 창의성 활동에서 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자료에 대해 교사들이 살펴본 후, 교사들은 창의성 자료로 적절하며, 앞으로 과학 창의성 지도에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장점과 단점, 그리고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자료의 다양한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