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Activity

검색결과 936건 처리시간 0.025초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에서의 특별 활동 (On the Educational Management of Extra Curricular Activity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under the 7th Curriculum)

  • 박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1호
    • /
    • pp.53-6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activate mathematics class in the extra curricular activity under the 7th curriculum. For that purpose, we investigate the current management of the extra curricular activity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and analysis the result. We suggest the main counterplan to activate mathematics class of extra curricular activity as following; (1) Develope teaching materials and programs for mathematics class. (2) Get the mathematics laboratory.

  • PDF

수학 학습에 대한 상황적 흥미 요인 탐색 (Exploring the factors of situational interest in learning mathematics)

  • 박주현;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4호
    • /
    • pp.555-58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학습에 대한 상황적 흥미 요인을 탐색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수업 내의 교수·학습 방법과 교수·학습 활동 및 수업 외의 비교과 활동에 포함되어 있는 상황적 흥미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수학 학습에 대한 상황적 흥미의 요인은 10개의 세부영역(즐거움, 호기심, 유능감/ 실생활, 타교과, 진로/ 사전 지식, 지식의 축적/ 변환, 해석), 4개의 일반영역(정서, 태도/ 지식, 이해), 2개의 고차영역(정의/인지)으로 추출되었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과 교수·학습 활동 및 비교과 활동에는 상황적 흥미의 다양한 요인이 포함되어 있음을 밝혔다. 10개의 수학 학습에 대한 상황적 흥미 요인에 개인적 흥미로 발달에 필요한 요인이 공유되어 있었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수학 학습 흥미 발달에 관한 연구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의 과학적 설명을 강조하는 탐구 지향 교수 활동에 대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Inquiry-Oriented Teaching Practice, with an Emphasis on'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

  • 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96-10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eacher's inquiryoriented teaching practice, with an emphasis on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For this study, 94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14 among 94 participants had chances to intensively experience this particular teaching methods for 15 weeks. All of the 94 participants observed the intended science teaching practice for 4th graders in two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which utilized the science talks emphasizing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 activity. For quantitative data analysis, they were asked to provide their reaction to the science teaching methods after their classroom observation.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5 among the participants, who had relatively long term experience with this teaching practice, were chosen to interview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individual reasons of the ways they perceived about the inquiry-oriented teaching methods boosting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generally thought the emphasis of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could enhance young elementary students' science content understanding, stimulate their curiosity/interests, and further develop their ability to engage actively in scientific discussions. However, some prospective teachers tended to think that the science teaching. methods would not be effective in terms of managing science classes, though.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rospective teachers tended to hold an endemic dilemma. On the one hand, they had their clear preference to the inquiry-oriented teaching practice as the most ideal teaching methods. On the other hand, they also had their persistent hesitance in using these methods due to their fear that elementary students might not adequately grasp the important science content when engaged in scientific discourse through an inquiry-oriented class.

  • PDF

지구계 수업 모듈 중 그리기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인지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Cognitive Characteristics through a Drawing Activity in Teaching Module of the Earth Systems Education)

  • 오현석;김제흥;유은정;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6-110
    • /
    • 2009
  • 8학년(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지구와 별' 단원의 지구계 수업 모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수업 모듈 중 태양계 행성을 학습하는 행성 리모델링 활동을 개발하였다. 이 활동의 핵심은 행성에 생명체가 살 수 있도록 행성을 리모델링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쓰기와 그리기로 표현된 학생들의 생각의 시각화와 이를 통해 학생들의 이해를 해석하였다 학생들의 인지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4개로 법주화된 분석틀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그리고 인지적 내용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구계의 구성 요소별 그리고 과학과 기술의 이용별로 분석 요소를 세분화하여 적용하였다. 행성 리모델링 활동을 통해 분석한 학생들의 인지에는 지구 소양과 같은 지구계 수업의 영향이 나타났다.

통 문장 암기와 짝 활동을 통한 한국어말하기 향상 융합전략 (A Convergence Strategy of Improving Korean Speaking Skills through Memorizing Whole Sentence and Pair Works)

  • 류자미;오성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77-84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외국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통 문장암기방법과 짝 활동이 말하기능력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먼저 통 문장암기방법에 대한 효과를 다루고 있는 논문의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이 연구에서 활용한 학습자의 활동은 주로 외국학생끼리 짝 활동이므로 이에 대한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 활동은 수업시간에 학습자의 한국어 사용빈도를 높이고자 시도했고, 동시에 학습자간에 지속적인 학습을 서로 돕도록 의도했다. 이 융합교수접근법에 힘입어 수업시간에 학습자들의 한국어 활용빈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이는 각 짝을 중국학생과 베트남학생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 이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서로 격려하고 도움을 줌으로써 외국어학습을 지속적으로 하게하는 동기부여나 힘을 얻을 수 있었다고 설문과 인터뷰에서 밝혔다. 특히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이 융합교수법에 대해 참여 학습자 거의 모두가 만족했음을 보여주었다.

만 1세 영아를 위한 보육의 구조와 과정 분석 (Analysis of Structure and Process of Childcare for One Year Olds)

  • 민해정;나종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3-74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caregiver-infant ratios, group-room activity areas, evaluations of infant programs and caregiver-infant interactions based on structural and process indicators which are major factors of infant care. The subjects were 20 caregivers and 91 infants from 14 infant classes of 13 day care centers in Daejeon. An actual survey was conducted on caregiver-infant ratios and group-room activity areas, and teaching-learning plans for infants and daily schedules were gathered for the evaluation of infant programs. The caregiver-infant interactions were observed every one minute for a total of 20 minutes using Lee Wan Jeong's "Evaluation Measure of Caregiver-infant Interactions"(199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giver-infant ratios ranged from 2.5 to 7 infants per caregiver, resulting in the difference of the number of infants. Second, the 14 classes for one-year-old infants were arranged in three different ways; 5 classrooms with distinctive activity areas, 2 without any divided areas and 7 containing a mix of partial activity areas. Third, in teaching-learning plans for infants,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topics related to seasonal features and experiences while the fewest were about basic life habits. Fourth, in the caregiver-infant interactions, caregivers used more positive interactions and linguistic modeling than sensitive responses to infants and social interactions.

지속가능발전 이해를 위한 프로젝트 학습의 개념과 의미 - 예비교사의 에코캠퍼스 만들기 프로젝트 경험을 중심으로- (The Concept and the Meaning of Project-Based Lear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남영숙;지승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4권2호
    • /
    • pp.21-34
    • /
    • 2011
  • Recently, project activity on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en overwhelmingly presented that is considered as a key learning & teaching strategy in Korea. This Study finds that Environmental project activity requires consider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project-based learning for eco-campus which is focu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find out the learner's understanding sustainabl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ject-based lear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concerned about enhancing learner's understanding sustainable development. It can be emphasized a viewpoint of sustainable way, a way of educational approach, and a possibility of expanding learner's experience in dealing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Second, this study showed also a results of application about project-based learning for eco-campus. Twenty three pre-service teachers conducted six different eco-campus projects. It is considered to make the student be able to catch up core knowledge and apply it during the project activity. In conclusion, this research asserts that project-based learning on sustainable development is needed to make students see the knowledge and valu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considered to adva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new teaching & learning strategy.

  • PDF

조작활동 중심의 탐구형 기하 프로그램 설계 및 활용 (Design and Applications of Inquiry-Style Geometry Program based on Operating Activity)

  • 권보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03-111
    • /
    • 2008
  • 초등학교 학생의 인지발달 단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교수 학습용 소프트웨어는 별로 없다. 본 논문는 초등학교 도형 학습에 있어서 도형의 개념을 확실히 인지시키기 위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많은 구체물을 대신할 수 있는 조작활동 중심의 소프트웨어, 즉 컴퓨터 화면상에서 학생들이 다양하게 조작할 수 있고, 프로그램을 익히는데 부담을 느끼지 않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교수 학습용 자료가 도형 학습에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것을 통하여 효율적인 도형 학습 지도 방안과 교수 학습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가정과 관련 클럽 활동의 실태분석 - 경상남도 동부지방의 중학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Directions through the Actual Conditions of Club Activities related to Home Economics - the middle schools in East Gyungsangnamdo -)

  • 김명희;김상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38
    • /
    • 2002
  • This study has the aims to find out desirable directions and improve the problems that interfere with club activities related to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number of 109 teachers and 345 students were surveyed from 81 middle schools in East Gyungsang-namdo, were performing club activities concerned with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eachers were teaching 31 to 40 students per club activity. but they answered the ideal number of students to guidance were from 11 to 20 per club. Most teachers overloaded teaching students for the club activity. The most effective schedule of club activities was 4 hours once a month. The 80% of the objectives said that the expenses for the club activity were too many. especially their presentations. Second. the most of teachers were never educated to the training courses for the club activity. had no licenses. Home Economics teachers strongly felt for the necessity of training and its licenses than other subject teachers. Students wanted to learn by Home Economics teachers and specialists. Third, most teachers had presentation chances for the results of club activities once a rear as small schools had no presentation.

  • PDF

공과대학 학생의 수업 내 학습활동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in Clas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송명현;김경언;강승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69-73
    • /
    • 2016
  • 대학교육력 강화와 질 제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학습과정, 다양한 학습활동이 대학교육의 주요한 성과변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학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 학습성과, 교육여건, 교육환경 뿐 아니라 공학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 중심으로 그들이 어떠한 학습을 하고 있는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전반적인 수업 내 활동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수업 내 학습활동 촉진을 위한 교수-학습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은 수업에서 교수들이 요구하는 활동에는 활발히 참여하나 그에 반해 자기주도적인 학습 참여는 덜한 편이었다. 과제수행에 관한 사고력 증진 활동은 자주 수행하였으나, 일상생활에 응용하거나 비판적 사고 활동은 많이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내 수강생들과 활발한 협력이 이루어졌고, 수업에 대한 태도가 성실한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과대 수업내 학습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및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