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습조직문화, 과학 인식론적 신념, 과학 교수 효능감, 과학 수업 전문성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al Culture, Science Epistemological Beliefs, Science Teaching Efficacy,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김남훈;여상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7-4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 전문성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외적 변인인 학습조직문화를 외생변인으로, 내적 변인인 과학 인식론적 신념, 과학 교수 효능감을 내생 변인으로 설정하고 변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효과와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현직 초등교사 499명의 설문지 응답 결과를 데이터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측정한 학습조직문화, 과학 인식론적 신념, 과학 교수 효능감 및 과학 수업 전문성과의 관계에 대한 상관을 살펴보면, 각 측정요인 간의 상관은 모두 유의한 상관계수를 보였다. 둘째, 과학 인식론적 신념과 과학 교수 효능감은 과학 수업 전문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 인식론적 신념은 과학 교수 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과학 교수 효능감을 매개하여 과학 수업 전문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교사가 지각한 학습조직문화는 과학 수업 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과학 인식론적 신념과 과학 교수 효능감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조직문화, 과학 인식론적 신념, 과학 교수 효능감, 과학 수업 전문성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전문성의 효율적인 향상을 위해 교사 개인의 내적 요인과 함께 학교 조직문화의 개선에 대한 방안도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미국 초등교사교육 과정 과학교육방법론 수업(Science Methods Course)의 과학적 탐구 활동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학습에 대한 자기 효능감 및 PCK 이해의 향상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Science Self-Efficacy Belief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hrough Scientific Investigations)

  • 최상희;이영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406-418
    • /
    • 2015
  • 본 연구는 현 과학교육의 개혁 운동에 기초하여 예비 교사들의 자기 효능감과 교과교육지식(PCK) 이해의 향상을 위하여 과학적 탐구를 실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교육 방법론 수업(Science Method Course)은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과학 탐구 모델링 수업과 과학적 실천 교수학습을 포함하도록 수정하였다(RSMC).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조사하였다: (1) 수정된 과학교육 방법론 수업(RSMC)의 처치 전후 예비교사들의 PCK 정도는 어떠한가?: (2) RSMC 이수 후 과학 교수학습에서 예비교사들의 자기 효능감의 정도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3) 예비교사들의 자기 효능감과 PCK 수준의 변화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미국 중부의 중간정도 규모의 대학의 교사교육 과정에서 제공하는 과학교육 방법론 수업에 등록한 76명이며, 분석을 위해서 STEBI-B 설문지와 PCK 평가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예비교사들이 RSMC 이수 후 개인적 과학교수 효능감(PSTE: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이 확실히 향상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PCK 평가지에 근거하면, RSMC 전과 후의 PCK 수준은 평균값이 현저히 상승하였으며, 예비 교사들의 자기 효능감과 PCK 수준의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개혁 운동에 근거하여 설계된 과학교육방법론 수업(RSMC)은 예비 교사들의 오개념의 수정, PCK 수준의 향상 증진, 그리고 현장 학교에서 탐구수업의 모델링 등을 통하여 과학교수학습에서 자기 효능감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유아교사 창의성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

  • 이유희;전홍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25-13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가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 본 후, 교사-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매개변인으로 교수창의성을 투입하여 교사 영유아와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경기 수원지역의 어린이집 유아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과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은 유아교사의 창의성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유아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el-test 결과,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유아의 과학적 태도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창의성은 매개역할을 하여 유아의 과학적 태도를 증진시키는 데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교수 창의성은 유아의 과학적 태도 향상을 위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아교사가 과학교수활동을 할 때 교수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동시에 제공된다면 유아의 과학적 태도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예비교사의 협력 과학수업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지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eam Teaching on Science Learning of Pre-Service Teachers on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Scientific Knowledge)

  • 이용섭;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41-3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교재연구' 강좌를 수강하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실험처치 후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 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과 교재연구' 강좌를 수강하는 심화과정 4개 반(118명)을 대상으로 9월 초에서 12월까지 실험처치를 하였다. 실험처치는 한 학기의 교재연구 및 교수법에 대해 교육을 하는 것이며, 초등예비교사들이 모둠별 과학협력 수업을 시연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분석은 집단의 전-후 검사에서 대응 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강좌 수강 후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교수효능감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강좌 수강 후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지식 습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시연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예비교사들은 교수설계의 원리에 의한 과제분석으로 과학과 과정안(세안)을 작성하였으며, 수업에 대한 올바른 마인드 함양과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교사적성과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Child Care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 김헤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3-58
    • /
    • 2014
  •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적성,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297명이었으며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 Inventory of Science Attitudes, 보육교사적성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보육교사의 적성은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과학태도 중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의 사회적 가치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자체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적성과 과학태도를 살펴본 결과,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 대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 정서가 영향을 미치고,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에 대해서는 과학의 사회적 가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쳤으며, 과학교수효능감에 대해서는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의 사회적 가치, 긍정적 정서,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보육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증가시켜 영유아교육 현장에서 바람직한 과학교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예비 초등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tegrated Lesson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 최영미;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287-304
    • /
    • 2019
  • Teaching with technology has been widespread in practical classroom settings, and increased the needs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capability with a variety of technolo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training program to develop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which promotes them use technologies tactically in integrated science classe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PACK and Practitioner's Guide to TPACK, the authors developed ten periods of lessons comprised instructional skill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ubsequently, the program was applied into a teacher trainee course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PACK training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attitude toward convergence, TPACK,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he engaged participants. The developed program, meanwhile, caused a significant TPACK improvement of female participants of the teachers college more effectively. Furthermore, it mitigated the gap between science and humanity tracks coming from their high schools. Consequently, there are possibilities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for integrated classes, if they have opportunities to review the comprehensibility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ntersected areas with metacognitive perspectives.

과학 비유 수업에 대한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인식 조사 도구의 탐색적 개발 및 적용 (Exploratory Developing Instruments for and Assessing Awareness of Science Teaching through Analogy among Pr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 권성기;강남화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42-4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assessing teachers' awareness of science teaching through analogy (ASTA) and to establish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Based on the literatures on science teaching with analogies, we constructed 23 survey items. Face validity of the items was established using three science education expert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responses of 35 pre- and 26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instruments were constructed on four subcategories: awareness of analogies in science, use of ana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self-efficacy in science knowledge, and knowledge of analogy. The data collected from pr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monstrated that overall the teachers' awareness of analogy in science was neutral, which indicated they did not have clear standpoints of science teaching through analogy. Further examination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in-service teachers and between two genders.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eachers who preferred either didactic or discovery teaching approaches. We conclude that ASTA test would contribute assessment of teachers' awareness of analogy in science teaching while further examination of the instrument will warrant for its broader use.

  • PDF

영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민감성이 놀이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ayfulness and Sensitivity on Play Teaching Efficacy in Early Childhood Teacher)

  • 안연경;최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70-5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놀이성, 민감성이 놀이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J도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어린이집 18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교사 26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놀이성 척도, 민감성 척도, 놀이 교수 효능감 척도이며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교수 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이 놀이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유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교수 효능감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두 변인 모두 유아-교사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이는 영유아교사가 민감하고 놀이성이 높으면 놀이교수 효능감도 높다라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포트폴리오 체제의 적용이 초등예비교사의 과학교수 자기효능 신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Portfolio System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 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83-192
    • /
    • 2000
  • 이 연구는 포트폴리오 체제를 활용한 과학교육 강의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 자기 효능 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청주교육대학교 2학년 83명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중 5명은 남학생이다.포트폴리오 체제는 연구자에 의해서 개발되었으며, 1999년 1학기에 적용되었다. 한국 과학교수 효능신념 검사도구(K-STEBI)를 학기초와 학기말에 실시하였으며, 학생 포트폴리오의 일부 내용을 과학 교수학습 지도에 대한 자신감을 중심으로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포트폴리오를 이용한 수업을 받은 후 학생들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 효능 신념은 향상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초등 과학교수에 대한 자신감과 포트폴리오에 대한 태도 역시 매우 높아졌다. 포트폴리오 체제는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효능 신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교사 교육에서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에 대한 인식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 Inquiry Teaching Efficacy)

  • 인수정;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79-39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수업을 1년간 수행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을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하는 효능감이 무엇인지 개별 면담 자료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을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하는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은 과학 탐구 수업 계획 단계와 수행 단계에서 다르게 나타났고, 각 단계에서의 효능감은 수업 관리 효능감, 교수 전략 효능감, 교과지식 효능감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과학 탐구 수업 계획 단계에서의 수업 관리 효능감에는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교육 과정 운영 효능감'이 포함되었고, 교수 전략 효능감에는 '과학 탐구 수업 개요 설정 효능감', '과학 실천 간 논리적 조직 효능감', '과학 실천 별 적절한 발문 계획 효능감', '과학 실천을 하는 학생에 대한 이해 효능감'이 포함되었으며, 교과 지식 효능감에는 '교과 지식 및 과학 실천 이해 효능감', '핵심 개념 설정 효능감'이 포함되었다. 과학 탐구 수업 수행단계에서의 수업 관리 효능감에는 '과학 실천 별 시간 배분 효능감', '과학 실천 교실 문화 정착 효능감'이 포함되었고, 교수 전략 효능감에는 '과학 실천 동기 부여 효능감', '과학 실천 적응적 교수 효능감', '능동적 사고 기회 제공 효능감', '과학 실천 별 논의 참여 독려 효능감', '과학 실천 별 참여도 평가 효능감'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 교사들은 과학 탐구 수업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효능감으로 교과 지식 효능감은 언급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