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support

검색결과 745건 처리시간 0.045초

충북 소외지역의 영재교육기관 운영에 있어 초등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및 지원 요구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Elementary Teachers in the Management of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s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 최보미;정정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55-7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difficulties teachers face in the management of the elementary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 of Chungbuk province. In this study, rural area was defined that the area where gifted education is difficult to access due to geographical accessibility or where gifted education service is restricted. The participants of the this study were three elementary gifted teachers who manage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is teaching science to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We collected data about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for the management of the gifted institutions in the rural area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difficulty that teachers expressed was the lack of parental attention and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Second,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ceived different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ir area, experience, and environment. Teacher A is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managers, teacher B is the difficulty of student selection, teacher C is the most difficult factor in teacher quality management.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s also led to differences in the support improvements required by gifted class teachers in the rural area. Third, the three teachers commonly referred to difficulties to access due to geographical accessibility, and demanded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gifted class in the rural area and the support for the expansion of the class.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Support on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Stress on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박동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75-18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1,329명의 다문화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사된 6차년도(2016) 청소년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 종속변수로, 이들이 경험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교사 지지를 조절변수로 하여 SPSS 22.0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조절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 청소년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학교적응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이고, 학교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지원방안 및 교사의 역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교사의 놀이성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Effects of Teachers' Playfulness on Child's Peer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이혜영;김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1-142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layfulness and children's peer abilitie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to collect data on 420 children aged 3-5 years old, targeting 108 homeroom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PROCESS macro of Hayes (2013).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eachers' verbal, emotional, and physical interactions are closely related to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s playability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not only the emotional, verbal, and physical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infant, but also the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as basic data tha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layability of teachers and increase the quality level of the multifaceted aspects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order to support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가 유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and Social Support on Teacher's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민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69-177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내, 외적 변인을 함께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사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변인으로 성격특성을 선정하였으며, 외적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선정하여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가 유아교사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85명이 선정되었다.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는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 하위변인인 개인적 교사효능감에는 성실성, 신경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평가적지지가 영향을 미치며, 일반적 교사효능감에는 성실성, 친화성, 신경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사회적지지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하나임을 시사한다.

교사연수 성과평가를 통한 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정착 방안 탐색 (Exploration of Support Plans for 2015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Implemen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7-20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의 현장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실시한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통합과학 교육과정 지원 방안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2017년도 통합과학 선도교원연수를 중심으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개발한 연수 산출물, 연수강사로 참여한 과학교사들과의 심층면담 등을 분석하여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서 드러난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성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 2017년도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통합과학 교수 학습 및 평가 계획을 개발하였는데, 교사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성취기준은 [10통과08-03]과 [10통과 09-04]였다. 이들 성취기준에 대해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성취기준 재해석, 교수학습 방법, 학습소재, 평가방법, 교과역량 등의 구현 실태를 탐색하였다. 또한 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재구성 모델 사례를 통합 우수 사례, 학생 참여형 수업 우수 사례, 교과역량 신장 우수 사례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안착을 위한 연수 지원방안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관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연구 분석 (A Study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김수정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647-654
    • /
    • 2018
  • 본 연구는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위해 보육교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교실 내의 영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육교사들을 지원하는 목적을 가지는 교사재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한 선행 연구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행 연구들은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보육교사와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언어적인 상호작용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왔다; 2) 선행 연구들은 보육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측정 도구 혹은 코딩 스킴을 개발 및 적용하여 왔다; 3) 선행 연구들은 교실 내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목표로 하는 교사의 지원 방안으로서, 멘토링이나 컨설팅과 같이 개별적인 접촉을 선호하여 제안하였다; 4) 선행 연구들이 제안한 교실 내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목표로 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들은 일반적으로 교사의 건설적인 자기 성찰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아동의 개인적 변인이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 모의 애정 및 교사지지의 상호작용 효과 - (Influences of Personal Variables on Children Peer Bullying - The Interactive Effects of Maternal Affection and Teacher's Support -)

  • 서미정;김경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87-201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of personal variabl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o the peer bullying experienced by fifth- and sixth-grade children. One result was a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the buoying but not in the victimization. The victimization of boys was influenced by withdrawal and assertiveness. Aggression, emotional regulation and withdrawal were important predictors for buoying, whereas withdrawal and aggression were important predictors for victimization among girls. The interactive effect of withdrawal and teacher's support on victimiz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boys, whereas the interactive effect of aggression, maternal affection and teacher's support on bully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girls.

화교, 중국조선족, 한국 청소년들의 자아개념발달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Self-concept in Chinese Immigrant, Korean-Chinese, and Korean Adolescents)

  • 이사라;박혜원
    • 아동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1-194
    • /
    • 2006
  • The influence of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s support on the development of self-concept was assessed in Chinese immigrant, Korean-Chinese, and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ubjects were 205 Chinese immigrants in Seoul, Korea, 256 Korean-Chinese in Shenyang, China, and 368 Korean adolescents in Seoul and Ulsan, Korea. Data were analyzed by ANOVA,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 self-concept score of Korean-Chinese was highest followed by Chinese immigrants in Korea, and Korean adolescents, in that order. The self-concept of Chinese immigrant adolescents was influenced by peer relationships, of Korean-Chinese by teacher's support, of Korean adolescents by both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s support.

  • PDF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The Ecological Variable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이경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211-224
    • /
    • 2008
  • The Ecological variables studied in relation to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ere organisms(grade, sex, perceived competence, aggression and withdrawal), microsystems(parental support, marital conflict and supervision, peer victimization and perceived teacher attitude), mesosystems(family-peer relationships, family-school relationships) and the exosystem(neighborhood environment). The sample consisted of 565 fifth and sixth grade children. Instruments were the School Adjustment Scale and Index of organisms, microsystems, mesosystems, and exosystem variables.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Cronbach's alpha,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competence, parental support and supervision, perceived teacher attitude, family/peer and family/school relationship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but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grade, aggression, withdrawal and parental marital conflict and peer victimization. Seco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child's relationship with teacher, his/her academic adjustment and satisfaction in schoolwas perceived teacher attitude. 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in school was perceived social competence.

청소년의 공격성과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 친사회적 행동, 감정이입, 자기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Causal Relationships of Adolescent Aggression : Empathy, Prosocial Behavior,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 하영희
    • 아동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1-132
    • /
    • 2004
  • In this study of adolescent aggression, the subjects were 320 male and female 7th and 8th grade students in Changwon.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1) low friend support,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had direct paths to adolescent overt aggression. 2) Low teacher and friend support,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had direct paths to adolescent verbal aggression. 3) Low empathy and self-esteem were indirectly related to adolescent aggression through low prosocial behavior. 4) Low teacher support was indirectly related to adolescent aggression through low empathy and self-esteem. 5) Low friend support was indirectly related to adolescent aggression through low self-este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