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Knowledge

검색결과 1,248건 처리시간 0.032초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lective teaching evaluation based on teacher knowledge in school mathematic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23-1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업 과정 내지 단계에서 교사의 반성 역할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반성을 통한 교사 지식의 확장 과정을 탐색하여 이를 도식화하여 나타내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도식화된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교사가 자신의 수업 반성을 통해 수업 개선은 물론 교사 지식의 확장을 이끄는 수업 평가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평가틀은 반성에 초점을 둔 수업 평가틀로서, 교사 자신의 수업 평가를 통하여 교수 개선 및 교사 지식의 확장을 통한 전문성 신장을 이루고자 함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평가틀에 기초하여 교사 자신이 활용 가능한 자기 평가지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만, 교사 지식의 범위가 방대하므로 여기서는 교과 내용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을 중심으로 해당 연구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교과 내용 지식이야말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요 요소로서 교수 활동 결정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PDF

수학 수업에서 드러나는 교사 지식을 분석하기 위한 틀로서의 '교사 지식의 사중주(Knowledge Quartet)' ('The Knowledge Quartet' as a framework of analyzing teacher knowledge in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정유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4호
    • /
    • pp.567-58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Knowledge Quartet (KQ) framework by which we can analyze teacher knowledge revealed in teaching mathematics. Specifically, this paper addressed how the KQ framework has been developed and employed in the context of research on teacher knowledge. In order to make the framework accessible, this paper analyzed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in teaching her fifth grade students how to figure out the area of a trapezoid using the four dimensions of the KQ (i.e., foundation, transformation, connection, and contingency).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mathematics educators with a basis of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eacher knowledge in teaching mathematics and to induce further detailed analyses of teacher knowledge using some dimensions of the KQ framework.

교사의 지식에 대한 중등 초임수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s of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bout Teacher Knowledge)

  • 심상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443-4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지식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초임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초임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의 반성과 개선에 대한 지식을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실제 수업에서는 수학적 개념과 학습 내용들 사이의 연계성과 위계성 등 상호 관계에 대한 지식을 가장 많이 활용한다고 인식한다. 이러한 교사의 지식은 주로 수업 경험과 교사 연수를 통해 형성된다고 인식한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수학 수업에서 공학적 도구와 평가를 활용하는 지식에 대해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고 자주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초임교사들이 교사의 지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교사 입문 프로그램과 멘토링의 활성화, 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의 개선, 다양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등이 필요하다.

  • PDF

교사연구공동체에서 과제설계를 통한 교사 지식의 변화 : 도함수 활용 영역에서 학생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Change of teacher knowledge through task design in the teacher-researcher community : Focused on knowledge of students in the area of derivatives application)

  • 이경화;송창근;정혜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2호
    • /
    • pp.299-317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경력과 지식을 지닌 교사와 연구자로 구성된 교사연구공동체의 과제설계를 통해, 도함수 활용에서 고등학교 인문계열 2학년 학생에 대한 교사 지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공동체 구성원들이 지닌 학생에 대한 지식의 차이는 과제 해결 경로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다. 둘째, 과제 해결 경로에 대한 검토를 거쳐 합의에 이르는 과정은 교사 지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교사와 연구자는 각각 선행연구와 경험에 근거한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지식의 변화를 이끌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교사교육에 있어 교사와 연구자 공동학습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교사 지식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A Study on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 정유경;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617-630
    • /
    • 2015
  • 교사 지식의 본질에 대한 견해에 따라 교사 지식을 분석하는 목적과 방법이 결정되므로 교사 지식에 대한 관점을 면밀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에 체계적으로 소개되지 않은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교사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MKiT])'의 개념, 특성, 분석 방식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MKiT의 관점에 따르면, 교사 지식이란 수학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어야 의미가 부여되는 실천적 지식이다. 또한 수학을 가르치는 상황에서 여러 가지 교사 지식의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면서 교사 지식이 구성된다는 측면에서 교사 지식의 본질을 수업 맥락에 특화된 유기체로 여긴다. 이런 측면에서 교사 지식에 대한 분석은 주로 수업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교사의 행위나 수업 상황을 관찰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MKiT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지식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며, 더 나아가 수학 교사 지식의 본질 및 분석 방식에 대한 면밀한 이해를 촉구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학과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에서 요구되는 지식의 영역과 수준 분석 (Examining the breadth and depth of knowledge required in the teacher employment test for secondary mathematics)

  • 이소연;김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3호
    • /
    • pp.281-295
    • /
    • 2021
  • 본 연구는 수학과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이 예비 교사의 지식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최근 8년간 시행된 임용시험 1차 180개의 문항을 지식의 영역과 수준의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분야에 따라 특정 영역과 수준에의 편중성과 평가 외적 내용 요소의 출현 등이 나타나 이로부터 임용시험의 질 개선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초등 수학 수업에서 발현되는 교사의 변환 지식 분석 (An Analysis of a Teacher's Transformation Knowledg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 정유경;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95-717
    • /
    • 2013
  • 가르치는 데 필요한 교사 지식은 실제 해당 교과를 가르치는 중에 수업 맥락과 깊이 관련되어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 수학 교사 지식에 대한 연구는 실제 가르칠 때 발현되는 수학적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MKiT])을 분석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MKiT 분석틀로 알려진 '교사 지식의 사중주(Knowledge Quartet [KQ])' 중 '변환' 차원 및 관련 코드를 소개하고, 이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초등 수학 수업을 분석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변환 차원의 관련 코드는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초등 수학 수업에서 발현되는 교사의 변환 지식을 밝히는 데 유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보다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부 코드를 보완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초등 수학 수업에서 발현되는 교사 지식의 분석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포스트 모더니즘적 관점에서 본 아동발달지식과 유아기 교사교육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 Post Modern Perspective)

  • 이연승
    • 아동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1-51
    • /
    • 2000
  • This study discusses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a post modern perspective to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he survey of literature focused on the post modern approach to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the reassessment of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s it is challenged by the post modern perspective, and deconstruction of both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t was concluded that child development knowledge is necessary but insufficient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the post modern perspective, the movement toward fostering "reflective practitioners" and basic knowledge base is more significant. Therefore, the responsibility of academics is to walk the fine line between presenting a formal knowledge base so that students gain assumption to guide their thinking and practice, critiquing both theory and derived practices.

  • PDF

교사 지식의 관점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 분석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er as Perceived by Students through the Perspective of Teacher Knowledge)

  • 이기영;박재용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25-634
    • /
    • 2014
  • 이 연구는 과학 학습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교사 지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을 조사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규명된 기초적인 교사 지식의 요소들은 탐색적 요인 분석(EFA)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EFA 결과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CFA)을 실시하였다. 또한, 규명된 교사 효과성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성별 및 학업 성취 수준별로 차이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으로 5개 요인(실체론적 지식, 구문론적 지식, 교육과정 지식, 학생 이해지식, 교수 전략 지식, 학생 평가 지식)을 확인하였으며, 5개 요인들을 다시 두 개의 교사 지식 범주(SMK와 PCK)로 분류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실체론적 지식과 구문론적 지식, 학생이해 지식과 교수전략 지식 간에 각각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 중 학생들은 실체론적 지식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였으며, 학생평가 지식을 가장 덜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과학교사 효과성 요인에 대해 성별 및 성취수준에 따라 상당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과학 수업실행을 위해서 SMK와 PCK가 정합적으로 통합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과학 교사 전문성 계발과 예비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Exploration of Teach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Teacher Educator PCK Characteristics in Future School Science Education

  • Youngsun Kwak;Kyu-dohng Cho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1-341
    • /
    • 2023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CK required for science teachers and PCK required for university teacher educators in terms of school science knowledg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role of science educators, which are the main axes of science education in future school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is a follow-up to a previous stage of research that explored the prospects for changes in schools in the future (2040-2050) in terms of school knowledge, educational methods, and teacher role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qualitative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riv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CK and PCK. As for the main research results, science teacher PCK in future schools should include expertise in organizing science classes centered on convergence topics, expertise in digital platforms and ICT use, and expertise in building a network of learning communities and resources, as part of the expertise of human teachers differentiated from AI. Teacher educators' PCK includes expertise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L methods using AI, expertise in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and practice, and expertise in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research competencie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is the change in teacher PCK and teacher educator PCK with changes in science knowledge, such as convergence-type knowledge and cognition-value integrated knowledge; and the need to emphasize values, attitudes, and ethical judgments for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on-humans as school science knowledge in the post-humanism futur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