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Knowledge

검색결과 1,248건 처리시간 0.028초

저경력 사서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 탐색 (A Study on the Practical Knowledge of Low-Experienced Teacher Librarian in Library Based Instruction)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저경력 사서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는 교직 경력 3년 차 이하의 신규 사서교사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자료에서 실천적 지식의 영역인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과 교수·학습에 대한 지식을 중점을 두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에 대한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은 학생과 교사를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으로 이끌어 가는 리더십 있는 교사였다. 둘째, 사서교사에 대한 교사 자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예비교원양성과정에서 가장 구체적으로 형성되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교사상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일어나고 있었다. 셋째,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은 도서관협력수업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수업 방법을 배우고 익히며 현장에 적용하고 있었다. 넷째, 도서관활용수업의 교·학습 방법에 대한 지식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원양성과정과 교육실습활동이 학교 현장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여 변화해야 하고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수업 읽기와 수업 분석이 지속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참여 촉진하기 - 초등학생들의 긍정적 정서 구성을 돕는 과학 전담 교사의 실천적 지식 - (Facilitating Participation - A Science Subject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for Helping Elementary Students' Construction of Positive Emotion -)

  • 한문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244-26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practical knowledge used by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 during learner-centered science instruction can promote elementary students' construction of positive emotion. Using an auto-ethnographic approach over a period of three months, the researchers collected students' interest diaries, post interviews with students, video recordings in science classes, and students' personal diaries and analyzed them by means of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In this way, the researchers categorized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held by the teacher and explained how it was applied in learner-centered science instruction to promote students' construction of positive emotion. Three images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emerged and can be categorized under the following headings: 1) 'From science classroom to science $caf{\acute{e}}$', 2) 'Pleasant experiment class for all students and the teacher', and 3) 'A science class for students who were marginalized'. These images were backed up by principles and rules, and the teacher came to embody these images as he implemented these rules. This study also discusses how the impact of a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n students' construction of positive emotions can be interpreted as promoting positive outcomes rather than negative sanctions, meeting students' expectation from lab activities, and meeting the specific needs of marginalized students in a science class.

Literature Review: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Specialized Knowledge for Teaching

  • Lee, Eun-Mi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699-710
    • /
    • 2007
  • During the last two decades, many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underst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Now it is time to think about how to apply the theoretical aspects of PCK to practice. In an attempt to address this issue, it is indispensable to review the existing literature on teachers' knowledge bases and PCK.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look at how the concept of PCK has been developed and extended over the past two decades as well as to provide a shared understanding of PCK for the practical use of this concept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paper begins with a discussion of various models of teachers' knowledge as conceptualized by several renowned researchers, moves on to a review of existing research focusing on the knowledge of science teachers, then examines the literature on PCK as a critical part of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and finally concludes with an integrated operational definition of PCK that can be employed into design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수학 수업에 표현된 수학 교사의 신념과 지식 (An Experienced Teacher's Representations of Beliefs and Knowledge in Mathematics Instruction)

  • 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3호
    • /
    • pp.335-349
    • /
    • 2009
  • 이 논문은 수학 교사의 신념과 지식이 수학 수업에 어떻게 표현되는 지 미국 중학교 수학 교사의 수업 분석을 통한 사례연구 보고서이다. 미국 중학교 수학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학교사의 신념과 지식이 수업에 어떻게 반영되고 적용되는지 상세하게 분석 설명한다. 사례 분석 연구 결과는 참여 수학 교사의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체계가 수업에 일정 정도 일관성 있게 표현됨을 보여 준다. 특히, 그 교사의 신념체계가 수학 수업을 조직하고 구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정 교과교육학 지식 관점에서 본 중등 가정과교사 임용시험 문항 분석 (An Analysis of the Items for the Home Economics Teacher Selection Te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유난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6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items for the Home Economics teacher selection test, which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school year 2002 to 2010,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H-PCK). Two frameworks were used: (1) H-PCK matrix transformed from the Content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H-CK) and the Pedagogical Knowledge; (2) Five components of H-PC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est items were classified into H-CK items and H-PCK items from the H-PCK matrix analysis. (2) While the number of items on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was the highest, no item on knowledge of understanding students was identified. Since the test can be considered as Measurement-Driven Instruction, it will have backward influences o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universities. Thus, if promising and capable new Home Economics teachers are to be recruited, the test items should include all the components of H-PCK.

교수법적 내용 지식: 미국 중학교 수학 교사 사례 연구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Study of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 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95-308
    • /
    • 2007
  • 이 연구는 중학교 수학 교사의 수업 활동에 나타나는 교수법적 내용 지식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미국의 8학년 수학 교사의 수업 활동과 면담을 수집하고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참여자인 수학 교사의 교수법적 내용 지식은 첫째, 각 개념과 주제들 간의 연계성, 다양한 형태의 문제 해결력, 그리고 교과서에 대한 이해 등을 포함한 수학 교과 내용 지식, 둘째, 수학의 특정 개념과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잘못된 생각과 일반적인 오류, 학생들이 느끼는 어려움과 혼동을 이해하는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 대한 지식,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실제 상황에의 적용을 중시하는 교수학적 지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Case Study of English Teacher Development through Online Supervision

  • Chang, Kyungsuk;Jung, Kyutae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1-22
    • /
    • 2011
  •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process of the languag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an assumption that anybody who has subject matter knowledge will be a good language teacher. A teacher with rich linguistic knowledge started to question the effectiveness of his online class. The teacher, in collaboration with a teacher trainer, became involved in the critical examination of his online class, seeking for more effective ways of teaching. The trainer provided the teacher with clinical supervision, which is characterized as developmental, collaborative, non-judgemental, interactive, and teacher-centered. The data collected at the multi-facets of the online teaching shows how the process of the teacher's decision-making became principled on the basis of recent development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nd how the teacher has gained pedagogical knowledge through reflection upon his teaching. The feedback from the students reveals that such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s beneficial to student lear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can take place when they are engaged in reflective teaching and classroom investigat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process of teacher development can be enhanced through collaborative supervision with trust, openness and congeniality between parties involved.

  • PDF

보육교사의 질병관련 지식, 직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of Knowledge Related to Disease, Job Stress and Self-Esteem on Teacher Efficacy for Childcare Teacher)

  • 장경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325-8335
    • /
    • 2015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질병관련 지식, 직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교사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G시의 보육교사 257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4년 5월 23일에서 2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21.0 프로그램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일원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의 평균점수는 $78.80{\pm}8.28$점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자의 교사효능감은 자아존중감과 순상관관계(r=.493, p<.001), 직무 스트레스와는 역상관관계(r=-.247,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질병관련 지식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 직위에 의해 30.0%가 설명되었다. 따라서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전략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수학교사의 지식과 수업 실제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Teaching Practice)

  • 신현용;이종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3호
    • /
    • pp.257-273
    • /
    • 2004
  • In this paper, we analyze what the components of mathematics teacher` knowledge are, and find that mathematics teacher need knowledge of three areas: subject matter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tudies of practicing teachers suggest that When teachers lack understanding in their respective disciplines, it inhibits them from providing students the best learning opportunities, but that a teacher possess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rovides learners with multiple approaches into learning. Some teachers having sound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students were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o students' questions, design appropriate learning activities involving a variety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and orchestrate mathematical discourse in the classroom. Thus, it appears that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positively affect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 PDF

수행평가 과정을 통해서 본 지리교사의 실천적 지식 (Practical Knowledge of Geography Teacher in Proc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 마경묵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6-120
    • /
    • 2007
  • 이 연구는 수행평가 장면에서 교사의 평가를 이끈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를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교수행위는 자신의 독특한 창작물이며 전문가로서 교사의 모든 역량과 지식이 표출되는 활동이다. 여기서 교사가 어떤 내용의 지식을 어떤 상황인식 하에서 어떤 방식으로 무엇을 이용해서 가르칠 것인가 등의 교사의 판단을 이끄는 지식, 즉 교사가 교실에서 수행하는 행위의 실천을 유도하는 지식을 실천적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의 수업을 바로 읽는데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인 교수-학습 활동과 마찬가지로 수업 상황 중에 평가가 이루어지고 학생들의 학습의 증진을 목표로 하는 수행평가 역시 평가 목표 설정, 평가 장면 구성, 평가 도구 개발, 평가 준거 개발, 평정 활동 등 모든 교사의 활동 역시 직전교육, 현장의 교수 경험, 일상에서의 경험, 연수 등을 통해 형성된 암묵적 지식인 실천적 지식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루어진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지리교사의 사례 연구를 통해서 그 교사의 평가를 이끈 실천적 지식의 구조를 이미지, 원리, 규칙의 측면에서 파악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 드러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교사의 모든 의사결정 과정에서 어떤 방향을 잡아주는 안내자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런 관점에서 교사의 평가 행위를 봄으로써 교실에서 벌어지는 과정중심평가가 이루어지는 실제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