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Collaboratio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4초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를 통한 예비 교사들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변화 (The Change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by Teaching Practicum and Discussion about Lessons)

  • 방정숙;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9-281
    • /
    • 2016
  • 교육실습은 예비 교사들이 배운 이론을 실제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이는 대학과 연계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기간에 실행했던 수학 수업에 대해서 대학 강의 시간에 다시 논의하는 시간을 제공하였고, 교육실습 및 논의를 통하여 예비 교사들의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들은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 이후에 수학 수업요소 중 수학적 담화 측면에 더욱 주목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을 모두 고려하여 수업을 바라보는 경향과 수업 상황에 대한 견해를 밝히면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까지 제시하려는 노력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예비 교사들의 자기 평가 결과와도 상당 부분 일치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안목을 신장하는 방안 및 예비 교사 교육에서 교육실습을 지도하는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국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 연구 분석 (Educational Effect of American School Libraries: An Analytical Literature Review)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33-1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를 연구한 문헌들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국내 학교도서관의 효과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분석 문헌으로 37개를 선정하였고, 선정한 문헌들을 연구 내용과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 문헌들이 다루고 있는 학교도서관 변인을 추출하고 종합하였다. 분석결과, 미국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 연구들은 다양한 대상들을 다양한 변인으로 분석하였고, 이중에서도 사서교사를 가장 중요한 학교도서관 변인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들은 사서교사의 직무를 정보활용교육과 독서교육 및 협력교육으로 나타냈다. 국내에서도 장애학생, 다문화 가정, 경제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학교도서관의 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도서관 기준을 학생들의 성취도를 측정하는 학교도서관 효과 연구와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 of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박종호
    • 새물리
    • /
    • 제68권11호
    • /
    • pp.1240-124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 혁명시대에 따른 교원 역량의 구성 요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교직 경력이 5년 이하 26명, 5년 초과 10년 이하 24명, 10년 초과 20년 이하 25명, 20년 초과 25명 총 100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6가지 역량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교사들은 '지식 정보에 대한 지식 및 활용 능력, 학습내용 적정화 능력, 학교구성원간 협업능력, 관계유지 능력, 공동체에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 타인과의 교감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역량 요소별 중요도와 보유도 분석 결과,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인식차가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경력과 무관하게 중요도에 비해 보유도가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교원 양성 기관의 교육, 교사 연수에 실제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반영하여 이를 보충할 수 있는 현직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RPP(Role-Play Presentation)를 통한 교사의 AI 교사와의 지각된 상호작용성 분석 (An analysis of in-service teachers' perceived interactivity with AI teachers through RPP(Role-Play Presentation))

  • 고호경;허난;노지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3호
    • /
    • pp.321-34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롤플레이 게임(Role-play Game) 개념을 차용한 역할연기발표(Role-play Presentation) 기법을 적용하여 미래 교육에서 인간 교사-인공지능 교사 간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기대감을 시각화함으로써 교사들의 협업과정에서 성과 있는 토론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는 수업 상황에서 인간 교사가 수업의 주도권과 학생과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전제로 수업의 질적 향상과 개별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보조 도구로써의 인공지능 교사의 상호작용 요인들을 제안하고 있었다.

AHP를 이용한 사서교사의 북큐레이션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Analysis of Priorities for the Provision of Book Curation Service by Teacher Librarian Using AHP)

  • 김미정;이병기;임정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03-324
    • /
    • 2020
  • 본 연구는 큐레이터와 사서교사의 직무를 상호 비교·분석하여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북큐레이션 서비스의 내용과 영역을 설정한 후, AHP(Analytic Hierarchy Progress) 방법을 통해 사서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북큐레이션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큐레이션 서비스 영역을 계층별로 나누고,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인 사서교사들을 대상으로 AHP 방법을 적용하여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서비스 영역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위계층의 우선순위는 정보서비스, 전문성 신장, 정보 자원, 경영, 홍보 및 마케팅 순으로 나타났고, 하위계층의 우선순위는 조사 및 연구, 질의응답, 자기계발, 전시, 예산편성, 전문가 연계, 트렌드 분석, 독서교육, 인적자원, 기획, 협력수업, 마케팅 서비스, 소장, 온라인 홍보, 오프라인 홍보, 시설 및 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특성 파악, 북큐레이션을 위한 분류기준의 설정, 독자 참여형 북큐레이션 서비스 모색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 분석 - 초등학교 4·5·6학년 2학기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Role Embedded in Inquiry Tas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the 4th·5th·6th Grade in the Second Term)

  • 유종열;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9-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과제를 정보활동 중심의 도서관활용수업 모형과 비교 분석하고, 사회 교과 학습에서 사서교사가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 역할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정교과서로 개발되어 활용 중인 초등학교 4 5 6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 5학년은 개별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삽화, 사진,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여 말로 표현하고, 6학년은 자신의 경험이나 생각 또는 다른 자료에서 찾은 정보를 활용해서 과제를 해결하고 말로 표현하도록 탐구 과제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4 5학년에게는 비교, 대조, 조합, 원인과 결과 구분, 사실과 의견 구분 그리고 결론의 예측과 추론 등의 정보활용기술을 지도하는데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학년에게는 교과교사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과제의 특성에 따른 해결 계획을 수립하고, 자료 수집, 활용, 결과물 완성 및 평가에 이르는 전반적인 정보활용과정을 지도하는데 참여할 수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정보활용능력과 코딩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 Service Teacher's Information availability and Concern & Perception of Coding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마지순;김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44-15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정보활용능력과 코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정보활용 능력과 코딩교육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코딩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을 구성 및 유아코딩교육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중소도시 A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30명이며, 1학년 88명(38.3%), 2학년 84명(36.5%)이며, 3학년 58명(25.2%)이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일원배치분산분석과 pearson 적률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정보활용 능력은 스마트폰 활용 능력이 가장 높았고 컴퓨터 활용능력이 그 다음으로 높았다. 예비유아교사의 코딩교육 관심도는 결과적 관심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협력적 관심, 개인적 관심, 정보적 관심, 대안적 관심, 운영적 관심 순서대로 높게 나타났고, 무관심은 가장 낮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코딩교육에 대한 인식은 코딩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코딩수업내용에 대한 인식, 코딩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코딩교육운영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정보활용 능력에서 정보화 인지수준, 스마트폰 사용수준 및 정보유용성이 개인적관심과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컴퓨터사용 수준은 대안적 관심과 정보용이성은 결과적 관심과 정적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정보화 인지수준과 대안적 관심, 정보유용성은 정보적 관심, 스마트폰 사용수준은 결과적 관심, 컴퓨터 사용수준과 용이성은 개인적 관심단계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반면 정보활용 능력의 모든 영역들은 운영적 관심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인지수준은 교육 필요성과 가장 높은 관계가 있었으며, 그 다음은 교육내용, 교육운영 및 교육환경과 상관이 있었다. 반면 교육필요성과 용이성은 교육내용만이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산학공조형(Co-op) 간호실습교육 운영모형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Clinical Nursing Education Model)

  • 조갑출;부은희;노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7-134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cooperative clinical nursing education model in response to the challenge to provide quality clinical instruction for nursing students. Method: A hypothesized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Cho's partnership model of preservice teacher. Final model was refined with cooperative committee meetings, workshop and post clinical education meetings. Results: A Cooperative clinical nursing education model was developed with three phases(collaboration, planning, redefinition of major roles) and ten constructs(organization of cooperative committee, goal setting, partnership contract, planning objectives, and operating manual). Conclusion: The Cooperative clinical nursing education model support the need for continued collaborative partnership between nursing college and hospitals to foster quality clinical instruction.

  • PDF

A Study on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Teachers' Collaborative Learning: Focused on an Analysis of Discourses

  • Chen, Xiaoying;Shin, Bom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20
    • /
    • 2022
  • Collaborative learning has been highlighted as an effective method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various studies. To disclose teachers' discourse threads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for developing their knowledge, this paper adopted two methods including "content analysis" and "time-sequential analysis" of learning analytics. Such analyses were implemented for mining teachers' updated knowledge and the discourse threads in the discussion during collaborative learning. The materials for analysis involved two aspects: one was from the video-taped lesson observation reports written by teachers before and after discussing, and the other was from their discourses during the discussion process. The results proved that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the centroid of a triangle was updated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period, and also revealed the discourse threads of teachers' collaboration contained "requesting information or opinions", "building on ideas", and "providing evidence or reasoning", with the emphasis on "challenging ideas or re-focusing talk"

X, M, Z 보육교사의 세대 및 직무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al and Job Perception of X, M, Z Generation Childcare Center Teacher)

  • 김지연;이윤선;배선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42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job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Generations X, M, and Z. Methods: Seventeen teacher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career and the types of childcare centers they worked in. Focus group interviews explored their job perceptions, teaching methods, career intentions, and strategies to attract future teacher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generational perceptions, with Generation X and M noted for diverse job experiences and Generation Z for digital skills. Individual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All generations reported low job satisfaction due to societal perceptions and environmental changes. Many teachers plan to change jobs. The study suggests utilizing generational strengths for peer support to enhance professional development. Conclusion/Implications: Furthermore, improvements in societal perception and treatment of childcare jobs are needed to attract future teachers. Th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enhanced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the childcar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