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eacher's Training

Search Result 50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이 도서관활용수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Librarian's Information Literacy on Library-Assisted Instruction)

  • 이승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61-180
    • /
    • 2007
  •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이 도서관활용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도서관활용수업과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서관활용수업에서 계획하기가 가장 부족했으며 정보활용능력에서는 정보검색이 가장 부족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도서관활용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과교사와 사서교사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정보검색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자유학기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Free Learning Semester')

  • 김진섭;문성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24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middle school teachers perceived major feature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2013, the Free Learning Semester has been proposed by Korean government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which deals with various activities in classroom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ability. The Free Learning Semester helps students to figure out their dreams and develops their talents. The government plans to expand the Free Learning Semester to all middle schools by 2016. Since teacher's perception is an important matter in the applica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this study seeks to document the changes in curriculum by observ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in the school that implemented the Free Learning Semesters and those that did not implemented the Free Learning Semesters. 172 teachers from nine middle schools in Busan that their school schedules allowed were surveyed. Two school which operat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were compared to seven schools which did not operate the Free Learning Semest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most all (97.7%) teachers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chools have completed a training whereas 74.6% of the teachers in the non-Free Learning Semester schools have not. The usefulness of the training was satisfactory, but the teachers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chools wanted more practical help with the curriculum. Second, the result,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revealed that the first grade second semester of middle school was the best time to implement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order for its successful establishment in schools, there needs to be a reliable and effective evaluation system. However, the results regarding the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f the new syste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in the Free Learning Semester Schools, the changes in teachers' perce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need the training and the teacher's community to implement the curriculum and set a basis for valuation.

수학교사들의 동기유발에 대한 필요성과 활용에 대한 인식 (An analysis of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about motivation)

  • 심상길;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4호
    • /
    • pp.449-462
    • /
    • 2014
  • In this study, mathematics teachers' awareness of the need for motivation and its utilization in the actual classes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the mathematics teachers answered positive on the need for motivation but the attempts for motivation in actual classes were rather low. In addition, they answered that teacher training for motivation were helpful in actual classes. Among Keller's ARCS, the strategies mathematics teachers recognized necessary and those used frequently in actual classes often showed generally consistent, and the need for motivation and the degree of utilization got highest score in motivation sector. On the other hand, mathematics teachers need to acknowledge specific utilization strategies of ARCS but showed incompetent in utilizing them in actual classes. Thus,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the strategies for motivation in mathematics classes, mathematics teachers needed practical teacher training, specific instruction methods, researches on practical instructional methods and in-service, and administrative supports for the activations of teacher's study group and mentor system.

Teacher Perception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Cutting Edge Technologies in Rural Public Schools: Focusing on Tablet PCs, e-Whiteboards, and Fastel

  • SUNG, Eunmo;JIN, Sunghee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2권1호
    • /
    • pp.95-124
    • /
    • 2011
  • Teachers' perception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new technologies can be dealt with a critical factor for enhanc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using new technologies in education.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identify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cutting edge technologies established through a government-driven educational agenda, "The rural public school model", To achieve this purpose, e-survey was conducted for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TPCs, e-Whiteboards, and Fastel according to teachers' working areas, school levels, teaching experiences, and training experiences. Participants were 123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le:62, female:61) and 66 middle school teachers (male:37, female:29) who are working in the rural public model schools (Gyeonggi: 29, Chungcheong: 12, Jeolla: 30, Gyeongsang: 88, Gangwon: 22, Jeju: 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gion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levels; second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onal attributes of TPCs and Fastel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were not shown; thirdly,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according to their training experiences were meaningfully significant in terms of three new technologies,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in order to increas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for using the technologies.

초등교사를 위한 원격연수의 질적 향상 방안 (Quality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stance Training)

  • 류근영;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17-625
    • /
    • 2005
  • 1997년부터 교사에게는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연수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기존 출석중심 연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연수체제 구축을 위한 대안으로 교원 원격교육연수원이 도입 운영되어 왔고, 해마다 그 수의 증가를 거듭하면서 2004년 9월 현재 총 53개의 원격교육연수원이 운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원격연수의 질적 향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원격연수원의 교육과정 운영현황을 중심으로 교육 콘텐츠 및 전반적 운영현황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한 원격연수의 제공자, 수요자 측면의 상호 만족도 향상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제공자는 시대변화에 따른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피드백 해야 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점수위주의 수강보다는 초등교사로서의 자기 계발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영역의 수강을 필요로 하고 있다.

  • PDF

인구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A Study on Teachers' Training Program Satisfaction of Population Education)

  • 윤인경;차우규;이수정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31-245
    • /
    • 2010
  • 본 연구는 인구 교육의 기초 이론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한 교사 직무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윤인경 외(2006)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인간 존중, 인구, 가족, 복지, 교수 학습 방법 및 교재 개발의 5개 영역으로 60시간에 해당되는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수 강사진은 시 도교육청 장학사, 교과 교육 전문가, 교과 내용 전공자, 보건복지부 담당자 등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교사와 중등학교 교사 59명을 대상으로 2008년 8월 13일(월)~22일(금)까지 9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연수를 실시한 후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리커드 척도 형태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인구교육 연수 프로그램 구성, 내용, 강사진에 대한 만족도가 4.25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2기 연수 프로그램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생들의 만족도 평가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용, 중학교용 교사용 연수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였다.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요구 분석 (Analysis of ne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flip learning class)

  • 김민주;박수홍;김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31-24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이 제시하고 있는 플립러닝이 활용되는데 필요한 요구를 조사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연수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부산의 한 특성화고등학교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플립러닝의 활용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실제 A학교에서 플립러닝을 실행하는 교사 4인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플립러닝 수업을 실시할 의향은 높으나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와 경험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플립러닝의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플립러닝 사전학습자료 제작부터 수업, 평가까지 전 과정에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동기와 흥미 유발 및 유지에 초점을 맞춘 내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연수를 운영한다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플립러닝 이해 정도에 따라 단계별 또는 교사들의 요구에 따른 맞춤식 실습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운영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기반으로 하는 질적 연구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새로운 수업모형을 도입하고자 할 때 현장 교사들이 가진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플립러닝을 위한 지원체제와 교원연수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저경력 사서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 탐색 (A Study on the Practical Knowledge of Low-Experienced Teacher Librarian in Library Based Instruction)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저경력 사서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는 교직 경력 3년 차 이하의 신규 사서교사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자료에서 실천적 지식의 영역인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과 교수·학습에 대한 지식을 중점을 두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에 대한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은 학생과 교사를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으로 이끌어 가는 리더십 있는 교사였다. 둘째, 사서교사에 대한 교사 자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예비교원양성과정에서 가장 구체적으로 형성되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교사상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일어나고 있었다. 셋째,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은 도서관협력수업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수업 방법을 배우고 익히며 현장에 적용하고 있었다. 넷째, 도서관활용수업의 교·학습 방법에 대한 지식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원양성과정과 교육실습활동이 학교 현장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여 변화해야 하고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수업 읽기와 수업 분석이 지속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유아코딩교육에 관한 원장의 지지, 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및 코딩교육 실행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The Effect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on the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 김보현;이홍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25-41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a director's support for coding education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in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a structural model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fant teacher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between a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positively mediates the director's support and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n particular,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oding-related learning communiti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infant teachers' intention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based on total effective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 abov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intention of infant teachers to implement cod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learning community related to coding education and encourage participation from infant teachers.

예비 수학 교사의 교사 담화에 대한 인식 분석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 of Teacher Discourse)

  • 이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65-4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권위적 및 대화적 담화 사례의 교사 담화 평가에서 드러난 예비 수학 교사들의 인식을 질적 내용 분석으로 탐색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일방적 설명이나 학생 대답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않는 폐쇄적 발화에 비판적이었으며, 학생의 이유를 탐색하는 질문과 오답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지지했다는 측면에서 표면적으로 대화적 담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가 대부분의 인지활동을 대행하는 테스트 질문에 무비판적이었고, 학생들에게 제기된 답에 대한 수학적 판단 기회를 부여하여 대화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교사 발문에 대해 심리적 저항을 보였다는 점에서, 예비교사들의 심층적인 권위적 담화 지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보고한 교사교육 입문 초기 예비교사들의 담화인식은, 교실 담화에 대한 교사 전문성 교육 과정 설계에 유용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