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 Culture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다방문화의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 DA-BANG Culture)

  • 김석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호
    • /
    • pp.37-44
    • /
    • 199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nges that have happened to korea DA-BANG(tea-room). This survey was carried out from 1876 to 1997 an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korea DA-BANGS in Seoul.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1) DA-BANG came into being from Koryo ages and more DA-BANGS from 1920's. 2) DA-BANG has changed in the following order : GAEWHA DA-BAHG(that were used to meet, communicate and negotiate foreigners when out country was opening ports), MUNWHA DA-BANG(that were used cultural space for example, exhibitio, display etc.), SEANGWHAL DA-BANG(the place that used a part of living space ; meeting friends to make appointment, etc.), SANGUB DA-BANG(commercial tea-room ; the place that makes money.) 3) Considering early MUNWHA DA-BANG, we can regard the beginning of korea interior architecture as 1920's. 4) The decline of DA-BANG is due to the increase of vending machine, expensive tea, costly rent, employee's dear wages and customer's needs that pursues westernization and convenient life as well as the moodof more comfortable tea-room(for example, fresh air, agreeable mood etc.).

  • PDF

녹차 추출물을 이용한 어병세균의 collagen 분해효소 및 생육 억제 (Inhibitory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Collagenase Activity and Growth of Fish Pathogenic Bacteria)

  • 박선미;박수일;허민도;홍용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3-88
    • /
    • 1999
  • 녹차 추출물을 이용하여 각종 어병세균의 collagenase 활성과 생성 억제 및 생육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어병세균의 감염시에 필요한 효소인 collagenase활성을 8종의 어병세균에 대하여 측정한 결과 0.08-0.7unit/ml 범위로 나타났다. 그중 collagenase활성이 높은 Edwardsiella tarda의 collagenase 활성은 0.2 mg/ml의 녹차 추출물이 첨가된 반응액에서 거의 100% 저해되었다. E. tarda의 collagenase 생합성은 ST배지에서 $25^{\circ}C$, 16시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효소는 0.08 mg/ml의 녹차 추출물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1/3이상 생합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균의 생육에 미치는 녹차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8 mg/ml이 첨가된 배양액 내에서 균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 PDF

한국 전통음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I. 전통음료의 종류와 제조방법- (Literature Review on the Korean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I. Types and Processing Methods-)

  • 이철호;김선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54
    • /
    • 1991
  • 우리나라 전통 음청류에 관한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8세기부터 1940년대까지의 기록으로부터 주류를 제외한 전통음료의 종류와 제조방법을 조사하였다. 옛 문헌에 기술된 음청류는 모두 70여가지로 집계되었으며 이들을 제조방법과 품질특성에 따라 순다류, 유사다류, 탕류, 장류, 숙수류, 미음류, 미식류, 식혜류, 수정과류, 화채류의 10가지로 분류하였다. 옛 문헌에서는 장(漿), 탕(湯), 청(淸), 다(茶)사이에 명확한 구분을 하고 있지 않았다. 밥을 유산균 발효시켜 물로 회석하여 만든 음료인 장(漿)은 신라, 고려시대에는 보편화된 음료로 보이나 오늘날에는 완전히 잊혀진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의 음료는 18세기에 기술된 제조방법과 오늘의 제조방법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 PDF

'차(茶)' 관련 스마트폰 앱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와 특성: 20대를 중심으로 (Consumer Preferences for Tea-Related Smartphone Applications: Focus on 20's Consumers)

  • 유양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52-361
    • /
    • 2015
  • 차(茶)는 오랜 음용의 역사를 갖은 음료로서 커피, 코코아와 함께 세계 3대 기호음료로 알려져 있으며 생활문화와 전통이 함께하여 다양한 콘텐츠의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에 등록된 차연관 앱은 1,000개 이상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앱의 호감도가 높은 20대를 주 연구대상으로 차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차연관 앱의 기능은 무엇이고 선호하는 앱의 기능에 따라 소비자들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찾아보았다. 차 소비자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선호하는 차연관 앱 기능과 소비자들의 연령, 차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0대는 차 마시는 곳 찾기, 엔터테인먼트와 티타이머 기능을 더 선호하였으며 30대 이상의 소비자 층은 예절, 다례, 다기, 차에 관한 기록의 기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섭취량이 많은 소비자 층은 다례와 예절에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선호하는 앱 기능과 소비자들의 성별, 차 애호 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차연관 앱에 관한 소비자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차연관 앱 개발을 도모하고 전통음료를 배경으로 한 다양한 앱과 콘텐츠 개발과 발전에 기여하는데 뜻이 있다.

Study on making tea for sensory test, quality characteristics of bitter melon

  • Lee, Sang-Chang;Kim, Dong-il
    • Journal of Evidence-Based Herbal Medicine
    • /
    • 제2권2호
    • /
    • pp.25-31
    • /
    • 2009
  • 다양(多樣)한 약이적(藥理的) 기능(機能)을 가진 고과(苦瓜)를 좀 더 간편(簡便)하게 즐길 수 있도록 대용차(代用茶)로 가공(加工)한 이번연구를 통하여 국민(國民) 건강증진(健康增)에 좀더 효과적(效果的)으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번 고과(苦瓜)는 쓰고,떫은 맛, 의 대부분(大部分)을 기존의 가공법(加工法)과 전통(傳統) 제차(製茶) 및 재료(材料)의 특성(特性)에 맞게 변형(變形)한 제차(製茶)법을 통(通)하여 맛과 향(香)의 변화(變化)를 좀 더 기호(嗜好)에 맞게 변(變)하게 만들 수 있었다. 이번 연구(硏究)를 통하여 한약재(韓藥材)를 통한 대용차(代用茶)로서의 가능성(可能性)을 충분(充分)히 확인(確認)하였으며 그동안 우리나라의 차(茶) 문화(文化) 및 한약재(韓藥材)의 묘사어구(描寫語句) 및 표현(表現)여구가 부족함을 느꼈으며 이번 연구(硏究)를 통하여 체계적(體系的)인 모습을 갖추었으면 한다.

  • PDF

제조방법을 달리한 차의 주요성분과 생리활성 (Major Constituents and Bioactivities of Tea Products by Various Manufacturing)

  • 조광호;배유림;양은정;박은지;마승진;박용서;정동옥;정순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96-602
    • /
    • 2006
  • 본 연구는 한지역에서 생산된 동종의 차 엽을 같은 시기에 채취하여 불발효차와 반발효차로 발효정도가 다르게 제다하여 주요 성분과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불발효차인 녹차는 일반 가공 방식대로 만든 녹차, 채엽하여 실내 위조의 과정을 거쳐서 만든 위조 녹차로 만들었고, 반발효차인 황차는 햇볕에서 제다한 중(中)발효차인 일쇄차와 강하게 발효를 한 황차를 시료로 하였다. 주요 성분은 일반성분 및 폴리페놀과 카페인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차의 수색,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 및 ACE 저해능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차의 일반성분은 발효정도와 제다방법에 따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의 기능성분을 조사해 본 결과 total phenolic compound 함량은 $3.59%{\sim}3.87%$의 범위로 나타나 발효정도와 제다방법에 따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caffeine 함량은 녹차가 5.81%로 가장 높았으며, 위조차가 5.75%, 일쇄차가 3.46%, 황차가 2.66% 순으로 발효정도에 따라 caffeine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차의 수색은 발효정도가 강할수록 명도(L)는 감소하였고, 녹색도(-a)가 낮아지면서 적색(a)에 가까워졌으며, 황색도(b)는 발효정도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차의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녹차가 85.6%로 가장 높았으며, 위조차가 81.24%, 일쇄차가 72.84%, 황차가 28.85% 의 순으로 불발효차 일수록 항산화활성이 뛰어났으며 ACE 효소 활성 역시 불발효차 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그 차이는 미비하였다.

충북지역 아동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의식과 기호도 - 명절음식, 떡, 전통음료 -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 Tradition Holiday Food, Rice Cake, Non-Alcoholic Beverage -)

  • 정은희;현태선;최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9-410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such as traditional holiday foods, rice cakes and beverages. The subjects were 598 elementary school students(male 310, female 288) in fifth or sixth grades. The most favorite traditional holiday food was rice cake soup(57.4%) and 92.4% of subjects wanted to keep the traditional holiday foods because of the traditional custom. The traditional beverages mainly drinking at home were sikhye(35.6%), misugalou(30.2%), green tea(18.5%), etc. Children's most favorite beverage was misugalou(90.5%) and they had no taste for ginseng tea(39.6%). Children did not know well about booggumi(64.1%), dootubdduk(63.3%), whajun(39.6%), etc. and liked gguldduk(94.2%) better than the others. They liked the rice cake because of its good taste(69.0%) and disliked it because of chocking(30.9%), not eating frequently(29.5%), hard and tough(18.2%), and so on. And they wanted to make the rice cake softer and sweeter like the cake and mostly ate it on the traditional holi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