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ste compound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초

소아치과 임상에서의 Thermoformed Appliance의 적용 (APPLICATION OF THERMOFORMED APPLIANCES IN PEDIATRIC DENTISTRY)

  • 김신;정태성;양철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39-544
    • /
    • 1998
  • 저자는 열성형재료와 진공성형기를 이용하여 소아치과 임상에서 사용되는 수 종의 장치를 제작하였다. 전공성형기의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은 있으나, 기존의 제작법에 비해 제작이 간편하여 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plate 의 두께가 균일하므로 finishing이 거의 필요하지 않으며 더욱 심미적인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조직과 접촉하는 부위는 soft한 열성형재료를 사용하여 치아 이동에 유리할 뿐 아니라, 기존의 resin에 비해 불쾌한 맛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Monomer가 없어 조직에 자극이 적고 mutagenous potential이 없으므로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 조직의 적응이 용이하다. 복잡하거나 특수한 기능 및 견고성이 필요한 악기능교정 장치 등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된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소아치과 임상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장치를 쉽고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어 앞으로 임상에서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제주도산 까막전복의 해조류 섭식선호도와 섭식자극물질 (Feeding Stimulants and Feeding Preference of Haliotis discus Reeve (Jeju Island) to Marine Algae)

  • 이준백;김보영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458-470
    • /
    • 2013
  • Haliotis discus, a useful abalone of herbivorous gastropod, shows feeding preference to marine algae depending upon their growth stage and recognition of tas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is abalone's algal preferences and the presence of feeding stimulants. In single-choice experiments the small (S) group generally preferred Ulva pertusa (Chlorophyta), whereas the medium (M) and large (L) group preferred both Laminaria japonica (Phaeophyta) and Undaria pinnatifida (Phaeophyta). In multi-choice experiments using 4 algal species of L. japonica, U. pertusa, U. pinnatifida and Ecklonia cava (Phaeophyta), the results were same as in the single-choice experiments; the S group preferred U. pertusa the most, while the M and L group preferred both U. pinnatifida and L. japonica. However E. cava was not preferred by any groups. In order to examine the presence of feeding stimulant, chemical compounds from algae used as feed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The abalone responded to water soluble matters of L. japonica, U. pinnatifida and U. pertusa, but those of E. cava and Sargassum sagamianum (Phaeophyta) were not attractive to them. In feeding stimulant experiments using fat soluble matters, the S group preferred the fat soluble matter of U. pertusa the most, while the M group and the L group preferred those of U. pertusa and U. pinnatifida, and those of L. japonica, respectively. However the fat soluble matter of S. sagamianum was not attractive to the abalone. The results of feeding stimulant experiments were same as those of single-choice or multi-choice experiments, which showed that compound lipids in fat soluble matter might act as feeding-stimulant.

청갓과 청갓김치의 핵산관련물질의 동정 및 함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Composition of Nucleosides from Mustard Leaf and Mustard Leaf Kimchi)

  • 김재이;최재수;김우성;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96-801
    • /
    • 2000
  • Kimchi is the Korean traditional food which is fermented properly from salted Korean cabbage of raddish with other various supplements. Kimchi therefore can be the major sources for various kinds of nutrients and other biological substances. The fermentation process accompanies with complicated reaction mechanism which bacteria, fungi and yeast are involved and they produced aroma, taste and bioactive components. To identify nucleosid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freeze-dried mustard leaf, mustard leaf kimchi and fermented mustard leaf kimchi. Hexane, CH$_2$Cl$_2$, EtOAc and BuOH was used in order to extract their components. The isolated compounds I and II from mustard leaf and mustard leaf kimchi were identified as adenosine and uracil using UV, $^{1}H$-NMR, $^{13}C$-NMR and LC-MS, respectively. Compound I, II and nucleosides are the first report of its occurrence from mustard leaf and their kimchi, the standardized ratios of ingredients for kimchi were 10 of anchovy juice, 8 of red pepper powder, 3 of garlic, 1.5 of ginger, 6 of paste of glutinous rice. The nucleoside of mustard leaf and their kimchi was determined and compared. The order of nucleosides contents of mustard leaf was uridine>cytosine>uracil>adenine>guanosine>guanin, that of fresh mustard leaf kimchi was uridine>uracil>cytosine>guanine>adenosine>adenin>guanosine and that of fermented mustard leaf kimchi (5days at 15$^{\circ}C$) was guanine>adenine>adenosine>guanosine. The differences of nucleoside contents from those were due to various supplements and fermentation process.

  • PDF

Effect of Feeding Alfalfa and Concentrate on Meat Quality and Bioactive Compounds in Korean Native Black Goat Loin during Storage at 4℃

  • Kim, Hye-Jin;Kim, Hee-Jin;Kim, Kwan-Woo;Lee, Jinwook;Lee, Sang-Hoon;Lee, Sung-Soo;Choi, Bong-Hwan;Shin, Dong-Jin;Jeon, Ki-Hong;Choi, Jin-Young;Jang, Ae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517-535
    • /
    • 2022
  •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feeding alfalfa: Concentrate at different ratios (8:2 or 2:8) to Korean native black goats (KNBG) for 90 days on meat quality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 Feeding KNBG alfalfa and concentrate at different ratios did not impact meat pH, color, microorganism composition, volatile basic nitrogen levels, or lipid oxidation. The low alfalfa (KLA) group exhibited increased oleic acid and monosaturated fatty acid levels, both of which impact the palatability traits of meat. The abundance of bioactive compounds increased in the loin meat of the KLA group, leading to an increase in antioxidant activities. Our results suggest that feeding alfalfa and concentrate at a 2:8 ratio to KNBG can increase taste-related fatty acids and bioactive compounds in loin meat, relative to that achieved by feeding at an 8:2 ratio. Further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evaluate the quality and the metabolites of bioactive compounds in KNBG meat and the effect of the different dietary ratios of forage and concentrate.

여주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with Momordica charantia powder)

  • 이선호;홍은진;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5-3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여주의 기능성을 활용한 양갱을 제조하여 물성을 측정하고, 소비자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쓴맛을 느끼지 않게 하기 위하여 건조한 여주를 $180^{\circ}C$에서 roasting하였다. 생리활성 물질인 phenolic compound의 함량은 raosting한 여주 물추출물에서 $6.30{\pm}0.17mg/g$으로 가장 높은 추출률을 보였다. Phenolics 농도를 $50{\sim}200{\mu}g/mL$으로 조절하여, non-roasting한 생여주와 roasting한 볶은여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non-roasting한 여주와 roasting한 여주가 각각 74.06~92.71%, 86.06~94.07%이었으며, ABTS는 36.26~98.03%와 67.02~99.60%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는 2.19~2.25 PF와 2.20~2.36 PF이었으며, TBARS는 13.81~40.97%와 23.32~82.47%이었다. 여주 알콜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50{\mu}g/mL$의 저 농도에서 항산화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또한 roasting한 여주가 non-roasting한 여주보다 항산화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alpha}$-Glucosidase 활성저해 효과는 non-roasting한 여주의 경우 알콜 추출물에서는 물추출물에 비해 높은 효소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첨가하는 여주 phenolics에 대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가 높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여주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양갱은 경도,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등의 기계적 조직감과 색깔 등이 첨가되는 여주분말의 농도에 비례하여 품질이 나빠졌다. 또한, non-roasting 여주 분말을 사용했을 때는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색, 향, 맛, 조직감, 전체적 기호도 등의 관능적 특성이 나빠졌으나, roasting한 여주분말을 사용했을 때는 1% 이하의 저 농도에서는 관능적 특성이 오히려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주분말을 부재료로 사용하여 양갱을 제조할 때, 기능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고려한다면 roasting하여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며, 사용농도는 1% 이하의 농도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백하수오의 식품학적 영양 성분 및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을 통한 관능적 특성 검토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Volatile Properties, and Sensory Attributes of Cynanchi wilfordii Radix: Characterization Study)

  • 임호정;김재겸;조계만;주옥수;남상해;이신우;김현준;신의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64-572
    • /
    • 2015
  • 본 연구는 백하수오가 가지는 일반 성분과 영양 성분에 대한 탐색을 실시하였다. 무기질에서 높은 칼륨 성분을 보이고 있었으며 라디칼 소거능 역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에서는 유리 및 구성 아미노산 모두 arginine이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생리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는 ${\gamma}$-aminobutyric acid(GABA) 역시 높은 함량을 보이고 있다. 지방산 조성을 볼 때 필수지방산으로 알려진 linoleic acid가 가장 주된 지방산으로 나타났으며 ${\omega}$-3 계열인 linolenic acid가 존재하는 것으로 볼 때 우수한 영양적 조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관능검사를 통해 백하수오차의 경우 녹차에 비해 약간의 쓴맛과 단맛이 부족하다고 측정되었으나 농도 조절이나 부재료 첨가를 통해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내당성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에 의한 늦수확 후지 사과의 사과주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ider from late harvest Fuji apples by a sugar 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

  • 김동현;이새벽;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917-924
    • /
    • 2014
  • 정상수확 후지와 늦수확 후지 사과를 속성 발효 효모인 S. cerevisiae SS89로 발효하면서 발효 특성을 조사하는 한편 사과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정상수확 및 늦수확 후지사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각각 13.0, $13.6^{\circ}Brix$로서 늦수확 후지 사과가 다소 높았으나 총산의 함량과 경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과주의 발효 중 pH와 총산 함량의 변화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가용성 고형분의 감소, 알코올 함량 및 효모 생균수의 증가에 있어서 늦수확 사과의 경우가 빠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 말기 잔존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최종 알코올의 농도는 수확기와 무관하게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늦수확 사과주의 경우 정상수확 사과주보다 다소 낮기는 하였으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1.27 mg/mL, DPPH 라디칼 소거능이 89.5%로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malic acid 함량과 hue 값, 명도 및 황색도 등이 다소 높았으나 아세트알데히드, 에틸아세테이트, 고급알코올의 함량 등은 매우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늦수확 사과주는 향에 있어서는 유사한 값을, 색에 있어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맛에 있어서 정상수확 사과주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베리류로 제조한 식혜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made with Berries)

  • 양지원;정성근;송경모;김영호;이남혁;홍상필;이경희;김영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07-101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베리 종류에 따른 식혜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블루베리, 복분자, 오디, 딸기, 라즈베리식혜의 일반성분, pH, 정미성분, 항산화 특성 및 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베리식혜의 일반성분은 조지방 함량을 제외하고 베리 종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복분자식혜의 조단백과 회분함량이 가장 높았다. pH는 딸기식혜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베리 종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정미성분의 당도, 유리당, 적정산도, 총산도 및 유기산은 다음과 같다. 당 함량은 딸기식혜가 $17.71^{\circ}Bx$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블루베리식혜가 $15.15^{\circ}Bx$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유리당 함량은 블루베리식혜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라즈베리식혜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적정산도, 총산도 및 유기산 함량은 라즈베리식혜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복분자식혜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148.83 mg GAE/g, 52.04 mg CAE/g, 61.61 mg CGE/g으로 다른 베리식혜에 비해 가장 높은 항산화 성분 함량을 보였다. 또한 복분자식혜의 DPPH radical 소거능, 환원력 및 FRAP법을 이용한 항산화력은 87.71%, 97.73 mg AAE/g, 126.33 mg AAE/g으로 다른 베리식혜에 비해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베리식혜의 백색도는 딸기식혜가 적색도와 황색도는 라즈베리식혜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베리식혜 종류에 따른 일반성분, pH, 정미성분, 항산화 특성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된 것으로 예상되며, 건강증진 식품으로서의 베리식혜를 인식시켜 나아가 소비 촉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나무껍질 추출물(피타민)을 섭취한 닭고기의 품질 및 저장성 (The Shelf Life and Meat Quality of Broilers Fed Pine Bark Extract (Pitamin))

  • 박병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30-436
    • /
    • 2009
  • 소나무껍질 추출물인 피타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발휘하는 항산화 및 항균제로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또한 인간의 삶에서 폭넓게 이용되었다. 브로일러 사료 내 피타민 프리믹스가 닭가슴살의 품질특성, TBARS 평가 및 관능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35일간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처리구 4개는 대조구, 항생제 0.1% 첨가구, 피타민 프리믹스 0.1%, 피타민 프리믹스 0.2% 첨가구로 구분하였다. 닭 가슴살의 단백질과 아미노산 함량은 각 처리구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피타민 프리믹스 첨가사료를 섭취한 닭고기의 pH는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 보다도 낮았으나, 닭 가슴살의 보수력은 피타민 프리믹스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닭 껍질을 포함한 다리살의 TBARS 값은 저장일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피타민 프리믹스 첨가구가 대조구 및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항생제 첨가구를 제외한 삶은 닭고기의 관능평가 성적은 피타민 프리믹스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 결과는 브로일러 사료 내 피타민 프리믹스가 닭고기의 품질, 맛, 향 그리고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Comparison of Storage Stability,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Properties between Coarsely-and Finely-Marbled 1+ Grade Hanwoo Beef Loins

  • Cho, Soohyun;Lee, Wangyeol;Seol, Kuk-Hwan;Kim, Yunseok;Kang, Sun Moon;Seo, Hyunwoo;Jung, Younbok;Kim, Jinhyoung;Ba, Hoa V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97-511
    • /
    • 2020
  • This study aimed at comparing the storage stability, fatty acids profile, volatile flavor compounds and eating quality of Hanwoo beef longissimus thoracis (LT) muscles between two marbling morphological groups (fineness and coarseness). The 1+ grade Hanwoo LT muscles were measured for marbling fleck morphology at the 13th thoracic vertebrae location by using computerized imag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both marbling groups had similar proximate composition (protein, fat, moisture and collagen), color and technological quality traits (p>0.05). However, the coarse marbling group presented greater C18:2n6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s compared to the fine marbling group (p<0.05). Furthermore, the fine marbling group presented lower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ntents compared to the coarse marbling group after 14 d storage (p<0.05). Also, higher amounts of C18:2n6 oxidation-derived volatile compounds such as hexanal and 3-ethyl-2-methyl-1,3-hexadiene, were found in the coarse marbling group. In term of sensory aspects, the finely-marbled group received higher scores of flavor and taste compared to the coarse marbling group (p<0.05). Overall, the marbling flecks morphology partially showed its effects on the storage stability, fatty acids profile and eating quality of the 1+ grade Hanwoo beef LT mus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