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V white spac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8초

TV White Space 송수신기의 스펙트럼 센싱을 위한 RF 에너지 검출 회로 설계 (Design of RF Energy Detector for Spectrum Sensing in TV White Space Transceiver)

  • 김종식;신현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83-91
    • /
    • 2012
  • TV 대역 White Space 송수신기에서 스펙트럼 센싱을 위한 RF 에너지 검출기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에너지 검출기는 RF 능동 필터 구조에 기반하며, RF 저잡음 증폭기에 고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피드포워드 루프를 추가함으로써 원하는 RF 주파수 성분만 통과시키고 그 외의 대역은 감쇄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구조가 갖는 단점인 단측파 대역만 억압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양측파 대역을 동시에 억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하였고, 간단한 시스템 모델링을 통해 구성요소의 Non-ideality에 의한 RF 에너지 검출기 성능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시스템 시뮬레이션을 통해 양측파대역이 효과적으로 감쇄되어 RF 에너지 검출기로서 동작할 수 있음을 보였다.

TV 유휴 대역을 활용한 유망 비즈니스 모델의 평가 및 활성화 정책 연구 (Evaluation and Promotion Policy for Promising Business Models Based on TV White Space)

  • 김태한;송희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909-922
    • /
    • 2012
  • 유한한 전파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파자원을 활용한 유망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 평가하고, 이에 기반하여 구체적인 기술 개발 계획과 산업 활성화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래 전파 활용 유망 분야를 탐색하여 성공 가능성이 높은 유망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고, 제시된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 타당성을 평가하며, 비즈니스 모델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역 또는 시간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TV 채널인 TV 유휴 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는 최근 지상파 TV 방송의 디지털 전환에 따라 핵심적인 전파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연구 결과, 방송형과 통신형을 비롯한 네 가지 비즈니스 모델이 도출되었으며, 각 비즈니스 모델을 고객 가치, 이익 공식, 핵심 자원, 핵심 프로세스 등 4가지 관점에서 고찰하고, 기술성, 사업성, 수용성 측면에서 사업화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TV 유휴 대역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사회 구성원의 과제를 논의하였다.

TV White Spaces에서의 CR 기술 동향 (Trends of the CR Technology in TV White Spaces)

  • 고광진;박창현;송명선;엄중선;유성진;임선민;정희윤;황성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4권3호
    • /
    • pp.91-102
    • /
    • 2009
  •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미국 연방통신위원회)는 2008년 11월 스펙트럼 사용 효율을 높이고 새로운 서비스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TV White Spaces를 대상으로 주파수 공유 기술인 Cognitive Radio 기술을 적용하기로 하고 관련 규정을 개정하였다. FCC는 TV White Spaces에서 고정 서비스와 개인/휴대서비스기기 사용을 허용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2009년 5월 12일 DTV 전환 완료 이후 관련 기기 사용을 허용하기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FCC의 법규 개정 현황과 함께 이를 기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IEEE 802.22, TV White Spaces ECSG, ECMA에서의 표준화 동향을 설명하고, 핵심 기술로서 스펙트럼 센싱 기술, 무선자원관리 기술, PHY/MAC 관련 기술 개발 동향에 대해 요약 기술하였다.

TV White Space 생태계 및 상용/시험 서비스 도입 현황 (TV White Space Ecosystem and Commercial & Trial Service Trends)

  • 장재혁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8권3호
    • /
    • pp.160-169
    • /
    • 2013
  • 최근 주요국에서 주파수 자원 개방의 일환으로 TV White Space(TVWS) 관련 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며, Super-WiFi 및 WRAN을 통한 활용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이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주파수 부족 문제 해소 차원 외에도 비면허 및 저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특성으로 인해 신규 서비스의 등장과 다양한 산업이 개발되고 육성되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비(非) 통신계 사업자에게는 큰 기회가 되고 있다. 이에 DB 기반의 TVWS 상용 및 시험 서비스가 가시화됨에 따라 주요국에서 등장하는 TVWS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TVWS 서비스의 생태계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시장환경에 적합한 White Space 서비스 도입 방안제시와 함께 DB 운영 및 이용자 측면에서 바람직한 상용화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Protection of Incumbent Services and Its Impact on Coverage of TV Band Device Networks in TV White Space

  • Kang, Kyu-Min;Park, Jae Cheol;Cho, Sang-In;Park, Seungkeun
    • ETRI Journal
    • /
    • 제38권1호
    • /
    • pp.112-122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 set of candidate regulatory requirements for TV band devices (TVBDs) in the Rep. of Korea. To guarantee the protection of incumbent services, especially digital TV (DTV) and wireless microphones, in TV frequency bands, we suggest minimum separation distances of TVBDs from the noise-limited contour according to incumbent users and TVBD types. This paper also deals with multiple sets of separation distances of a co-channel TVBD network from a DTV protected contour on the basis of the radio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geographic areas to make good use of TV white space (TVWS) and safely protect the DTV service. We present a low-power transmission mode of TVBDs and the relevant separation distances for small-cell deployment. The service coverage reduction ratio of a TVBD network is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DTV interference in four geographic areas. The TVWS field verification results, conducted on the island of Jeju (Rep. of Korea), show that incumbent services operate well without harmful interference from neighboring TVBDs with the proposed separation distances.

위치확률 기반의 하이브리드 WSD 무선자원 할당 방안 연구 (Research o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a Hybrid WSD Based on Location Probability)

  • 장형민;이원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454-462
    • /
    • 2016
  • 국내 TV 화이트 스페이스(TVWS) 기술기준에 따르면 디지털 TV(DTV) 서비스영역 내에서 고정 전력을 사용하는 휴대용 TV 화이트 스페이스 기기(WSD)의 경우, DTV 서비스 영역 경계 부분에서 전파환경이 변화하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TVWS geo-location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고정 전력할당 방안에 더하여 스펙트럼 센싱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WSD의 무선자원 할당 방안을 제안한다. 하이브리드 WSD의 현재 위치에서 DTV의 수신전력을 센싱하고, 위치확률을 계산하여 허용가능 실효 등방향 방사전력을 산출한다. 이러한 높은 정확도의 WSD 무선자원 할당 방안을 통해 WSD가 국내 기술기준을 만족하면서 주변 픽셀로의 유해한 간섭을 제거하고 주파수 효율을 향상시켰다.

Super Wi-Fi 환경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끊김없는 채널이동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hannel Handover Method for Super Wi-Fi Service Continuity in TV White Spaces)

  • 김명유;전유찬;박상원;박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B권11호
    • /
    • pp.1050-1057
    • /
    • 2012
  • Super Wi-Fi는 TV white space 대역을 이용하여 Wi-Fi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기술이다. 하지만, TV white space 대역 이용자는 기존 ISM 대역에서와 달리 incumbent user가 활성화될 때마다 Super Wi-Fi로 사용 중인 채널을 양보해야 하므로 Wi-Fi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Super Wi-Fi 서비스 영역에서 AP (access point)가 운용채널을 비워 주어야 할 때 다른 이용 가능한 TV 채널을 AP의 운용채널로 선택하고 이 결과를 MS (mobile station)에게 제공함으로써 Wi-Fi의 서비스의 연속성이 보장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AP의 운용채널에 incumbent user가 나타나면 즉시 운용채널을 비우지 않고 incumbent user에 간섭을 주지 않는 subcarrier들의 그룹인 active subchannel을 이용하여 MS에게 AP 자신이 운용할 다른 채널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 채널정보를 공유한 MS는 AP의 운용할 다른 채널로 빠른 채널 핸드오버를 할 수 있으므로 Super Wi-Fi 서비스 연속성 보장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시한 채널 핸드오버 방법을 기존 Wi-Fi 방법과 비교하여 핸드오버 지연시간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TV White Space에서 채널 본딩된 다양한 CR 시스템의 효율적인 검출 알고리즘 (The Efficient Detection Algorithm of Various CR signals using Channel Bonding in TV White Space)

  • 임선민;정회윤;정병장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5A호
    • /
    • pp.536-542
    • /
    • 2011
  • FCC는 디지털 방송 전환 후 발생되는 TVWS에서의 효율적인 스펙트럼 활용을 위해 비면허 시스템의 주파수 사용을 허용하였다. 다양한 면허 사용자 및 비면허 CR 사용자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최적 채널 선택을 위해서는 우선 채널 사용 현황 파악이 요구된다.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면허 사용자 채널 정보 외에는 센싱 알고리즘을 통한 검출이 필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단일 채널 수신만으로 채널 본딩된 비면허 CR 신호까지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전산 모의 실험 결과 IEEE 802.11af 신호는 단일 채널의 경우에는 SNR=-18dB, 8 채널 본딩 신호의 경우에는 SNR=-7dB에서 검출 확률이 9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동일 조건에서 ECMA 392 신호는 단일 채널의 경우에는 SNR=-14dB, 8 채널 본딩 신호의 경우에는 SNR=-6dB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제안 알고리즘을 통해 단일 채널 수신만으로 채널 본딩 신호의 검출이 가능해짐으로써 전채널 센싱 소요 시간의 감소 및 시스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V 방송대역에서 보호대역과 최대허용송신출력을 이용한 인접채널 공유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n Sharing of an Adjacent Channel using Guardband and Maximum Allowable Transmitter Power in TV White Space)

  • 조주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903-90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TV 주파수 대역내의 인접채널간 다른 통신 시스템들의 공존을 위한 공유 성능을 분석하였다. 간섭 송신기의 다양한 밀도와 전송출력에 따른 파라미터 성능 결과를 분석하였다. 각 시스템간의 간섭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두 경우가 분석되었다. 첫째로, 간섭시스템이 WiBro, 희생시스템이 WLAN인 경우와 두 번째로 간섭원이 WLAN이고 희생원이 WiBro인 경우이다. 채널 환경으로는 자유공간모델, Extended Hata, IEEE 802.11 모델을 이용하였다. 분석된 다양한 공유시나리오에서의 상호 공존 결과는 향후 인접 주파수 환경에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무선기기에 대한 상호 공존 조건을 마련하는 기술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V 화이트 스페이스에서 OFDM 기반 비인가 사용자의 파워 할당 기법 및 용량 분석 (Power Allocation and Capacity Analysis of OFDM-based Unlicensed User in TV White Space)

  • 임성묵;홍대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8호
    • /
    • pp.70-7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TV 화이트 스페이스(TV white space, TVWS)에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 비인가 사용자의 파워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비인가 사용자는 TVWS를 사용할 때, 시간 도메인에서 TVWS의 파워 제약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전송 파워를 조절해야 한다.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혹은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과 달리 OFDM은 시간 도메인에서 높은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을 가지기 때문에, 기존의 비인가 사용자의 파워 할당 기법이 TVWS에 적용될 경우 TVWS의 파워 제약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OFDM의 높은 PAPR값을 제어하여 순시적으로 TVWS의 파워 제약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파워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OFDM 기반 비인가 사용자의 용량을 닫힌 형태(closed form)로 분석한다. 이에 따르면, 부반송파의 개수를 줄일수록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의실험을 통해서, 비인가 사용자의 용량은 부반송파 개수가 작아질수록, 비인가 사용자의 송신단-수신단 간 채널 평균값이 커질수록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