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GGER

검색결과 1,473건 처리시간 0.029초

3차원 측정기를 위한 원자간력 프로브 성능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tomic Force Probe for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 정판곤;배규현;홍성욱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5-80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n atomic force probe for triggering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CMMs). A rigorous comparison is made between touch trigger probe and atomic force probe for CMMs. Typical CMMs(touch trigger probe based CMMs) often lead to some errors associated with object curvature and difference in triggering sensitivity. Their applicability is limited only to hard objects. The aim of this work is to develop a trigger sensor for CMMs using atomic force. In order to show the applicability of atomic force as a trigger sensor, a cylindrical shape is measured with a CMM and an atomic force microscope. Three different touch probe heads with different ball sizes are tested. The experiments show that smaller ball provides better results for curved objects. The experimental results also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atomic force as a trigger sensor is about that of the smallest ball probe. In addition, experiments are also performed to measure soft objects. Finally, this paper suggests and verifies a trigger sensor using atomic force for CMMs.

Case Study of a Patient with Trigger Finger after Conducting Pharmacopuncture according to the Progress

  • Jeong Ho Huh;Dong Heon Lee;Jun Young Lee;Ju Hwa Jeong;Seok Hee Kim;Kyung Jin Lee;Tae Han Yook;Kyeong Han Kim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9-104
    • /
    • 2023
  • Our study purpose was to report the clinical application of five different pharmacopunctures (Sweet BV, Scolopendrae Corpus, Chukyu, Cervi Parvum Cornu, and Hominis Placenta) for trigger finger. A patient was admitted to Ba-reun-mom S Korean Medicine Clinic and diagnosed with trigger finger. Because the effects of each pharmacopuncture have been confirmed in various acute to chronic cases, we treated a patient diagnosed with trigger finger using pharmacopunctures Sweet BV and Scolopendrae Corpus at the acute phase, Chukyu pharmacopuncture at the acute to chronic phase, and pharmacopunctures Cervi Parvum Cornu and Hominis Placenta at the chronic phase. This case was measured and assessed by Quinnell's classification of triggering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After treatment, the patient's fifth finger pain and function were improved. The VAS score decreased from 5 to 0. The Quinnell's classification of triggering score decreased from 2 to 0. This case indicated that a patient with trigger finger could be treated by five pharmacopuncture treatmen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regimen and disease progress.

Trigger Wrist with Carpal Tunnel Syndrome Accompanied with Trifid Median Nerve: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Sangho Oh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6호
    • /
    • pp.750-754
    • /
    • 2022
  • Trigger wrist, characterized by a clicking or snapping sensation around the wrist joint during finger or wrist motion, and bifid or trifid median nerve, which occurs in carpal tunnel syndrome along with anatomical variation of median nerve, are rare conditions. We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ith a thickened tendon caused by severe tenosynovitis and flexor tendon subluxation to the hamate hook due to bowing of the flexor retinaculum, thereby resulting in trigger wrist as well as an anatomical median nerve variation (bifid median nerve in the right wrist and trifid median nerve in the left wrist). A 59-year-old housewife visited our hospital with bilateral fingertip numbness, tingling sensation, and aggravated severe night cramping that began 2 months ago. She also complained about trigger wrist during small finger flexion. Bas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ultrasonography, and nerve conduction study, trifid median nerve and bilateral severe median nerve neuropathy of the wrist were diagnosed; therefore, transverse carpal tunnel release and exploration under wide-awake anesthesia were planned. Intraoperative findings showed trifid and bifid median nerves in left and right wrists, respectively. Additionally, bowing of flexor retinaculum and severe flexor tendon tenosynovitis were observed. Tenosynovitis with thickened flexor sheath resulted in subluxation of the small finger flexor tendon above the hamate hook. After transverse carpal ligament release with antebrachial fascia release and tenosynovectomy, subluxation of the flexor tendon was resolved. At 6 months postoperatively, the tingling and dullness in fingertips also resolved, and no trigger wrist or any other complications were noted.

Trigger Point 자침 및 한방치료로 호전된 중풍후유증 환자의 견비통 치험 3례 보고 (3 Case Reports of Trigger Point Needling and Oriental Medical Treatment to Shoulder Pain Patients in Stroke Sequelae)

  • 장용환;임해원;김지영;권강;김종화
    •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9-98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rigger point needling and oriental medical treatment to shoulder pain patients in stroke sequelae with three aspects of pain and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Trigger point needling was applied to 3 patients on supraspinatus, infraspinatus, deltoid, subscapularis muscle. For evaluating treatment, visual analog scale(VAS), passive range of motion(PROM), muscle strength evaluation(MSE) were checked. After treatment, VAS score of 1 cases were decreased. PROM of 1 case was improved and MSE of 2 cases were improved sligh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igger point needling and oriental medical treatment were effective on shoulder pain patients in stroke sequelae an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more case with shoulder pain in stroke sequelae.

  • PDF

상접한 공간 객체의 무결성 지원을 위한 공간 연산 트리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patial-Operation-Trigger for Supporting the Integrity of Meet-Spatial-Objects)

  • 안준순;조숙경;정보흥;이재동;배해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2호
    • /
    • pp.127-140
    • /
    • 2002
  •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타베이스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의미적 무결성을 지원해야 한다. 실세계의 경계(boundary) 레이어에서 경계는 주위의 공간 객체들과 항상 접해 있어야만 하는 상접(meet)한 성질과 두개 이상의 다른 공간 객체가 동일한 이름을 가질 수 없는 성질을 가진다. 이 성질은 실세계에서 묵시적으로 인지되는 개념이다. 따라서 공간 객체의 갱신으로 인해 레이어에 대한 묵시적인 개념이 위배될 경우 무결성 유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레이어에 대한 공간 객체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공간 연산 트리거를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SQL-3를 기반으로 공간 연산 트리거 정의어를 정의하고, 레이어에 대한 무결성 제약조건이 위배될 때 수행되며, 공간 연산 트리거 수행 전략으로 동일 레이어에 대한 공간과 비공간 데이타 트리거로 나누어 수행되고, 다른 레이어에 대한 비공간 데이타 트리거를 수행하는 기법이다. 공간 연산 트리거 관리기는 사용자에게 의해 정의된 공간 연산 트리거 정의어는 공간 연산 트리거 처리기를 통해 파스트리를 생성하여 카탈로그 관리기를 통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되며, 갱신 질의시 공간 연산 트리거 수행 처리기를 통해 공간 데이타베이스의 일관성을 유지시켜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공간 연산 트리거는 상접성을 유지해야 하는 공간 객체들의 의미적 무결성을 위해 공간과 비공간 데이타에 대하여 3 단계 수행으로 공간 객체에 대한 의미적 무결성 유지와 자동 보정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한다.

우레탄계 해체성 접착제의 해체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smantlement Property of Dismantlable Polyurethane Adhesive)

  • 김동호;정일두;김구니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1호
    • /
    • pp.26-34
    • /
    • 2010
  • 가열에 의해 해체가 가능한 열적특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합성하였으며 열팽창비드를 혼합하여 해체성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Dynamic mechanical thermal analyzer (DMA)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의 열적특성을 확인하였고 접착강도와 열팽창비드의 함량, 가열 trigger의 종류와 처리조건에 따른 해체특성을 연구하였다. 열풍과 microwave 처리에 의해서 해체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부피팽창에 따른 접착된 시편의 해체가 가능하였으며, 열팽창비드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접착된 피착재가 더 쉽게 분리되었다. 해체성 접착제에서 접착력과 해체특성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열팽창비드 사용량은 40%이였으며, 가열 trigger로 열풍을 사용한 경우에는 $160^{\circ}C$, 30 min의 조건에서, 가열 trigger로 microwave를 사용한 경우에는 조사시간 4 min의 조건에서 접착되어 있는 피착재가 완전히 해체되었다.

방아쇠 무지에서 부가적 활차의 치험 2례 (Additional Pulley in the Two Cases of Trigger Thumb)

  • 위서영;김철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87-190
    • /
    • 2010
  • Purpose: Pediatric trigger thumb is a condition of flexion deformity of the interphalangeal (IP) joint. The known surgical treatment is the release of the flexor pollicis longus by transection of the A1 pulley. We report two cases of pediatric trigger thumb that were resolved by releasing of additional pulley as well as A1 pulley. Methods: From March 2006 to April 2008, a total of 10 children with trigger thumb were operated. In two cases, transection of only the A1 pulley was insufficient to relieve the triggering. When more distally dissection, we found an additional pulley. After release of the additional pulley, the full extension of IP joint is obtain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In 8 cases, the trigger thumbs were resolved by transecting only the A1 pulley, does not extend beyond the base of the proximal phalanx. In one case, the additional pulley was found to be more distal to the A1 pulley. It was necessary to extend the release up to the half in the proximal phalangeal shaft. In other case, the additional pulley was immediately adjacent to the A1 pulley. Conclusion: In most cases of trigger thumb, division of just A1 pulley is sufficient to relieve the triggering. However, dividing the A1 pulley in two patients proved to be insufficient to relieve the flexed deformity. In these cases, we found that the additional pulley, different from previous known A1 pulley, had existed, which must be transected to allow full excursion of flexor pollicis longus.

Head Encoder와 Trigger 제어를 이용한 다입체 평판 프린터 개발 (Development of Multi-dimensional Flatbed Printer using Head Encoder and Trigger Control)

  • 김봉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47-52
    • /
    • 2020
  • 일반적인 평판 프린터 시스템은 PC와 전용 S/W로 구성되어 사용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결국, 평판 프린터 시스템 구성의 간소화, 스마트화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프린팅을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즉, 한 대의 프린터로 여러 종류의 소재에 인쇄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상품을 인쇄할 수 있는 다입체 프린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Head Encoder/Trigger 제어를 이용하여 다입체 인쇄가 가능한 평판 프린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평판 프린터 내부 모듈을 입력 형태 감지 센서를 연계시키고, 별도의 메인 콘트롤러를 통해 프린터의 Head Encoder와 Head Trigger 신호에 의해 모든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평판 프린터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IoT 기술의 발전 및 보급의 확산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스마트 환경의 프린터 제어가 발전된 형태로 확대될 것이며, 향후 3D 프린팅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방아쇠 수지 환자의 신바로 약침 치험례 (Case Report of a Trigger Finger Patient Treated with Shinbaro Pharmacopuncture)

  • 이민수;강경래;최아련;정유진;강아현;한동근;송우섭;이형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89-396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linical application of Shinbaro pharmacopuncture for trigger finger.Method: Because the effect of Shinbaro pharmacopuncture has been proven in various musculoskeletal cases, we treated a patient diagnosed with trigger finger using Shinbaro pharmacopunture. A 0-10 numerical rating scale (NRS) for pain and Quinnell’s classification for trigger finger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ree Shinbaro pharmacopuncture treatments.Results: After treatments, the patient’s pain was controlled (without any side effects), and the NRS score decreased from 8 to 1. The Quinnell’s classification of trigger finger score also improved (from 3 to 1).Conclusion: This case has shown that Shinbaro pharmacopuncture treatment could be effective for treating the clinical symptoms of trigger finger.

호흡동조방사선치료를 위한 Trigger mode 투시영상 획득 시 호흡 속도에 따른 정확성 평가 - Phantom Study (Evaluation of the Accuracy and usability of Trigger mode in 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 박제완;김민수;엄기천;최성훈;송흥권;윤인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3권
    • /
    • pp.25-33
    • /
    • 2021
  • 목 적 : 본 연구를 통해 호흡동조방사선치료(Respiratory Gated Radiation Therapy, RGRT)시 환자 호흡 속도에 따른 Trigger mode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호흡 속도에 따른 Trigger mode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QUASARTM 호흡 움직임 팬텀에 3 mm의 기준 표지자(Fiducial marker, gold marker)를 삽입하여 본원 한달 동안 환자의 평균 호흡인 20 bpm(Breath per minute)을 기준으로 4DCT 촬영 후 정중앙(Median)에 위치한 표지자에 윤곽 묘사(Contouring)를 하였다. OBI(On Board Imager)가 장착된 Truebeam STxTM를 이용해 방사선조사 구간인 Gating window를 Lower threshold는 2.0 mm로 모든 측정 조건에서 고정시키고, Upper threshold를 최고 위상으로부터 각각 1.0 mm, 1.5 mm, 2.0 mm, 2.5 mm, 3.0 mm로 바꿔가며 측정하였다. 위와 같은 조건에서 평균 호흡 속도인 20 bpm을 기준으로 10 bpm, 30 bpm, 40 bpm, 50 bpm, 60 bpm 호흡속도를 바꿔가며 방사선이 끊기는 순간인 'Once at beam off'로 5회 촬영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3일간 반복 촬영 후 각 속도 별 오차율을 비교하였다. 결 과 : 기준 호흡 속도 20 bpm에서 최고 위상으로부터 각각 1.0 mm, 1.5 mm, 2.0 mm, 2.5 mm, 3.0 mm Upper threshold에서 Trigger mode의 beam off시 차이는 3일간의 평균값으로 0.68±0.05 mm, 0.91±0.03 mm, 1.23±0.03 mm, 1.42±0.04 mm, 1.66±0.06 mm이다. 기준 호흡 속도(20 bpm)대비 호흡 속도 변화에 따른 측정 결과는 최대 절대차이(Absolute Difference)의 경우 1일차, 2일차, 3일차 모두 3 mm Upper threshold에서 평균 0.81±0.08 mm로 차이가 확인되었다. 호흡 속도와 절대차이의 편차(Variation)에 대한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결정계수 R2는 3일 평균 수치로 각각 0.838, 0.887, 0.770, 0.850, 0.906로 확인되었다. 3일간의 Threshold 모든 변수에서 p-value는 설정 유의수준 0.05 이하로 차이유의를 확인하였다. 결 론 : 호흡동조방사선치료 시 Trigger mode를 이용하여 영상유도를 할 경우 기준 호흡 속도(20 bpm)에서의 Trigger mode의 오차율이 평균 ±0.04 mm 값으로 정확성과 유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호흡 속도에 따른 부정확성(Uncertainty) 또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기준 호흡 속도 대비 느려지는 경우(< 20 bpm)보다 빨라지는 경우(> 20 bpm) 영상획득에 대한 부정확성은 커졌다. 따라서 사전 모의치료시의 호흡을 선별하고 호흡을 유지하기 위한 호흡교육과 치료 중 적극적인 실시간 모니터링(Monitoring)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