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C-C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49초

원적외선 처리가 상황버섯과 영지버섯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Phellinus igniarius and Ganoderma lucidum)

  • 이승철;주영철;김정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86-389
    • /
    • 2007
  • 원적외선 조사가 상황버섯과 영지버섯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30, 60, 90 그리고 120분 간격으로 원적외선을 조사를 한 후, 물 추출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은 원적외선 처리시간에 비례하여 갈변도, 총당, 총페놀, 라디컬소거능 및 환원력이 증가하였으며, 120분 처리 후 갈변도는 2.1 배, 총당은 2.6배, 총페놀은 2.2배 , 라디컬 소거능은 2.2배, 환원력은 1.6 배 증가하였다. 또한, 원적외선 120분 조사에 의해 영지버섯 추출물의 갈변도, 총당, 총페놀 및 라디컬소거능도 각각 1.7배, 2.0배, 2.3배, 1.3배 증가하였다. 그러나 환원력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효과는 상황버섯에 비해 다소 낮았다. 이상의 결과 원적외선 조사가 상황버섯과 영지 버섯의 당류 및 페놀화합물의 추출을 촉진하여 항산화능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냉수침지 숙성법이 진공포장 한우육의 연도 및 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bmersion Aging in Chilled Water on Tenderness and Microbial Growth of Vacuum-Packed Hanwoo Meat)

  • 주선태;이한기;강근호;신철우;양한술;문성실;이정일;김영환;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8-233
    • /
    • 2002
  • 본 연구는 진공포장 한우육의 냉수침지 숙성방법이 한우육의 연도 및 미생물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근절길이는 냉수침지 처리구가 저장 3일째 유의적(p<0.05)으로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 장 3일째를 제외 한 저 장기간 동안 유의적 인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구에 비해 긴 경향을 보였다. 또한 유리칼슘 농도에 있어서도 저장 7일 째 냉수침지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역시 저장 7일째를 제외한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전단가와 근원섬유 소편화 지수에 있어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두 처리구간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냉수침지 처리구가 상대적으로 낮은 전단가와 높은 소편화지수의 경향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냉수침지 숙성이 일반공기순환냉장고의 숙성보다 근절의 길이를 길게 하고, 근형질내 칼슘의 농도를 높이며, 소편화 지수를 높게 한 결과 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사료된다. 덧붙여, 총세균수는 일반공 기순환냉장실에 저장한 것에 비해 냉수침지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온도의 변이를 줄이는 것에 기인하여 미생물의 성장억제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완두나물 재배에 적합한 유용자원 선발과 완두나물 적정 재배조건 설정 (Evaluation of Pea (Pisum sativum L.) Genetic Resources for Sprout and Analysis of Optimum Culture Condition for Pea Sprout)

  • 구성철;강범규;김현태;서정현;정광호;윤홍태;오인석;최만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84-490
    • /
    • 2015
  • 본 연구는 완두나물로 활용 가능한 유전자원을 선발하고, 그에 적합한 재배조건을 설정하고자 재배 온도 및 기간에 따른 완두나물의 재배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여 완두를 이용한 채소용 나물 최적 재배 조건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 완두 유전자원 38점 중 완두 나물로 이용 가능한 자원으로 PI269803, PI343278, PI343283, PI343300와 PI343307을 1차적으로 선발하였다. 2. 1차 선발된 완두자원을 대상으로 완두나물 재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20^{\circ}C$, $23^{\circ}C$$25^{\circ}C$에서 각각 7일간 재배하였다. 그 결과 전장과 배축장은 $20^{\circ}C$$25^{\circ}C$에 비해 $23^{\circ}C$에서 가장 높게 증가하였다. 3. 재배온도별 나물수율은 $23^{\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전자원 PI269803와 PI343300이 다른 자원에 비해 높은 나물수율을 나타내었다. 4. 재배온도별 완두나물의 조단백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온도에 따른 조단백질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5. 재배 온도별 완두나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함으로써 항산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I343278와 PI343283에서는 재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폴리페놀 함량과 자유 라디칼 소거능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I269803와 PI343300에서는 $20^{\circ}C$$25^{\circ}C$에 비해 $23^{\circ}C$에서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6. 높은 나물수율과 항산화 특성을 보이는 PI269803과 PI343300은 완두나물 이용에 적합한 자원으로 예상된다.

열처리 방법이 적무 새싹종자(Raphanus sativus)의 미생물 저감화 및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microbial reduction and germination rates of red radish sprout seeds (Raphanus sativus))

  • 전소윤;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4-548
    • /
    • 2014
  • 본 연구는 환경 친화적인 새싹채소류의 고품질화를 위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살균기술을 개발할 목적으로 국내산 적무 종자의 다양한 열처리 방법에 따른 발아율과 미생물 저감효과를 조사하였다. 열수처리는 60, 65, 70, 75, 80, $90^{\circ}C$에서 각각 30, 60초간 실시하였고, 건열처리는 70, 80, 90, $100^{\circ}C$에서 5분간 실시하였다. 열수 처리에 따른 미생물의 제어효과는 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온도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7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총세균수는 3 logs 이상의 감소를 보였으며, L.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건열처리는 온도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100^{\circ}C$에서 5분간 처리한 후 총세균과 L. monocytogenes 수는 3 logs 이하 감소하였다. 열수처리에 따른 발아율의 변화는 처리 전과 후 모두 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75^{\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온도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한편, 열수처리 후 침지시킨 종자에서 발아가 더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열처리에 따른 발아율은 $8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온도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건열처리한 후 증류수에 3시간 침지시킨 종자의 발아율은 $9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적절한 열처리는 $75^{\circ}C$, 30분 이상의 열수처리하는 방법으로, 적무 새싹채소의 종자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발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섬개야광나무 잎 추출물 및 분획물의 생리활성 평가 및 활성 물질 분리 (Biological Activities and Separation of Active Substance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Cotoneaster wilsonii Nakai Leaf)

  • 유남호;김희규;송재모;이찬옥;박주희;박병준;최영빈;백영선;황연지;김명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12-418
    • /
    • 2019
  • Background: Previously, studies have observed that the leaf extract of Cotoneaster wilsonii Nakai has poten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es. Therefore, further research was conducted to separate the acti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ompounds in the leaf of the C. wilsonii. Methods and Results: The anti-oxidant effects were evaluated by analyz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stimating the totla phenolic content (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FC), and using reducing power assay method. The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demonstrat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9.69 ㎍/㎖), and the highest TPC and TFC (345.98 mg·GAE/g, and 74.23 mg·QE/g). Moreover, it indicated the highest effec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Therefore, the active compound was separated using the EtOAc fraction, determined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and identified as (+)-catechin. Conclusions: The first compound separated was made from the leaf of C. wilsonii was (+)-catechin, which produced poten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감귤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대한 원적외선 처리의 효과 (Effect of Far - Infrared Radi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s)

  • 정석문;김소영;박해룡;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80-1583
    • /
    • 2004
  • 원적외선 조사가 감귤 과피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0, 20, 30, 40 그리고 50분 간격으로 원적외선을 조사한 후,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총 페놀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그리고 환원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무처리구의 경우 각각 71.9 ${\mu}$M, 29.64%, 0.451(흡광도)인 것에 비해 원적외선을 30분 처리한 경우 133.9 ${\mu}$M, 51.27%, 0.675의 최고 값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원적외선 조사에 의해 감귤 과피에 존재하는 불활성화된 페놀성 화합물이 유리 활성화됨으로서 감귤 과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증가하였음을 시사한다.

대용량 메모리 데이타 처리를 위한 범용 하드웨어 기반의 원격 메모리 시스템 (Large-Memory Data Processing on a Remote Memory System using Commodity Hardware)

  • 정형수;한혁;염헌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4권9호
    • /
    • pp.445-45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메모리 데이타 처리를 위한 범용 하드웨어 기반의 원격 메모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느린 디스크와 상대적으로 대단히 빠른 접근 속도를 보장하는 메모리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 새로운 메모리 계층을 구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일반적인 범용 데스크탑 PC들과 원격 직접메모리 접근 (이하 RDMA) 기능이 가능한 고속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였다. 제안된 새로운 계층의 메모리는 합리적인 응답시간과 용량을 제공함으로서 비교적 적은 양의 성능 부담으로서 대용량의 메모리 상주 데이타베이스를 구동할 수 있게 되었다. 제안된 원격 메모리 시스템은 원격 메모리 페이지들을 관리하게 되는 원격 메모리 시스템과, 원격 메모리 페이지의 교체를 관리하게 되는 원격 메모리 페이저로 구성되어 있다. 범용으로 쓰이는 MySQL과 같은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한 TPC-C 실험 결과로 볼 때 제안된 원격 메모리 시스템은 일반적인 대용량 메모리 데이타 처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mellia Oleifera Seed Oils

  • Zhou, Qing-Fen;Jia, Xue-Jing;Li, Qian-Qian;Yang, Rui-Wu;Zhang, Li;Zhou, Yong-Hong;Ding, Chun-Ba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2호
    • /
    • pp.123-129
    • /
    • 2014
  •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mellia oleifera seed oil were studied. Four kinds of seed oil samples were prepared, crude oil and refined oil, extracted by cold pressing method (CPC, CPR), and organic solvent extraction (OSC, OSR).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was measured in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diammonium salt,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assays. Besides, the percentage of inhibition of red blood cells hemolysis induced by 2,2'-azobis(2-amidnopropane) dihydrochlorid, the lag time of LDL conjugated dienes formation in vitro, and the inhibitors of loss in tryptophan fluorescence were all used to estim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ample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TPC) were detemined by Folin-Ciocalteu method. The TPC of the C. oleifera seed oils can be arranged in descending order: CPC ($1.9172{\mu}g/mL$) > OSC ($1.5218{\mu}g/mL$) > CPR ($1.0611{\mu}g/mL$) > OSR ($0.6782{\mu}g/mL$). And the oils were investigated for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Aspergillus niger. The results show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rude oil by cold pressing method was stronger than others, and all oils did inhibit activity of the top three bacteria expert A. niger. The further significance of the study contributes to measur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by the different methods of preparation and the oil of C. oleifera seeds acting as free radical scavenger, pharmaceuticals and preservatives may offer some information in medicine and cosmetic not just in food field.

PRMS: SSDs에서의 Page 재배치 방법 (PRMS: Page Reallocation Method for SSDs)

  • 이동현;노홍찬;박상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7D권6호
    • /
    • pp.395-404
    • /
    • 2010
  • Solid-State Disks (SSDs)는 빠른 접근 시간, 적은 전력소모, 전기 충격에의 내성과 같은 장점으로 인해 하드 디스크를 대체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SSDs는 임의 쓰기(random write)로 인한 수명 단축이란 단점이 있으며 이는 SSDs 컨트롤러의 구조와는 별개로 나타나고 있다. SSDs와 관련한 기존 연구는 컨트롤러의 더 나은 디자인과 쓰기 연산의 감소에 주력하였다. 본 연구는 동시에 쓰여지는 경향이 있는 여러 데이터 페이지를 연속적인 블록에 배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식은 우선 특정 기한 동안 쓰기 연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쓰기 연산에 대한 정보를 트랜잭션화 하여 frequent itemset을 추출하고 이를 연속적인 블록에 재배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연구는 frequent itemset의 page를 재배치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TPC-C 기반 실험에 있어 본 연구가 제안한 재배치를 수행한 결과 저장 기기 접근 횟수를 평균 6 % 감소시킬 수 있었다.

2R++: Warm Page 식별을 통한 2R FTL 개선 (2R++: Enhancing 2R FTL to Identify Warm Pages)

  • 안효준;이상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12호
    • /
    • pp.419-428
    • /
    • 2022
  • 플래시 메모리는 in-place 수정이 불가능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out-of-place 방식으로 쓰기 작업을 수행한다. 덮어쓰기가 발생한 오래된 페이지는 유효하지 않은 페이지로 전환된다. 유효하지 않은 페이지들은 높은 오버헤드를 가진 가비지 컬렉션 과정을 유발한다. 가비지 컬렉션은 많은 읽기, 쓰기 작업을 유발하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의 주요 성능 이슈 중 하나이다. 2R에서는 OLTP(On-Line Transaction Process) 워크로드의 I/O 특성을 가비지 컬렉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WAF(Write Amplification Factor)를 개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접근 간격이 긴 페이지들을 추가로 분리하는 2R++를 통해 2R에서 발생하는 지역 오염 문제를 해결했다. 2R++는 블록 당 추가 bit를 도입해 second chance mechanism 기반으로 warm 페이지를 분리해서 warm 페이지가 cold 페이지로 오인 식별되는 것을 방지한다. TPC-C와 Linkbench에 대해 알고리즘 별 성능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2R++의 WAF는 2R대비 각각 57.8%, 13.8%의 개선을 이루어냈음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