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C-C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9초

적포도주를 첨가한 칠리소스 새우볶음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teing Chili Sauce Shrimp with Red Wine)

  • 김혜영;고성희;이경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8-366
    • /
    • 2010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d win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teing chilli sauce shrimp. Cooked chili sauce shrimp was storaged on $3^{\circ}C$ fot 15 days. The TPC of sauteing chili sauce shrimp with red wine was increased for all experimental groups with a longer storage period and the groups with 10% or 20% red wine had lower TPCs than control. The AV and TBA were increased for all experimental groups with increased holding time, but in case of 20% red wine had lower value for AV and TBA than control and 10% red wine. In a sensory evaluation, the 10% red wine group was highly evaluated compared to control and 20% red wine group. In conclusion, we can find out that 10% red wine group was most pertinent to antimicrobial effect, antioxidant effect and sensory quality.

초등학교 급식의 비빔밥 생산과정에 따른 미생물적 품질평가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Bibimbap Production Flow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 김복란;채순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9-3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assure the hygienic safety of the Bibimbap production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HACCP(Haz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program. The time-temperature relationship and the microbiological quality(total plate count and coliform bacteria count) were assessed to find the critical control point(CCP) during each of the production phase. In the pre-preparation phase, the risk factors of the raw ingredients exceeded the standard level suggested by Solberg et al. Mungbean starch jelly, egg and Kochujang were satisfactory in that no coliform groups were observed over the standard TPC level. In particular, there was a high the risk of beef from the early stages in terms of the coliform level. In the pre-preparation phase, green pumpkin had more coliform groups than the standard level even after washed, which calls for special attention to washing, sterilization, secondary infection of the handler, and the required time for pre-preparation of raw vegetables. In the cooking phase, the temperature of the soybean sprout and mungbean starch jelly decreased to 42$^{\circ}C$ and 26$^{\circ}C$, respectively, which was within the risk zone. In particular, mungbean starch jelly had a great risk factor even after boiling in hot water. During the storage stage before serving, a lot of ingredients were exposed to poor management of temperature and time and thus exceeded the standard level in the total plate counts. In particular, the microbiological count of beef was five times the standard level. Green pumpkins and soybean sprouts were left at 15-38$^{\circ}C$ that is within the risk zone fo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they were cooked.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 time of the storage stage before consumption should be shortened and that proper devices should be used to prevent proliferation of bacteria. The number of TPC of the utensils was satisfactory enough, but the knife used exceeded the standard level and thus was a risk factor of bacteria proliferation.

Effects of Traditional Sauce Type and Storage Time on Quality Characteristics, Shelf-life and Flavor Compounds of Marinated Pork Cooked by Sous Vide Method

  • Kim, Yong An;Ba, Hoa Van;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55-370
    • /
    • 2019
  • The present study aimed at evaluating effects of traditional sauce type and storage time on shelf-life and flavor compounds of marinated pork cooked by Sous-Vide method. Five different traditional sauces (Meju soy sauce, Brewed soy sauce, Fish-soy sauce, Ishiru fish sauce and Anchovy fish sauce) purchased from Asian countries were used. After marination with the sauces, polyvinylchloride film bags containing the marinated pork samples were cooked using Sous-Vide method for $55^{\circ}C$ for 5 h and $60^{\circ}C$ for 30 min, and were then stored for 8 wk at $10^{\circ}C$. Results showed that the pork samples marinated with the sauces retarded the growth of total plate counts (TPC) during storage. At $8^{th}$ wk storage, TPC cou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ll samples marinated with the sauces compared to control (p<0.05). Lipid oxid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2 (Meju soy sauce) and T6 (Anchovy fish sauce) compared to those of T3 (Brewed soy sauce) and T5 (Ishiru fish sauce) or control after 8 wk storage (p>0.05). Forty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detected from the control and marinated samples at $4^{th}$ wk of storage. The pork marinated with Anchovy fish sauce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s of importantly pleasant flavor compounds such as; pyrazines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 than those marinated with other remaining sauces and control. It is concluded that the marination with Anchovy fish sauce partly improved the shelf-life and increased amounts of pleasant flavor compounds of Sous-Vide cooked pork products during storage in comparison to the other remaining sauces.

몽골과 미얀마 식물 14종의 3T3-L1 및 HepG2 세포에서 지질 축적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nd HepG2 Cells)

  • 김숙진;김건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0-142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tive and lipid accumulation inhibitory effects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on 3T3-L1 and HepG2 cells.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PC and TFC) of 14 plant extracts were measured,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DPPH, ABTS, FRAP, and ORAC. After measuring the pancreatic lipase levels and performing the thiobarbituric acid assay, the degree of lipid accumulation was determined by lipid (Oil Red O) staining and triglyceride assay in 3T3-L1 and HepG2 cells. M. paniculate (259.43 mgGAE/g) and C. benghalensis (130.78 mgNAE/g) had the highest TPC and TFC, respectively, among the 14 plants. R. acicularis Lindl.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in DPPH. The ABTS, FRAP, and ORAC results show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11 speci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The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effect of C. angustifolium Scop. was reduced to 23.65% at 0.1 mg/mL, and the level of lipid peroxidation of C. abrorescens Lam. was 0.63 nmol/mg. Five selected plants inhibited the lipid accumulation and triglyceride content, respectively, in 3T3-L1 and HepG2 cells. These results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using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which have antioxidant activities and lipid accumulation reduction effects.

HACCP제도를 활용한 피자 전문 패스트푸드 업체의 자체 위생관리기준 설정 - 샐러드를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HACCP System on Establishing Hygienic Standards in Pizza Specialty Restaurant - Focused on Salad Items -)

  • 이복희;김인호;허경숙;조경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01-116
    • /
    • 2003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hygienic standards of salad items for pizza restaurant located in Seoul by applying HACCP system during the summer of 2000. The study measured temperature, time, pH, Aw and microbial assessments. The hygienic conditions of the kitchen and workers were on the average(1.21, 1.0 out of 3 pts.), but some improvement should be made: separate use of trash can and leftover disposal, separate use of knives and cutting boards, habits for hand washing and wearing hygienic gloves. For salad production, all procedures were peformed under food safety danger zone ($5{\~}60^{\circ}C$). The ingredients were mostly above pH 5.0 and high in Aw($0.94{\~}0.99$). Microbial assessments for salad production revealed that TPC($1.8{\times}10^3{\~}1.0{\times}10^{10}CFU/g$) and coliforms($1.5{\times}10{\~}5.2{\times}10^5 CFU/g$) exceeded the standards by Solberg et al.(TPC: $10^6CFU/g$, coliforms: $10^3CFU/g$). S. aureus was not detected but Salmonella was found in three food items(egg, macaroni and macaroni salad). Moreover, the workers' hands contained 3.1 104 CFU/g of TPC and 4.2 102 CFU/g of S. aureus requiring further remedy since it exceeded the safety standards suggested by Harrigan and McCance (500 CFU/g of TPC per $100cm^2$ and 10 CFU/g of coliforms per $100cm^2$). According to the critical control point(CCP) decision tree analysis, vegetable receiving, vegetable holding, mixing, display on coleslaw, macaroni draining, display on macaroni salad, egg peeling & cutting, apple cutting, and display on salad bar were determined as CCPs. From the findings it would be suggested that purchase of Quality materials, short holding and display time, storing food at right temperature, using sanitary cooking utensils, and improvement of workers' food handing practices are needed to ensure the safe salad production in this specific pizza restaurant.

분말가공법에 따른 국내산 사과껍질분말의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an Apple Cultivar (Malus domestica cv. Fuji) Peel Powder Prepared by Different Powdering Methods)

  • 윤소정;이진규;이형재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26-331
    • /
    • 2017
  • 과일에는 플라보노이드, 탄닌, 카테킨 등의 폴리페놀 뿐만 아니라 여러 항산화능과 관련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과일의 껍질에는 과육부분보다 2-9배 이상 높은 각종 기능성 성분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 사과는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과일 중에 하나이며, 사과껍질에는 quercetin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과껍질의 항산화능을 분석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식품에 적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산 사과껍질 원물 균질액, 동결건조분말, 열풍건조분말 및 초미세분말의 총페놀함량(TPC), 총플라보노이드함량(TFC), ABTS radical 소거능(ABTS), DPPH radical 소거능(DPPH)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사과껍질을 식품 소재로 활용 시 최적 분말화 및 추출조건을 알아보고자 했다. TPC는 동결건조분말, 열풍건조분말의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FC는 초미세분말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TS 라디컬 소거능은 초미세분말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동결건조분말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동일 품종의 사과껍질을 사용한 경우 원물의 가공방법 및 추출조건에 따라 각 기능성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중, 초미세분말에서 TFC와 ABTS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낸 것을 볼 때, 분말화 방법 등 가공조건의 차이에 의해 개발된 중간소재의 여러 기능성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이 향상된 분말화된 식품중간소재 개발 시 여러 가공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냉동조건에 따른 연근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in the lotus root frozen under different conditions)

  • 박승종;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4-50
    • /
    • 2015
  • 본 연구는 냉동연근의 최적 제조 공정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냉동 전처리로 blanching 하고, -20, -70, $-196^{\circ}C$ 각각 다른 냉동온도에서 동결한 냉동연근의 품질을 측정하였다. 최적 blanching 조건은 미생물 수, 물성, 총 페놀 함량, 관능평가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100^{\circ}C$에서 5분간 처리로 설정하였다. 여러 냉동조건에서 동결한 연근의 SEM 사진을 비교한 결과, $-20^{\circ}C$에서 동결한 연근의 조직이 가장 많이 파괴되었고 $-70^{\circ}C$에서 동결한 연근의 조직 단면 구조가 대조구와 가장 유사하였다. 항산화능은 동결 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p<0.05) 차이는 없었다. 총 페놀 함량은 모든 냉동연근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20^{\circ}C$에서 가장 낮았고, drip loss 또한 $-20^{\circ}C$에서 3.73%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20^{\circ}C$에서의 일반적인 냉동보다는 gas nitrogen convection chamber에서 의 $-70^{\circ}C$로 동결하는 것이 고품질의 냉동연근을 생산할 수 있는 최적 냉동방법이라고 판단된다.

일본전문식당의 급식품질 개선을 위한 HACCP 시스템 적용 연구 (HACCP Model for Quality Control of Sushi Production in the Eine Japanese Restaurants in Korea)

  • 김혜경;이복희;김인호;조경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8
    • /
    • 2003
  •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일식전문점을 대상으로 2001년 4월부터 6월까지 예비실험 및 본실험을 실시하였다. 주방과 조리종사자의 위생상태, 주방 배치도를 통한 위생상태를 조사하였고, 그곳에서 판매되는 7가지 생선초밥(광어, 도미, 숭어, 새우, 참치, 연어, 문어)의 생산 각 단계에서의 소요시간 및 온도상태, pH를 측정하고 각 초밥 생산 단계에서 채취한 초밥재료와 초밥 생산에 사용된 기구 및 용기, 작업자에 대한 미생물적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결정계통수를 활용하여 CCP를 결정하고 본 일본식식당의 생선초밥 생산에 대한 HACCP plan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주방의 위생상태 평가결과, 시설 및 환경의 평균점수는 1.28, 용기 및 설비에 평균점수는 1.60이었으며 전체 평균점수는 1.44로 보통 수준이었다. 2. 조리 종사자의 위생습관 평가결과 개인 위생 1.33, 식품취급습관은 1.33으로 전반적인 위생습관은 보통 수준이었다. 그러나 조리 종사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기본적인 위생 교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었다. 3. 주방배치도를 통한 위생상태 평가결과 작업 동선은 복잡하지 않았으나 작업장별 구획구분이 없었고 도마 용도별 사용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다. 4. 생선초밥 생산 소요시간은 3시간 36분~6시간으로 최장 4시간이내에 생산을 완료하여야 하는 기준시간을 초과하고 있었으며, 생산과정 중 시료 자체의 온도(10~23$^{\circ}C$)도 위험온도 범위대(5~6$0^{\circ}C$)에 있어 미생물적 위해 발생 요인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참치의 경우 실온에서 장시간 방치하여 해동함으로써 또 다른 위해 발생요인이 되고 있었다. 5. 생선초밥 재료에 대한 pH측정결과 3.65~7.03 범위에 있었는데 pH 4.6 이상인 경우에는 미생물의 증식우려가 있는 잠재적 위험 pH이므로 관리가 요구되었다. 6. 생선초밥의 미생물검사 결과는 양호하였는데 총균수는 4.5$\times$$10^2$~5.3$\times$$10^{5}$ CFU/g, 대장균군수는 3.5$\times$$10^1$~2.4$\times$$10^2$CFU/g으로 나타나 허용범위내에 있었다. Salmo nella와 Vibrio parahaemolyticus는 나타나지 않았고, Staphylococcus aureus는 초밥재료 중 밥에서만 101 CFU/g검출되었으나 역시 허용 범위내에 있었다. 그러나 포도상구균의 검출은 비위생적인 위생습관이 주요원인이므로 철저한 원인규명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7. 기구, 용기 및 종사자의 손에 대한 미생물검사 결과를 보면 총균수는 8.0$\times$$10^2$~3.3$\times$$10^{6}$ CFU/g, 대장균군수는 1.0$\times$$10^1$~l.6$\times$$10^3$CFU/g으로 이는 즉각적인 조치를 강구할 만큼 매우 불량한 수준이었다. 8. 결정계통수를 활용하여 CCP(critical control point)fmf 결정한 결과, 참치초밥을 제외한 6개 초밥(광어, 도미, 숭어, 연어, 새우, 문어) 생산 시 CCP는 보관단계(holding step)이었고, 참치초밥의 CCP는 해동단계(thawing step)였다.

  • PDF

유기산 전처리 후 수열처리가 왕겨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Acid Pre-Treatment followed by Hydrothermal Treatment on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Hull Extract)

  • 박선민;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92-1396
    • /
    • 2009
  • 왕겨 10 g에 5종류(초산, 구연산, 젖산, 인산, 주석산)의 50 mM 유기산 100 mL을 가하여 18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후, $121^{\circ}C$에서 30분간 수열처리 하여 왕겨 추출물을 제조한 후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로 증류수를 사용한 경우에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0.44 mg/mL, 70.97%, 1.00 OD, 88.98%이었으며, 비교적 효과가 좋았던 인산의 경우에는 각각 0.82 mg/mL, 81.34%, 1.18 OD, 64.03%로 측정되었다. 인산의 농도별 전처리 효과를 보기 위해 10, 25, 50, 100 mM의 농도에서 같은 조건으로 왕겨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능과 관련된 지표를 분석한 결과,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인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력은 인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50 mM 인산 농도까지는 인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100 mM 인산에서는 다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왕겨에 존재하는 페놀성 항산화물질을 유기산 전처리로 효율적으로 유리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당화(Rosa rugosa Thunb.) 부위별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Rugosa rose (Rosa rugosa Thunb.))

  • 김지우;엄민;이재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38-4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해당화 부위별 열수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해당화의 부위별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에서 가장 높았으며, 각각 107.29, 24.28 mg/g로 나타났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꽃, 잎, 씨, 열매, 과육 추출물 순으로 활성이 높았으며, 꽃 추출물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IC_{50}=0.87$, $0.27mg/m{\ell}$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던 꽃과 잎 추출물에서는 gallic acid가 각각 4.51, 0.97 mg/g로 다른 부위별 열수추출물에서보다 높았다. 해당화 부위별 열수추출물을 분획한 결과(A-F), 꽃 추출물의 C 분획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3305.43, 878.42 mg/g)에 의한 것이며, p-value < 0.001에서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상관관계 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해당화 열수추출물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 산업 등에서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