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MA

검색결과 584건 처리시간 0.026초

DGEBA/선형 아민(EDA, HMDA) 경화제의 주쇄 탄소숫자와 물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Chemo-mechanical Analysis of Bifunctional Linear DGEBA/Linear Amine(EDA, HMDA) Resin Casting Systems)

  • 명인호;정인재;이재락
    • 공업화학
    • /
    • 제10권7호
    • /
    • pp.990-995
    • /
    • 1999
  • 경화된 에폭시수지의 삼차원 망상구조 형성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chemomechanical한 관점에서의 물성 연구는 아직까지 매우 미진하다. 이를 위한 기초적인 작업의 한 일환으로, 선형구조를 가지고 양쪽 말단기에 에폭시기를 가지는 대표적 범용 에폭시수지인 DGEBA(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YD-128, 국도화학(주))를 양쪽 관능기가 동일하고 주쇄의 사슬길이가 서로 다른 선형아민 경화제인 ethylene diamine(EDA, 주쇄의 탄소원자수: 2개)와 hexamethylene diamine(HMDA, 주쇄의 탄소원자수: 6개)으로 각각 1:1 당량비로 혼합하여 1차 및 2차의 경화조건으로 경화하였고, 이것을 경화제의 주쇄의 탄소원자수에 의한 분자량과 화학구조 차이가 반응특성, 기계적특성, 열적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반응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SC 열분석, 열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TMA 분석, 에폭사이드기의 전환율 계산을 위해 FT-IR 분석, shrinkage(%)를 구하기 위하여 밀도측정, 유리전 이온도와 선팽창계수 측정을 위해 TMA 분석, 기계적특성 분석을 위하여 인장시험 및 삼점 굴곡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수지 경화물의 특성은 경화제 주쇄의 탄소원자수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즉, 주쇄의 사슬길이가 짧은 EDA 경화물계는 주쇄 사슬길이가 긴 HMDA 경화물계 보다 열안정성, dpoxide group의 전환율, 밀도, 유리전이온도, 인장탄성율, 굴곡탄성율 및 굴곡강도가 높은 값을 나타냈고, 최대 발열온도, shrinkage(%), 선창팽창계수, 인장강도의 값은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주쇄의 탄소원자수 2개를 가지는 EDA가 3차원 망목상 구조 형성과정에서 packing ability가 우수하여 rigid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 PDF

Dy2O3-TiO2 산화물의 소결성 및 소결체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interability and Pellet Properties of Dy2O3-TiO2 Oxides)

  • 김한수;정창용;김시형;이병호;이영우;손동성;이상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108-1112
    • /
    • 2002
  • 산화물 제어봉 물질로서 $Dy_xTi_yO_z$ 소결체를 powder process에 의해 제조하였다. $Dy_2O_3+TiO_2$ 혼합분말의 소결성과 고용체의 상을 TMA와 XRD로써 각각 분석하였으며, 소결체의 비열과 열확산계수를 측정하여 열전도도를 구하였다. $Dy_xTi_yO_z$에서 Dy의 함량에 따라 소결성과 밀도가 변하였고 $3\;g\;Dy/cm^3\;Dy_xTi_yO_z$의 경우 $1580{\circ}C$의 소결온도에서 용융이 일어났다. $4.00\;g\;Dy/cm^3$ 소결체에는 $Dy_2TiO_5+Dy_2Ti_2O_7$의 두 상이 존재하며 $4.54\;g\;Dy/cm^3$의 경우 $Dy_2TiO_5$의 단일 상만이 존재하는 결과를 보였다. $Dy_xTi_yO_z$의 열전도도는 $25~600{\circ}C$ 범위에서 온도에 따라 큰 변화가 없으며 $1600{\circ}C$ 소결체가 1.69∼1.78 W/mK, 1550$^{\circ}C$ 소결체의 경우에는 1.49~1.55 W/mK이었다.

한국 연안 심해파의 통계적 특성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Deepwater Waves along the Korean Coast)

  • 서경덕;권혁동;이동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342-354
    • /
    • 2008
  • 다양한 파랑 관측 및 후측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연안의 심해파 통계 특성을 연구하였다. 설계파에 준하는 큰 파랑에 대해서는, 유의파고와 유의파주기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1977년 Shore Protection Manual 공식과 2003년 Goda 공식의 평균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한 유의파고에 대하여 평균값으로 무차원화 시킨 유의파주기의 표준편차는 해역과 유의파고의 범위에 따라 0.04부터 0.21까지 변하며 전형적인 값은 0.1이다. 한반도 주변 106개 연안 격자점에서의 심해 주파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다. 비교적 큰 파랑에 대한 방향분산계수 $s_{max}$의 확률밀도함수는 대수정규분포로 표시된다. 우리나라 연안에서 가장 적합한 주파수 스펙트럼은 TMA 스펙트럼이다. 스펙트럼 첨두증대계수 $\gamma$의 확률밀도함수 또한 대수정규분포로 표시되며, 북해에서의 값과 비슷한 2.94의 평균값을 보인다.

포장방법이 고등어제품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Method on the Storage Stability of Filleted Mackerel Products)

  • 조길석;김현구;강통삼;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2
    • /
    • 1988
  • 포장방법이 고등어 fillet계품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료를 무염 및 염장처리한 후 $CO_2$ gas치환포장, 진공포장 및 대조구로 하여 $0^{\circ}C$$5^{\circ}C$에 저장하면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염장 고등어 fillet의 제조의 경우, 시료 육에 침투한 적정 염농도를 4%내외로 하였을 때 적정 식염수의 농도는 15%였고 염장기간은 24시간 내외였다. 무염 및 염장 고등어 fillet의 VBN, TMA, 생균수, Histamine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 하였으나 TBA값은 저장 $4{\sim}9$일 경에 최고값에 달한 후 곧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고등어 fillet의 품질 유효 지표성분은 VBN이였고 그 함량의 상한선은 25mg%였다. 온도별, 포장별 간이 품질 평가방법을 도출하였다. $0^{\circ}C$에 저장한 무염처리 고등어 fillet의 $CO_2$ gas 치환포장, 진공포장 및 대조구의 경우, 저장 가능기간은 25, 22및 16일 이었으며, $5^{\circ}C$의 경우는 19, 14및 12일 이었다. 또한 염장한 고등어 fillet을 $5^{\circ}C$에 저장할 경우는 각각 29, 27 및 18일 이었다.

  • PDF

갑각류부산물을 이용한 키틴의 제조 및 이용에 관한 연구 2. 키토산필름포장이 반염건(半鹽乾) 전갱이의 가공 및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효과 (Utilization of Chitin Prepared from the Shellfish Crust 2. Effect of Chitosan Film Packing on Quality of Lightly-Salted and Dried Horse Mackerel)

  • 안창범;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57
    • /
    • 1992
  • 폐기되고 있는 꽂게껍질로 만든 키토산필름의 포장에 의한 반염건전갱이제품의 제조 및 저장중품질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하였다. 대조제품과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의 수분함량은 각각 $60.6\%,\;65.0\%$로서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의 수분함량이 $4.4\%$ 높았다. 저장중 pH, 휘발성염기질소 및 아미노질소의 증가폭은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이 적었다. 생균수는 저장초기에 약간 감소하다가 그 이후로 계속 증가하여 대조제품은 14일째에 $8.0\times10^5/g$이었으나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은 저장 20일째에도 $7.0\times10^5/g$이었다. TMAO는 저장중 감소하고 TMA는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그 증감의 폭은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이 적었다. TBA값과 과산화물값은 저장중 증가하다가 저장 14일 이후로 감소하였고 증가폭은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이 적었다. 관능검사결과 저장 14일째에 대조제품은 키토산필름포장제품에 비해 현저히 품질이 떨어졌고 키토산필름포장제품은 저장 14일째에도 식용가능하였다. 이화학적 및 관능적평가로 미루어 보아 키토산필름포장 제품은 대조제품에 비해 품질유지면에서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강릉지방의 오징어 식해 개발에 관한 연구 -1. 숙성온도 및 기간에 따른 성분변화- (The Development of Squid(Todarodes pacificus) Sik-hae in Kang-Nung District -1. The Effects of Fermentation Temperatures and Periods on the Properties of Squid Sik-hae-)

  • 김상무;정인학;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5-222
    • /
    • 1994
  • 본 연구는 강릉지역에 향토식품으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오징어 식해를 제조하여 숙성온도 및 숙성기간을 달리하였을 경우의 여러가지 화학적인 변화를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숙성기간동안 일반성분 및 염도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단지 조단백은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는 $5^{\circ}C$를 제외하고는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특히 $15^{\circ}C$$20^{\circ}C$ 숙성에서는 숙성초기부터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며, 젓산 생성은 pH 감소와 반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총 arginine량은 숙성초기에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아미노태 질소량은 숙성 15일까지는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그 후로는 서서히 증가하였다. TMAO 량은 $5^{\circ}C$$10^{\circ}C$에서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15^{\circ}C$$20^{\circ}C$에서는 숙성초기에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TMA량은 숙성초기에는 $20^{\circ}C$를 제외한 숙성온도에서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20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핵산관련물질은 숙성 초기에만 AMP가 존재하였고 Inosine 및 hypoxanthine 이 핵산관련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식해숙성 조건은 15일 정도가 최적이며 저온($5^{\circ}C$ 이하)에서는 조금 더 숙성기간이 길어진다고 생각된다.

  • PDF

강릉지방의 오징어 식해 개발에 관한 연구 -4. 식해숙성에 미치는 고추가루 및 곡류 첨가량의 영향- (The Development of Squid(Todarodes pacificus) Sik-hae in Kang-Nung District -4. The Effects of Red Pepper and Grain Contents on the Properties of Squid Sik-hae-)

  • 김상무;백운두;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6-372
    • /
    • 1994
  • 고추가루 및 곡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경우의 오징어 식해 숙성중의 일반성분변화를 측정하였다. 고추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경우의 일반성분의 변화에는 별다른 차이점은 없었으며, 곡류 $50\%$ 첨가비율에서 탄수화물량이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원료의 배합비율에서 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pH변화는 고추가루 $10\%$ 및 곡류 $30\%$ 첨가 비율에서 고추가루 $5\%$ 및 곡류 $50\%$ 보다 각각 숙성초기에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숙성기간이 증가할 수록 원료의 첨가비율에 따른 pH 변화는 거의 없었다. 젖산의 변화는 고추가루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단지 곡류 $30\%$ 비율에서 $50\%$ 비율보다 숙성초기에 젖산 생성량이 다소 많았으나 숙성 후기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총 arginine량은 고추가루 $10\%$ 및 곡류 $30\%$ 첨가비율에서 고추가루 $5\%$ 및 곡류 $50\%$ 첨가비율보다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10일까지 다소 증가경향을 보이다가 그 이후로 다소 감소하였는데 전체 숙성기간 중의 함량을 볼 때 큰 변화는 없었다고 보여진다. 고추가루 첨가량에 따른 TMAO및 TMA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곡류 $30\%$ 첨가비율에서 $50\%$ 첨가비율보다 TMAO 및 TMA 량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추가루 및 곡류의 첨가량에 다른 식해 숙성중의 품질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외관 등 관능적인 측면에서 보다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코끼리조개의 월별 조성변화와 가열 전처리가 냉동저장중의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Frozen Geoduck (Panope japonica A. Adams))

  • 유병진;정인학;이강호;최흥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49-556
    • /
    • 1993
  • 코끼리조개를 fast foods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물리적 성상, 유리 및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 핵산관련물질, 월별 성분변화 및 냉동기간중의 선도변화를 측정 하였다. 3년생과 5년생의 경우 내장을 제거한 가식부의 수율은 각각 29.92, $38.04\%$이었다. 7월에 채취한 코끼리조개의 유리아미노산중 taurine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Gly, Ala 및 Glu 함량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구성아미노산에 있어서는 Glu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Ala이었다. 필수아미노산으로는 Leu과 Lys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월별 성분변화에 있어서 수분, 단백질은 3월, 4월에 가장 높았으며 지방과 글리코겐은 7월에 가장 높았다. 핵산관련물질중 5'-GMP의 량은 4월에 채취된 시료보다 7월에 채취된 것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냉동저장중 VBN, TMA, $NH_2-N$의 함량변화에 있어서는 $95^{\circ}$에서 2분간 열처리한 시료는 열처리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증가율이 낮았기 때문에 열처리조작이 선도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냉동저장중 총 creatine함량의 변화에 있어서는 열처리 조작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멸치액젓 및 까나리액젓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and Sandlance Sauce)

  • 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2-255
    • /
    • 1999
  •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성분 특성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재래식 및 공장산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cdot$비교하였다. 재래식 멸치액젓 및 까나리액의 조단백질함량은 멸치액젓이 까나리액젓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pH은 재래식의 경우 멸치액젓이 6.78, 까나리액젓이 5.46이었고, 시판품은 양자 모두 이보다 낮은 5.06$\~$5.68이었다. 재래식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아미노질소함량은 각각 $888.9mg\%$ (w/v) 및 $813.5mg\%$ (w/v)이었고 산도는 각각 $17.6ml\%$ (v/v) 및 $27.7ml\%$ (v/v)였고 시판품은 양자 모두 이보다 약간씩 많았다. 액젓의 색조 비교에서, L값과 b값은 멸치액젓이 약간 높은 반면, a값과 ${\Delta}E$값은 까나리액젓이 높았다. 재래식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12.40g\%$ (w/v) 및 $9.549g\%$ (w/v)로서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멸치 액젓의 경우 alanine, glutamic acid, leucine, isoleucine, valine 및 Iysine 등이었으며, 까나리액젓에는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및 valine의 함량이 많았다. IMP 함량은 재래식 멸치액젓 $12.1 mg\%$ (w/v), 까나리액젓 $67.8mg\%$ (w/v)로 서로 비슷하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HxR의 함량은 각각 $103.7mg\%$ (w/v) 와 $172.4mg\%$ (w/v)로 까나리액젓 쪽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다. 양시료 액젓의 TMAO, TMA의 함량은 각각 $108.8mg\%$ (w/v), $60.5 mg\%$ (w/v) 및 $60.1 mg\%$ (w/v), $24.1 mg\%$ (w/v)로서 멸치액젓 쪽의 함량이 많았으며, 크레아틴의 함량은 $62.4\~67.6mg\%$ (w/v)로 양자가 서로 비슷하였다.

  • PDF

토질 특성에 따른 가축사체 매몰지의 악취 저감 연구 (The Effect of Soil Characters on Removal of Odorous Gases during Carcasses Degradation with Efficient Microorganisms)

  • 김현숙;박수정;정원화;;이상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7-28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구제역으로 인해 발생된 가축사체 매몰지의 조기 안정화를 위하여 유용 미생물 KEM을 사용하였고, 토질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몰지 모형의 반응기를 통해 연구하였다. 반응기는 랩 스케일로 제작하였고, 토질 특성에 다양성을 주기 위하여 일반 토양, 20%의 사토와 섞은 일반 토양, 20%의 점토와 섞은 일반 토양을 각각 준비하였다. 각각의 토양과 유용 미생물 KEM과 섞은 후 사체를 매몰하였다. 분석 대상 악취 성분은 총 8가지로 이산화탄소, 메탄,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칠메르캅탄, 황화메틸과 이황화메틸이었다. 악취 분석 결과 황화수소와 메틸메르캅탄은 사토를 적용한 반응기에서 저감 효과를 보였고(각각 배출 잔량 0.09, 0.35 mg), 암모니아와 트리메틸아민은 점토를 적용한 경우 저감 효율이 높았다(각각 배출잔량 0.31, 2.06 mg). 이에 근거하여 사토는 황 화합물 악취 저감에, 점토는 질소 화합물 악취 저감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토질의 특성에 따라 우점화된 미생물의 군집과 분포도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