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S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2초

TIMSS 인지영역 평가틀의 변화와 우리나라 학생들의 국제적 수학 성취도 (Analysis for the changes of the mathematics cognitive domain and for the international achievement in TIMSS)

  • 김선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7-182
    • /
    • 2008
  • TIMSS는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로서 가장 대규모로 여러 국가의 수학 성취도를 파악,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 내용을 담고 있는데, 첫째는 4주기에 걸친 TIMSS의 인지영역 평가틀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평가틀과 문항 개발의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둘째는 TIMSS 2007 인지영역 평가틀에 따라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를 6개국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TIMSS 2003에서 우리나라는 수학 전체 성취도가 싱가포르와 유의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는데, 수학적 능력을 살펴볼 수 있는 인지영역별로는 알기가 국제 1위, 적용하기가 3위, 추론하기가 2위를 차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가틀 개발 및 다른 나라의 교육 체계나 교육과정으로부터의 시사점 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제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연구(TIMSS-R) 과학 성취도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 Achievement of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Repeat(TIMSS-R))

  • 홍미영;박정;김성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28-341
    • /
    • 2001
  • 본 연구는 제3차 국제 수학 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의 국제 결과에 대한 일차적 연구로서 첫째, 우리 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의 국제적 수준을 알아보고, 둘째, 지난 4년 동안 세계 각국의 과학 성취도 변화를 파악하며, 셋째, 과학의 각 영역별 성취도의 국제적 수준을 비교 분석하며, 넷째, 남 여학생의 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 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의 과학 성취도는 평균 접수는 549 점으로서, 국제 평균 점수인 488점보다 유의미하게 높으며, 국제 5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1995년도 TIMSS 4학년 학생들의 성취도와 비교하여 보면 다소 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여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1995년도에 비하여 많이 높아졌으나 여전히 성차가 국재 평균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TIMSS와 TIMSS-R 두 결과 사이의 평균 정답율은 거의 비슷하였다.

  • PDF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03)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분석 (An Analysi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 Science Achievement in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03))

  • 정은영;박정;김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9-113
    • /
    • 2006
  • 이 연구는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03)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의 국제적 수준 및 추이 변화를 파악하고, 내용 영역별 성취도 및 남 여학생의 성취도 차이를 분석하며, 과학의 정의적 영역에서 성취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 교육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중학생의 과학 성취도는 558점으로, 싱가포르, 대만에 이어 3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TIMSS 1995, TIMSS 1999, TIMSS 2003에 이르면서 과학성취도 점수가 높아졌고 전체 순위도 높아졌다. 우리나라 중학생들은 물리 영역에서 연구 참여국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화학 영역의 성취도 순위는 9위로 나타났고, 추이 변화 결과에서 화학 영역의 성취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수윌 수준의 학생 비율이 싱가포르나 대만에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았고, 우리나라 남 여학생의 과학 성취도 차이가 점점 줄어드는 추세에 있기는 하나, 여전히 그 차이가 비교적 큰 편이었다. 또한 과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 과학에 대한 가치 인식, 과학 학습의 즐거움 등 정의적 영역에서의 성취가 매우 낮은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수윌성 교육, 과학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대한 논의, 여학생의 과학 성취도 향상 방안, 과학에 대한 태도 향상 방안 등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 특성 탐색 (Exploration of Features of Korean Eighth Grade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35-142
    • /
    • 2017
  • 4년 주기로 반복되는 TIMSS 연구에서는 2016년 말에 TIMSS 2015 결과를 발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5 결과 중에서, 학생들의 설문 응답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TIMSS 평가주기별 공통문항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응답 변화추이와, 학교급 변화에 따른 학생들의 태도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은 과학 성취도 상위 15개국은 물론 전체 참여국 중 과학에 대한 자신감,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 과학에 대한 가치인식 등에서 최하위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TIMSS 평가주기별 공통문항을 중심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자신감과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는 TIMSS 2011에 비해 TIMSS 2015에서 모두 낮아졌다. 반면에 과학에 대한 도구적 가치인식의 경우 TIMSS 2011에 비해 TIMSS 2015에서 모두 상승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학생들은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으로 진학함에 따라 과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 개선을 위한 후속연구와 과학과 교수학습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The Tren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variables toward Mathematics and Its effect o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s)

  • 박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1호
    • /
    • pp.19-31
    • /
    • 2007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ways in which they have an effect o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s by using TIMSS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data of 1995, 1999, and 2003.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affective variables between boys and girls toward mathematics.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have changed a little, but that its effect on mathematics achievement increased a lot from 1995 to 2003.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Korean students study mathematics to get a job than to enter a university. However, girls have come to study it harder before going to college and it seems to have an impact on their mathematics scores; this happened in 1999. So we can infer from it that the decreasing in the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mathematics achievement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girls' learning motivation to go to college. Lastly, it should be said that another analysis is needed to find out the reason for the d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among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 PDF

TIMSS 2003 지구과학 영역 문항 및 성취도 분석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Items and Achievement in TIMSS 2003)

  • 곽영순;정은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5-41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2003년도에 46개국에 참여한 TIMSS 2003 연구에서 지구과학 영역의 성취도를 주제별, 문항 유형별, 인지영역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문항 수준에서 국제평균과의 정답률 차이가 큰 문항과 남녀 정답률 차이가 큰 문항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모든 유형별로 국제평균보다 유의하게 높은 정답률을 나타내었고, 인지 영역별로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은 지구과학 영역에서 천문학 관련 주제 및 추론과 분석 영역에서 강세를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의 정답률이 국제평균 정답률보다 낮게 나타난 5개 문항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중학생은 이해하고 있는 내용을 그림이나 도식으로 표현하는 데 미숙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여학생들은 사실적 지식을 묻는 선택형 문항에서 남학생들 보다 정확한 정보를 회상해 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습하지 않은 내용에 대하여 어려워하는 경향이 남학생보다 크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학생의 배경 요인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TIMSS 2007 자료를 활용한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Effect of Contextual Variabl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Analysis of TIMSS 2007 Using Path Analysis-)

  • 이희정;박천건;허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585-6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TIMSS 2007의 수학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배경 요인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고 각 요인들 사이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이전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생의 배경에 대한 설문들 중 가정의 장서보유량, 어머니의 최종학력, 아버지의 최종학력, 교육포부, 학생의 정의적 성취지수, 스스로 학습활동 빈도, 그리고 숙제횟수의 총 7 가지 변수들을 설정하여 각 변수들이 수학 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각 변수들 사이에는 어떤 인과관계가 성립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부모의 최종 학력, 장서보유량, 정의적 성취지수는 교육 포부에 영향을 주어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육포부와 정의적 성취지수, 숙제 회수는 학업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제 비교 연구에 나타난 우리 나라 학생들의 지구과학 성취도: 성 차이를 중심으로 (Korean Student's Achievement of Earth Science i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From the Perspectives of Gender Differences)

  • 박정;신동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7-220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최근 수행된 국제 비교 연구인 TIMSS-R과 PISA 2000에 나타난 우리 나라 학생들의 지구 과학영역에 대한 전체적인 성취도 및 성 차이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에 실시된 TIMSS-R에 포함된 33개의 지구 과학 관련 문항과 2000년에 실시된 PISA에 포함된 13개의 지구 환경 과학 문항에 대한 국제 및 국내 평균 정답율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 나라 학생들은 문항 유형별로는 선택형 문항에서, 수행 영역별로는 단순 정보 이해문항에서 국제 평균 정답율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우리 나라 학생들은 그래프 해석, 표 해석등 자료 해석과 관련된 문항에서 국제 평균보다 특히 높은 정답율을 나타냈는데, 이러한 경향은 남학생들에게 더 두드러졌다. 한편, 우리 나라 학생들은 천문학 문항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는 특히 여학생에게 더 심하게 나타났다. 우리 나라 여학생들은 문항의 내용, 유형, 수행 영역 등 모든 부분에서 남학생들보다 낮은 정답율을 보여 심각한 성 차이를 드러냈다.

한국 초등학생들의 성차: TIMSS 2011 2015 수학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한 분석 (Gender differences in Korean elementary students: An analysis of TIMSS 2011 and 2015 fourth grade mathematics assessment)

  • 황성환;여승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3호
    • /
    • pp.217-235
    • /
    • 2020
  • 본 연구는 TIMSS 2011와 2015 수학 성취도 평가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4학년 남녀 간의 성차가 드러나는 문항들을 내용과 인지영역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차가 유의미하게 차이나는 20% 문항들에서 내용 영역별 성차를 보면 남학생은 수와 측정영역에서 여학생은 도형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 영역별 성차를 보면, 남학생이 지식, 적용, 추론 영역에서 여학생보다 상대적인 우위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IMSS 2003 성취 수준에 따른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분석 (Analysi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 Science Achievement at International Benchmarks in TIMSS 2003)

  • 홍미영;정은영;이미경;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6-257
    • /
    • 2006
  • TIMSS 2003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수 학습 개선에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체 과학 성취점수를 수윌, 우수, 보통, 기초 4개의 수준으로 구분하여 각 성취수준에 해당하는 학생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윌 수준과 우수 수준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내용 영역별 성취도 경향 및 문항별 정답률 분포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월 수준 문항들의 정답률을 내용 영역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평균 정답률은 물리, 지구과학, 생물, 화학, 환경의 순으로 높았다. 반면에 국제 평균 정답률은 지구과학, 화학, 생물, 물리, 환경의 순으로 높았다. 우수 수준에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환경, 물리, 생물, 지구과학, 화학의 순으로 평균 정답률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국제 평균 정답률은 지구과학, 생물, 환경, 물리, 화학의 순으로 높았다. 수윌 수준과 우수 수준에 해당되는 문항들의 정답률을 내용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물리 영역에서 강세를 나타내었고 화학영역은 상대적으로 약세를 나타내었다. 각 수준에 해당하는 문항들 중 정답률이 높거나 낮은 문항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윌 수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은 기본적인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도는 높으나, 과학 지식을 글로 설명하거나 복합적이고 추상적인 과학 개념을 이해하는 것, 그리고 과학 원리를 적용하여 정량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서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우수 수준에서는 생태계에 대한 이해 정도가 국제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수 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