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 Science Achievement in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03)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03)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분석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In this study, Korean middle school student science achievement results in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03) were analyz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benchmarks, content area, gender and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Overall Korea ranked the third internationally and had a mean score of 558. Korean students achieved top ranking in physics, but fell to the ninth place in chemistry. Unliked their counter parts in similar countries such as Singapore and Chinese Taipei, Korean students did not reach the highest benchmark. Compared to previous assessment, Korean girls showed improved performance; however,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still exist in Korea; apparent from the better performance of boys than girls in the study. It is also noteworthy that Korean students were found to have the lowest self-confidence in learning science, a lower valuing science, and less enjoying learning science even though they produced high achievement scores.

이 연구는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03)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의 국제적 수준 및 추이 변화를 파악하고, 내용 영역별 성취도 및 남 여학생의 성취도 차이를 분석하며, 과학의 정의적 영역에서 성취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 교육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중학생의 과학 성취도는 558점으로, 싱가포르, 대만에 이어 3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TIMSS 1995, TIMSS 1999, TIMSS 2003에 이르면서 과학성취도 점수가 높아졌고 전체 순위도 높아졌다. 우리나라 중학생들은 물리 영역에서 연구 참여국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화학 영역의 성취도 순위는 9위로 나타났고, 추이 변화 결과에서 화학 영역의 성취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수윌 수준의 학생 비율이 싱가포르나 대만에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았고, 우리나라 남 여학생의 과학 성취도 차이가 점점 줄어드는 추세에 있기는 하나, 여전히 그 차이가 비교적 큰 편이었다. 또한 과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 과학에 대한 가치 인식, 과학 학습의 즐거움 등 정의적 영역에서의 성취가 매우 낮은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수윌성 교육, 과학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대한 논의, 여학생의 과학 성취도 향상 방안, 과학에 대한 태도 향상 방안 등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숙, 유준희, 서동엽, 이춘식, 임찬빈 (1999). 제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 국내 평가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 김찬종 (2004). 국제 과학 성취도 연구의 전망과 과제.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 성과와 과제 2003 TIMSS와 OECD/PISA 결과를 중심으로, (pp.150-16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명전옥, 흥미영 (2002). 제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의 지구과학 성취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49-638
  4. 박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 (2004a). 교사, 수업, 그리고 학생성취.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박정, 한경혜, 정은영, 김경희 (2004b). TIMSS 2003 결과 분석 및 논의.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 성과와 과제-2003 TIMSS와 OECD/PISA 결과를 중심으로, (pp.1-6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박정, 홍미영, 김성숙 (2000). 제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 국내 평가 결과 분석 연구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박정, 홍미영, 이봉주, 전현정 (2003).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2003)-본검사 시행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심규철, 소금현, 김현섭, 장남기 (2001).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흥미 연구 1-영재와 일반 학생의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22-134
  9. 유준희 (2001). 제3차 수학.과학 학업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 결과 중 물리 영역 성취도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 연구 과제의 추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757-772
  10. 안계원, 정영란 (1996). 중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과학성적, 과학 탐구능력, 과학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10-416
  11. 이경훈 (1998). 고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415-425
  12. 이미경, 정은영 (2004).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46-958
  13. 이미경, 홍미영, 정은영 (2004). TIMSS-R 과학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35-1244
  14. 이화여자대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남.여 학생의 학력 차이, 무엇이 문제인가?
  15. 전경문 (2003). 제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 중 화학 영역 성취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99-307
  16. 전영석, 신영준 (2003). 여학생 친화적 과학활동 프로그램의 운영과 평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442-458
  17. 정은영 (2005). TIMSS 2003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생물 영역 성취도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3), 277-290
  18. 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 (2002). 초.중등학생의 과학선호도 증진 정책 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19. 홍미영 (2002). 우리 나라 중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및 과학의 본성 영역에서의 국제 성취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36-344
  20. 홍미영, 박정, 김성숙 (2001). 제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 과학 성취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328-341
  21. Bell, J. F. (2001). Investigat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Science Performance f 16-Year-Old Pupils in the UK.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5), 469-486
  22. Gonzales, P., Guzman, J. C, Partelow, L., Pahlke, E., Jocelyn, L., Kastberg, D., & Williams T. (2004). Highlights from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03.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al Statistics
  23. Lee, V. E., & Burkam, D. T. (1996). Gender Differences in Middle Grade Science Achievement: Subject Domain, Ability Level, and Course Emphasis. Science Education, 80(6), 613-650
  24. Maitra, K., & Kumari, H. (1996).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Choice of Subjects Pertaining to Science.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1(2), 86-90
  25. Martin, M. O., Mullis, I. V. S., Gonzalez, E. J., Gregory, K. D., Smith, T. A., Kelly, D. L., Chrostowski, S. J., Garden, R. A., & O'Connor, K. M. (2000). TIMSS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Findings from IEA's Repeat of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Eighth Grade. Boston: Boston College, Center for the Study of Testing, Evaluation, and Educational Policy
  26. Martin, M. O., Mullis, I. V. S., Gonzalez, E. J., & Chrostowski, S. J. (2004). TIMSS 2003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Findings from lEA'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Fourth and Eight Grades. Boston: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Lynch School of Education, Boston College
  27. Paik, S. J. (2004). Korean and US Families, Schools,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1(1), 71-90
  28. Papanastsiou, C. (2002). School, Teaching and Family Influence on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Based on TIMMS Data for Cyprus.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28(1), 71-86
  29. Schmidt, W. H., Wang, H. C., & McKnight, C. C. (2005). Curriculum Coherence: An Examination of US Mathematics and Science Content Standards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7(5), 525-559
  30. Shen, C. (2005). How American Middle Schools Differ From Schools of Five Asian Countries: Based on Cross-National Data from TIMSS 1999.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11(2), 179-199
  31. Taber, K. S. (1991).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Preferences on Starting Secondary School.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9(2), 245-252
  32. Wheeler. G., & Pratt, H. (2005). What is working-What needs to be done. The Journal of BSCS : The Natural Selection. Winter 2005, 1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