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ontextual Variabl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Analysis of TIMSS 2007 Using Path Analysis-

학생의 배경 요인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TIMSS 2007 자료를 활용한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contextual variabl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TIMSS(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2007 using Path Analysis with SEM(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books in the home,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of mother,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of father, the ambitions of education, the towards mathematics, the frequence of self study, and the times of homeworks a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Mathematics achievement is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he books holdings at home, and the towards effect the ambitions of educati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is indirectly being affected by them. Second, The Mathematics achievement is indirectly being affected by the ambitions of education, the towards mathematics, and the times of homeworks.

본 연구에서는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TIMSS 2007의 수학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배경 요인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고 각 요인들 사이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이전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생의 배경에 대한 설문들 중 가정의 장서보유량, 어머니의 최종학력, 아버지의 최종학력, 교육포부, 학생의 정의적 성취지수, 스스로 학습활동 빈도, 그리고 숙제횟수의 총 7 가지 변수들을 설정하여 각 변수들이 수학 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각 변수들 사이에는 어떤 인과관계가 성립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부모의 최종 학력, 장서보유량, 정의적 성취지수는 교육 포부에 영향을 주어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육포부와 정의적 성취지수, 숙제 회수는 학업 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