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GF-$\beta{2}$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31초

SUMO Proteins are not Involved in TGF-${\beta}1$-induced, Smad3/4-mediated Germline ${\alpha}$ Transcription, but PIASy Suppresses it in CH12F3-2A B Cells

  • Lee, Sang-Hoon;Kim, Pyeung-Hyeun;Oh, Sang-Muk;Park, Jung-Hwan;Yoo, Yung-Choon;Lee, Junglim;Park, Seok-Rae
    • IMMUNE NETWORK
    • /
    • 제14권6호
    • /
    • pp.321-327
    • /
    • 2014
  • TGF-${\beta}$ induces IgA class switching by B cells. We previously reported that Smad3 and Smad4, pivotal TGF-${\beta}$ signal-transducing transcription factors, mediate germline (GL) ${\alpha}$ transcription induced by TGF-${\beta}1$, resulting in IgA switching by mouse B cells. Post-translational sumoylation of Smad3 and Smad4 regulates TGF-${\beta}$-induced transcriptional activation in certain cell typ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umoylation on TGF-${\beta}1$-induced, Smad3/4-mediated $GL{\alpha}$ transcription and IgA switching by mouse B cell line, CH12F3-2A. Overexpression of small ubiquitin-like modifier (SUMO)-1, SUMO-2 or SUMO-3 did not affect TGF-${\beta}1$-induced, Smad3/4-mediated $GL{\alpha}$ promoter activity, expression of endogenous $GL{\alpha}$ transcripts, surface IgA expression, and IgA production. Next, we tested the effect of the E3 ligase PIASy on TGF-${\beta}1$-induced, Smad3/4-mediated $GL{\alpha}$ promoter activity. We found that PIASy overexpression suppresses the $GL{\alpha}$ promoter activity in cooperation with histone deacetylase 1.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MO itself does not affect regulation of $GL{\alpha}$ transcription and IgA switching induced by TGF-${\beta}1$/Smad3/4, while PIASy acts as a repressor.

Hair follicle development and related gene and protein expression of skins in Rex rabbits during the first 8 weeks of life

  • Wu, Zhenyu;Sun, Liangzhan;Liu, Gongyan;Liu, Hongli;Liu, Hanzhong;Yu, Zhiju;Xu, Shuang;Li, Fuchang;Qin, Yingh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477-484
    • /
    • 2019
  • Objective: We aimed to observe hair follicle (HF) development in the dorsal skin and elucidate the expression patterns of genes and proteins related to skin and HF development in Rex rabbits from birth to 8 weeks of age. Methods: Whole-skin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e backs of Rex rabbits at 0, 2, 4, 6, and 8 weeks of age,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primary and secondary HFs was observed, and the gene transcript level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epidermal growth factor (EGF),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2, and 3 ($TGF{\beta}-1$, $TGF{\beta}-2$, and $TGF{\beta}-3$) were examin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dditionally, Wnt family member 10b (Wnt10b) and ${\beta}$-Catenin gene and protein expression were examined by quantitative real-time PCR and western blot,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differenti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HFs in Rex rabbits during their first 8 weeks of life. The IGF-I, EGF, $TGF{\beta}-2$, and $TGF{\beta}-3$ transcript levels in the rabbits were significantly lower at 2 weeks of age than at birth and gradually increased thereafter, while the BMP2 and $TGF{\beta}-1$ transcript levels at 2 weeks of 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birth and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beta}$-Catenin gene expression wa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while the Wnt10b transcript level was not. However, the Wnt10b and ${\beta}$-catenin protein expression levels were the lowest at 2 and 4 weeks of age. Conclusion: Our data showed that a series of changes in HFs in dorsal skin occurred during the first 8 weeks. Many genes, such as IGF-I, EGF, BMP2, $TGF{\beta}-1$, $TGF{\beta}-2$, $TGF{\beta}-3$, and ${\beta}$-Catenin,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and the related proteins Wnt10b and ${\beta}$-Catenin in skin were also affected by age.

사람 폐 섬유아세포의 전환성장인자-β1에 의한 fibronectin 분비와 α-smooth muscle actin 표현에 있어서 활성산소족의 역할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inuduced Fibronectin Secretion and α-Smooth Muscle Actin Expression in Human Lung Fibroblasts)

  • 하헌주;유미라;어수택;박춘식;이희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3호
    • /
    • pp.267-276
    • /
    • 2005
  • 연구배경 : 전환성장인자-${\beta}1$(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은 폐 섬유화를 매개하는 주된 인자이지만 $TGF-{\beta}1$에 의한 폐 섬유화의 발생과 진행기전의 이해는 아직 불완전하다. $TGF-{\beta}1$은 다양한 세포에서 활성산소족(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통하여 세포내 신호를 전달하고 ${\alpha}$-smooth muscle actin (${\alpha}$-SMA)의 신생합성을 통하여 상피세포와 폐 섬유아세포를 근 섬유아세포 표현형으로의 변화를 유도하는 주된 인자이다. ROS는 또 다양한 세포에서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 ECM) 축적을 유발하는 것이 알려져 있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폐 섬유아세포인 MRC-5 세포에서 $TGF-{\beta}1$이 ROS를 매개하여 fibronectin 분비와 ${\alpha}-SMA$ 표현의 증가에 관여하는지를 검색하였다. 방 법 : 성장이 동일화된 MRC-5 세포를 $TGF-{\beta}1$ (0.2-10ng/ml)으로 96 시간까지 자극하였고,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인 N-acetylcysteine (NAC)이나 NADPH oxidase 억제제인 diphenyleniodonium (DPI)을 $TGF-{\beta}1$ 투여 1 시간 전부터 전처리하였다. Dichlorofluorescein (DCF)에 민감한 세포내 ROS는 FACS로, 분비된 fibronectin과 세포의 ${\alpha}-SMA$ 표현은 Western blot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TGF-{\beta}1$은 용량의존적으로 fibronectin 분비와 ${\alpha}-SMA$ 표현을 상향조절하였다. NAC와 DPI는 $TGF-{\beta}1$에 의한 fibronectin 분비 증가와 ${\alpha}-SMA$ 상향조절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TGF-{\beta}1$에 의한 세포내 ROS의 증가도 NAC나 DPI에 의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폐 섬유아세포에서 NADPH oxidase 에 의하여 생산된 ROS가 $TGF-{\beta}1$에 의한 fibronectin 분비와 ${\alpha}-SMA$ 표현을 상향조절함으로써 폐 섬유화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위암 및 전립선암의 종양 표지 인자로서 혈장 TGF-β1에 대한 연구 (Study of plasma TGF-β1 level as a useful tumor marker in gastric cancer and prostate cancer)

  • 임창기;신훈;최인영;정병하;류민희;방영주;진승원
    • IMMUNE NETWORK
    • /
    • 제1권3호
    • /
    • pp.260-265
    • /
    • 2001
  •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is a multipotent growth factor affecting development, homeostasis and tissue repair. Many kinds of malignant tissues were reported to overexpress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gene. However, a little work has been done on the circulating $TGF-{\beta}1$ and the association of $TGF-{\beta}1$ with progression in patients with malignant tumor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plasma level of $TGF-{\beta}1$ in gastric cancer and prostate cancer patients and evaluated the utility of plasma $TGF-{\beta}1$ as a possible tumor marker. We use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system in order to measure plasma $TGF-{\beta}1$ level in 134 gastric cancer patients, 50 prostate cancer patients and 290 normal controls. And the tumor marker,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was compared with $TGF-{\beta}1$ in the aspects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mean plasma $TGF-{\beta}1$ levels were $1.219{\pm}0.834$ (0.272-5.772) ng/mL in normal controls, $5.964{\pm}3.218$ (0.845-18.124) ng/mL in gastric cancer and $4.140{\pm}2.345$ (1.108-13.302) ng/mL in prostate cancer. In gastric cancer patients difference in plasma $TGF-{\beta}1$ level was not detected according to cancer stage. In comparison with other tumor marker (CEA, PSA) $TGF-{\beta}1$ is more potent in sensi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lasma $TGF-{\beta}1$ level can be a potent tumor marker in gastric cancer and prostate cancer.

  • PDF

Cardamonin Suppresses TGF-β1-Induced 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via Restoring Protein Phosphatase 2A Expression

  • Kim, Eun Ji;Kim, Hyun Ji;Park, Mi Kyung;Kang, Gyeung Jin;Byun, Hyun Jung;Lee, Ho;Lee, Chang H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2호
    • /
    • pp.141-148
    • /
    • 2015
  • 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EMT) is the first step in metastasis and implicated in the phenotype of cancer stem cells. Therefore, understanding and controlling EMT, are essential to the prevention and cure of metastasi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by Western blot,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confocal microscopy, the effects of cardamonin (CDN) on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induced EMT of A549 lung adenocarcinoma cell lines. TGF-${\beta}1$ induced expression of N-cadherin and decreased expression of E-cadherin. CDN suppressed N-cadherin expression and restored E-cadherin expression. Further, TGF-${\beta}1$ induced migration and invasion of A549 cancer cells, which was suppressed by CDN. TGF-${\beta}1$ induced c-Jun N-terminal kinase (JNK) activation during EMT, but CDN blocked it. Protein serine/threonine phosphatase 2A (PP2A) expression in A549 cancer cells was reduced by TGF-${\beta}1$ but CDN restored it. The overall data suggested that CDN suppresses TGF-${\beta}1$-induced EMT via PP2A restoration, making it a potential new drug candidate that controls metastasis.

Regulation of Tumor Immune Surveillance and Tumor Immune Subversion by TGF-$\beta$

  • Park, Hae-Young;Wakefield, Lalage M;Mamura, Mizuko
    • IMMUNE NETWORK
    • /
    • 제9권4호
    • /
    • pp.122-126
    • /
    • 2009
  •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 is a highly pleiotropic cytokine playing pivotal roles in immune regulation. TGF-$\beta$ facilitates tumor cell survival and metastasis by targeting multiple cellular components. Focusing on its immunosuppressive functions, TGF-$\beta$ antagonists have been employed for cancer treatment to enhance tumor immunity. TGF-$\beta$ antagonists exert anti-tumor effects through #1 activating effector cells such as NK cells and cytotoxic $CD8^+$ Tcells (CTLs), #2 inhibiting regulatory/suppressor cell populations, #3 making tumor cells visible to immune cells, #4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tumor growth factors. This review focuses on the effect of TGF-$\beta$ on T cells, which are differentiated into effector T cells or newly identified tumor-supporting T cells.

간질성 폐질환환자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의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s (ILD))

  • 박성수;이경상;양석철;윤호주;신동호;이동후;이중달;이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164-172
    • /
    • 1996
  • 연구배경 : TGF-$\beta$는 25kD의 단백으로써, 폐섬유증의 병인에 있어 TGF-$\beta$의 발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TGF-$\beta$는 세포외 분자들의 합성 및 생산을 촉진할 뿐만아니라 세포간질의 붕괴를 감소시킨다. 특발성 폐섬유증을 포함한 다른원인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의 폐섬유증에 있어 TGF-$\beta$의 발현양상은 상향조절된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방법 : 본연구는 특발성 폐섬유증과, bleomycin, 유육종증, 및 폐의 호산구성 육아종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에 있어서 TGF-$\beta$의 발현 양상를 연구하고자 개흉 폐생검으로 채취된 특발성 간질성 폐섬유증 3예의 6절편과 폐절제시 채취한 5예의 정상조직을 연구재료로 하였고 bleomycin, 유육종증 및 폐의 호산구성 육아종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환자 각각 3예로부터 얻은 6절편에서 TGF-$\beta$의 단세포군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실시하였다 결과 : TGF-$\beta$은 5예의 정상조직의 기관지 상피세포나 폐포세포에서는 약하거나 중등도로 발현되었다. 3예의 특발성 폐섬유증 6절편 중 5절편에서 폐포벽의 간질성 섬유모세포들에서 발현되었고, 1절편에서는 증식된 폐포내 폐포세포에서 발현되었으며 그 정도는 비균질적인 양상을 보였다. 3예의 6절편 중 5절편에서 강한발현을 1절편에서는 중등도의 발현을 나타냈으며 bleomycin이 원인이 되는 간질성 폐질환 6절편중 2절편에서는 중등도의 발현을 4절편에서는 강한발현을 보였고, 유육종증이 원인이 되는 간질성 폐질환 6절편 중 3절편에서 중등도의 발현을, 3절편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폐의 호산구성 육이종이 원인이 되는 간질성 폐질환 6절편중 2절편에서 중등도의 발현을, 4절편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결론 : TGF-$\beta$의 발현 증가는 특발성 폐섬유증, bleomycin, 유육종증 및 폐의 호산구성 육아종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에 있어서 폐섬유증의 병인과 상당한 관련이 있음을 암시해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lectrospray법으로 rhTGF-β2/PLGA 복합체를 코팅한 티타늄에서의 간엽줄기세포 증식에 관한 연구 (An in vitro study of mesenchymal stem cell proliferation on titanium discs coated with rhTGF-β2/PLGA by electrospray)

  • 김주형;김성균;허성주;곽재영;이우성;이주희;박지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0-125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in-vitro 상에서 recombinant human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rhTGF-${\beta}2$)와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의 복합체를 티타늄 디스크 표면에 코팅하여, 생물학적으로 간엽줄기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양극산화 디스크에 일렉트로스프레이 코팅법을 이용하여 anodized 된 티타늄 디스크를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rhTGF-${\beta}2$를 125 ng/ml와 500 ng/ml 농도로 코팅한 것을 실험군으로 하였다. 티타늄 디스크 표면에 분사된 복합체가 균일하게 분사되었는지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atomic force microscope (AFM) test를 이용하여 rhTGF-${\beta}2$로 코팅한 디스크와 양극산화 디스크의 거칠기 차이를 확인하였다. 디스크 위에 간엽줄기세포 배양 후 1, 4, 7일에 세포증식 양상을 MTT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AFM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거칠기의 유의할만한 차이가 없었다 (P>.05). MTT 결과 7일차 배양 결과에서 125 ng/ml와 500 ng/ml PLGA/TGF-${\beta}2$처리된 그룹은 각각 평균 0.45와 0.48이였으며, 대조군은 평균 0.33으로 PLGA/TGF-${\beta}2$처리된 그룹에서 세포 증식이 더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05). 결론: rhTGF-${\beta}2$ 복합체를 electrospray법으로 코팅한 티타늄 표면에서 7일차에서 줄기간엽세포의 빠른 증식을 확인하였다. 또한 복합체 처리군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세포 성장 수치를 보였다.

알코올성 간 손상 조직에서 TGF-β1와 c-Myc, Erb-B2, Thymosin-β4 유전자 발현 융합 연구 (A study of Expression of TGF-β1, c-Myc, Erb-B2 and Thymosin-β4 Gene in Alcoholic Liver Damage Tissue.)

  • 김진수;최상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91-97
    • /
    • 2018
  • 본 연구는 25% 에탄올에 손상된 간조직에서 $TGF-{\beta}_1$와 c-Myc, Erb-B2, $Thymosin-{\beta}_4$ 유전자의 발현을 알아 보고자 실시 하였다. 실험군은 2군으로 나누어 25% 에탄올로 간 손상을 유발한 실험군과 정제수를 투여한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검사 결과는 25% 에탄올를 투여 했던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TGF-{\beta}_1$, c-Myc 및 $Thymosin-{\beta}_4$ 유전자의 발현 증가를 알 수 있었으며 Erb-B2 유전자는 뚜렷한 발현을 알 수 없었다. 또한 손상된 간 조직에서 헤마톡실린 에오진 염색을 통한 세포 손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기존 임상에서 간 기능 관련 질병 예방과 질환 판정 시 혈청학적, 조직학적 검사 외에 $TGF-{\beta}_1$, c-Myc 및 $Thymosin-{\beta}_4$의 분자 진단 기법에 의한 유전자 발현 상태를 융합 검사함으로써 간 질환 판정의 보조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Progesterone과 TGF-${\beta}1$에 의해 탈락막화가 유도된 인간 자궁내막세포의 삼차원 공배양이 2-세포기 생쥐배아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3-dimensional Co-culture of Human Endometrial Cells Decidualized with Progesterone and TGF-${\beta}1$ on the Development of Mouse 2-cell Embryos In Vitro)

  • 권욱현;김휘곤;이동형;고경래;이규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1호
    • /
    • pp.49-60
    • /
    • 2008
  • 목 적: 자궁내막조직에서 분리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를 삼차원 공배양을 통한 탈락막화 유도에서 성호르몬과 TGF-${\beta}1$의 역할을 알아보고 2-세포기 생쥐배아와 탈락막화가 유도된 자궁내막세포와의 공배양을 통하여 포배형성율, 부화율, 포배기배아의 내세포괴와 영양막세포수 및 부착율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인간 자궁내막조직에서 분리된 기질세포와 상피세포의 표지인자인 cytokeratin과 vimentin에 대한 면역조직 화학염색을 실시하여 분리를 확인하였으며, 성호르몬 우세환경 (progesterone, estrogen)에서 분리된 세포를 단일배양 혹은 3차원 공배양을 통하여 RT-PCR법으로 TGF-${\beta}1$, 수용체-1, -2, integrin-${\beta}3$, prolactin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배양액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2-세포기 생쥐배아와 탈락막화 유도와 유도하지 않은 인간 자궁내막세포와의 공배양을 통하여 포배형성율, 부화율, 부착율과 부화된 포배의 영양막세포와 내세포괴수를 비교하였다. 결 과: 상피세포 표지인자인 cytokeratin과 기질세포 표지인자인 vimentin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한 결과 각각 95% 이상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어 자궁내막조직으로부터 상피세포와 기질세포가 성공적으로 분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를 단일배양에서는 성호르몬의 조건에 관계없이 TGF-${\beta}1$과 수용체 type-1, type-2, integrin-${\beta}3$, prolactin mRNA가 발현되지 않았다. 공배양에서는 progesterone 우세환경일 경우 TGF-${\beta}1$ 수용체 type-2를 제외한 모든 mRNA가 발현하였으나 estrogen 우세환경에서는 TGF-${\beta}1$ 수용체 type-2와 prolactin이 발현되지 않았다. 2-세포기 생쥐배아를 배양액군, 비탈락막군 및 탈락막군으로 나누어 공배양하였을 때 포배기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부화율 (92%)과 부착율 (82%)은 탈락막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비탈락막군의 공배양에서 다수의 영양막세포가 투명대를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은 상태로 부착한 비정상형태를 보였다. 부화된 생쥐 포배기배아의 내세포괴수는 탈락막화에 관계없이 공배양한 포배의 내세포괴수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p<0.05), 영양막세포수는 탈락막군에서 배양액군과 비탈락막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p<0.05). 결 론: 자궁내막조직에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를 분리하여 다시 삼차원적 공배양을 통하여 progesterone (100 nM), estrogen (1 nM)과 TGF-${\beta}1$ (10 ng/ml)을 첨가하면 체외에서 탈락막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탈락막화를 유도한 자궁내막 세포와 2-세포기 생쥐배아를 공배양하였을 때 탈락막화가 부화율, 부착율 및 영양막세포수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