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G-51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5초

단일지방산 첨가에 의한 간세포의 지질조성과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aric, Oleic and Elaidic Acid on Cellular Lipids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 in Hep-$G_2$ Cells)

  • 김대진;조병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99-405
    • /
    • 1996
  • The effects of stearic(18 : 0, SA), oleic(18 : 1 cis, OA) and elaidic acid(18 : 1 trans, EA) on the cell growth, contents of cellular lipids,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cellular and medium lipids in Hep-G$_2$cells were evaluated. The cells were incubated in serum-free medium containing 25, 50, 100 and 200$\mu$M of a fatty acid combined with albumin for 2 days. The fatty acid concentration up to 100$\mu$M showed the normal growth, but the cell growth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200$\mu$M fatty acid. The treatment of cells with 100$\mu$M of a fatty acid for two days significantly(p<0.05) increased the cellular triglyceride(TG) content in all fatty acid groups compared to control, but TG cont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reatment group, but total cholesterol(TC) was the highest level in EA group. The level of free cholesterol(FC) and cholesteryl ester(CE) was similar to those of TC in all fatty acid treated group. The cellular phospholipid(PL) contents were similar between the control and all fatty acid groups. The treatment of cells with SA has no notable effect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G, CE and PL. The OA treatment caused significant increases in CE(51.2%) and PL(29.8%), but not in TG. The EA treatment resulted in 10.1, 10.7 and 7.8% of $C_{18:1\;trans}$ content in cellular TG, CE, and PL. The TG, CE and PL of medium were relatively similar between SA and OA groups. In EA treated group, TG, CE and PL of medium contained 17.0%, 0.7% and 5.6% of $C_{18:1\;trans}$, respectively.

  • PDF

A Rapid Diagnostic Test for Toxoplasmosis using Recombinant Antigenic N-terminal Half of SAG1 Linked with Intrinsically Unstructured Domain of GRA2 Protein

  • Song, Kyoung Ju;Yang, Zhaoshou;Chong, Chom-Kyu;Kim, Jin-Soo;Lee, Kyung Chan;Kim, Tong-Soo;Nam, Ho-W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5호
    • /
    • pp.503-510
    • /
    • 2013
  • Toxoplasma gondii is an apicomplexan parasite with a broad host range of most warm-blooded mammals including humans, of which one-thirds of the human population has been infected worldwide which can cause congenital defects, abortion, and neonatal complications. Here, we developed a rapid diagnostic test (RDT) for T. gondii infection. Antigenic N-terminal half of the major surface antigen (SAG1) was linked with intrinsically unstructured domain (IUD) of dense granule protein 2 (GRA2). The recombinant GST-GRA2-SAG1A protein was successfully expressed and purified as 51 kDa of molecular weight. Furthermore, antigenicity and solubility of the rGST-GRA2-SAG1A prote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overall specificity and sensitivity of GST-GRA2-SAG1A loaded RDT (TgRDT) were estimated as 100% and 97.1% by comparing with ELISA result which uses T. gondii whole cell lysates as the antigen. The TgRDT tested with Uganda people sera for field trial and showed 31.9% of seroprevalence against T. gondii antibody. The TgRDT is proved to be a kit for rapid and easy to use with high accuracy, which would be a suitable serodiagnostic tool for toxoplasmosis.

고 에너지 광자선의 표준측정법에 대한 선량 교정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Dose Calibration Program for Various Dosimetry Protocols in High Energy Photon Beams)

  • 신동오;박성용;지영훈;이창건;서태석;권수일;안희경;강진오;홍성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381-390
    • /
    • 2002
  • 목적 : 고 에너지 광자선에 대한 기준점에서의 물 흡수선량 계산을 절차상 또는 계산상의 오류를 피하기 위해 공기커마(혹은 조사선량) 교정정수에 토대를 두고 있는 IAEA TRS-277과 AAPM TG-21 및 최근 발표된 새로운 개념의 물 흡수선량 교정정수에 토대를 두고 있는 IAEA TRS-398과 AAPM TG-51 표준측정법에 기초한 고 에너지 광자선의 선량 교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현재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 에너지 광자선에 대한 흡수선량 표준측정법은 IAEA TRS-277과 AAPM TG-21로서 공기커마(혹은 조사선량) 교정정수에 토대를 두고 있어 수식 체계가 복잡하고, 사용된 물리량에 대한 불확정도가 커서 선량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 국제원자력기구와 미국의학물리학회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물 흡수선량 교정정수에 토대를 두고 있는 IAEA TRS-398과 AAPM TG-51을 발표하였다. 개발된 네 종류의 선량 교정 프로그램은 이들 표준측정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식체계와 물리적인 매개변수를 엄격하게 적용하였고, 선량계에 대한 정보 및 물리적인 값에 대한 표와 그래프 값은 수치화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이들 프로그램은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비쥬얼 $C^{++}$ 언어를 사용하여 각각의 표준측정법에서 권고하고 있는 방법 및 절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결과 : 네 종류의 표준측정법에 대하여 개발된 고 에너지 광자선에 대한 선량 교정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준측정법을 선택하여 선량측정 절차에 따라 선량계, 선질 특성 및 측정 조건에 관한 정보와 측정 결과를 입력하고,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 절차상 혹은 선량 계산에 있어서 사용자간의 오차 및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또한 서로 다른 개념의 네 종류의 표준측정법에 대한 기준점에서의 선량값을 상호 비교할 수 있었다. 결론 : 이 프로그램은 이온함에 대한 정보와 물리적인 자료에 대한 표와 그래프 값들을 수식화하여 데이터베이스함으로써 수작업으로 각 프로토콜의 수행 절차상 혹은 사용자간의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적인 실수 및 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였고, 모든 보정계수와 물흡수선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각 표준측정법에 대한 주요한 차이점을 비교 분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적당한 표준측정법을 선택하여 수행하므로써 고 에너지 광자선 선량 교정에 이용시 매우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체팬텀을 이용한 국내 방사선 치료시설의 흡수선량에 대한 조사 (External Auditing on Absorbed Dose Using a Solid Water Phantom for Domestic Radiotherapy Facilities)

  • 최창헌;김정인;박종민;박양균;조건우;조운갑;임천일;예성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50-56
    • /
    • 2010
  • 목 적: 제 3기관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된 방사선 치료 빔의 흡수 선량을 외부 감사의 결과로 보고 한다. 이를 위해 쉽고 편리하게 설치 가능 한 고체 팬텀을 이용하여 흡수 선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2개 방사선 치료 시설에서 외부 감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47개의 광자선과 전자선의 제 3기관에 의해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AAPM) task group (TG)-51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교정되었다. AAPM TG-51 프로토콜은 물에서의 측정을 권고 하고 있지만 팬텀으로 물은 바쁜 병원 상황에선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설치와 수송이 편리하고 재현성이 있는 고체 팬텀을 사용하였다. 광자선과 전자선에 대한 물과 고체 팬텀 사이의 선량 보정인자는 스케일링 방법과 실험적 측정에 의해 결정되었다. 결 과: 대부분의 빔은(74%) 제3기관의 프로토콜로 측정한 결과 2%의 편차 이내였다. 그러나 20개 중 2개의 광자선과 27개 중 3개의 전자선은 허용범위(3%)를 초과 하였다. 특히 그중 2개의 빔은 10% 이상의 편차를 보여주고 있다. 6 MV 초과의 고에너지 광자선은 보정인자가 없었다. 6 MV 광자선의 경우 고체 팬텀에서의 흡수선량은 물에서의 흡수 선량보다 0.4% 작게 나타났다. 전자선에 대한 보정인자도 결정되었는데 전자선의 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보정인자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여준다. 고체팬텀을 사용한 TG-51 프로토콜의 측정 오차는 ${\pm}1.22%$로 나타났다. 결 론: 개발된 방법은 다기관 임상 연구의 인증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외부 감사 기관 프로그램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 이 선량측정은 선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간을 줄이고 물을 설치할 때의 생길 수 있는 측정오차를 감소시킨다.

고 에너지 전자선에 대한 공기커마와 물 흡수선량에 기반한 프로토콜간의 비교 (Comparison of Air Kerma­based and Absorbed Dose to Water­based Protocols in the Dosimetry of High Energy Electron Beams)

  • 박창현;신동오;박성용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4권4호
    • /
    • pp.249-258
    • /
    • 2003
  • 흡수선량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공기커마 혹은 조사선량 표준에서 물 흡수선량 표준으로 선량측정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프로토콜에서 물 흡수선량 기반의 프로토콜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입장에서 현재 임상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IAEA TRS­277과 물 흡수선량 표준에 토대를 두고 있는 IAEA TRS­398 및 AAPM TG­51 프로토콜에 대하여 동일한 기준깊이에서 물 흡수선량을 측정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Varian 2100 C/D 선형가속기로부터의 세 종류의 전자선 에너지에 대해 PTW 30002 원통형 이온함과 Markus 및 Roos 평행평판형 이온함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60}$Co에서의 공기커마 및 물 흡수선량 교정정수는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받아 사용하였다. 공기커마 표준에 기반한 프로토콜과 물 흡수선량 표준에 기반한 프로토콜간에는 2% 이내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사용자 기관에서는 자체적인 확인을 거쳐 공기커마 기반의 프로토콜에서 물 흡수전량 기반 프로토콜로의 전환을 적극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물 흡수선량 기반의 프로토콜간에는 원통형 이온함의 경우 0.5% 이내에서 잘 일치하였고 평행평판형 이온함의 경우에도 고 에너지 전자선을 이용한 교차 교정을 하면 0.7% 이내에서 잘 일치하였다. 사용한 모든 프로토콜과 전자선 에너지에 대해 원통형 이온함과 평행평판형 이온함간에는 2% 이내의 차이를 보였으나 선량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물 흡수선량 표준에 기반한 프로토콜의 권고에 따라서 하한에너지 이하의 전자선의 경우는 원통형 이온함 대신에 평행평판형 이온함을 사용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The interaction of Apolipoprotein A5 gene promoter region T-1131C polymorphism (rs12286037) and lifestyle modification on plasma triglyceride levels in Japanese

  • Yamasaki, Masayuki;Mutombo, Paulin Beya wa Bitadi;Iwamoto, Mamiko;Nogi, Akiko;Hashimoto, Michio;Nabika, Toru;Shiwaku, Kuninor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4호
    • /
    • pp.379-384
    • /
    • 2015
  • BACKGROUND/OBJECTIVE: Apolipoprotein A5 gene promoter region T-1131C polymorphism (APOA5 T-1131C)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elevated plasma TG levels, although little is known of the influe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APOA5 T-1131C and lifestyle modification on TG levels. To investigate this matter, we studied APOA5 T-1131C and plasma TG levels of subjects participating in a three-month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SUBJECTS/METHODS: A three-month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was conducted with 297 participants (Age: $57{\pm}8years$) in Izumo City, Japan, from 2001-2007. Changes in energy balance (the difference between energy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and BMI were used to evaluate the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lifestyle modification. RESULTS: Eve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plasma TG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baseline among three genotype subgroups: TT, $126{\pm}68mg/dl$; TC, $134{\pm}74mg/dl$; and CC, $172{\pm}101mg/dl$. Lifestyle modification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s in plasma TG levels in the TT, TC, and CC genotype subgroups: $-21.9{\pm}61.0mg/dl$, $-20.9{\pm}51.0mg/dl$, and $-42.6{\pm}78.5mg/dl$,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In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ge, APOA5 T-1131C, body mass index (BMI), homeostasis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the 18:1/18:0 ratio showed independent association with plasma TG levels at baseline. In a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APOA5 T-1131C C-allele carriers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TG reduction with decreased energy balance than wild type carriers after adjustment for age, gender, and baseline plasma TG levels. CONCLUSIONS: The genetic effects of APOA5 T-1131C independently affected plasma TG levels. However, lifestyle modification was effective in significantly reducing plasma TG levels despite the APOA5 T-1131C genotype background.

생태계 모형과 시공간 환경정보를 이용한 우리나라 식생 탄소 수지 추정 (Estimation of Vegetation Carbon Budget in South Korea using Ecosystem Model and Spatio-temporal Environmental Information)

  • 유성진;이우균;손요환;이토 아키히코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5-15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VISIT(Vegetation Integrated Simulator for Trace gases)이라는 생태계 모형 구동하였고, 우리나라의 생태계 탄소 수지를 추정하였다. 모델 구동 결과, 모델은 시뮬레이션 기간인 총 10년 동안 연평균 총일차생산량(GPP)과 순일차생산량(NPP)을 각각 $91.89Tg\;C\;year^{-1}$, $40.16Tg\;C\;year^{-1}$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식생 생태계는 연평균 $3.51Tg\;C\;year^{-1}$의 탄소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를 우리나라의 인위적 탄소배출량 자료와 비교한 결과, 2007년 우리나라 식생 생태계는 탄소 흡수원으로서 인위적 탄소배출량의 3.3%를 상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확한 탄소수지 추정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입력자료 구축과 다양한 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모델 변수의 보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생태계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탈휘발화 과정에서 혼탄의 반응률과 열적 거동에 관한 연구 (Thermal Behavior and Kinetics of Coal Blends during Devolatilization)

  • 류광일;김량균;이동방;오택림;전충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1호
    • /
    • pp.121-126
    • /
    • 2013
  • 본 연구 목적은 탈휘발화 과정에서의 역청탄과 아역청탄의 혼탄 열중량 곡선을 예측 하는 것이다. TSL (Thermal Shock Large) TGA를 통하여 실험을 수행 하였으며, 반응속도상수 분석은 Coats-redfern 방법을 이용하였다. 도출된 반응속도상수를 기반으로 단일탄의 Sum Method에 대한 일차적 검증을 하였으며, 혼탄시의 TG curve를 WSM(Weight Sum Method)와 저자가 제시한 MWSM (Modified Weight Sum Method)를 사용하여 예측 및 비교하였다. WSM 및 MWSM를 통한 예측결과와 TG curve 실험결과의 정량적인 비교를 위해 Linear least square method를 사용하였다. TG curve 상에서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경우와 많은 휘발분의 방출로 인한 급격한 질량감소가 나타나는 구간의 경우 MWSM이 WSM 보다 실험결과에 더 정확한 결과를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탈휘발 과정에서의 혼탄의 열적 거동은 단일탄의 특성에서부터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성영상과 산림생장모형을 활용한 한반도 산림자원 변화 정량화 (Quantifying forest resourc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satellite imagery and forest growth models)

  • 김문일;박태진
    • 환경생물
    • /
    • 제42권2호
    • /
    • pp.193-206
    • /
    • 2024
  • 본 연구는 한반도 전체 산림면적과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2000~2019년 기간 산림면적의 변화를 연도별로 분석하였으며, 한국형 산림탄소모형을 기반으로 2000~2020년의 산림탄소 변화를 추정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업통계연보, European Space Agency (ESA)에서 구축한 산림 바이오매스 지도를 활용하였다. Landsat 위성자료를 기반으로 한 한반도 산림손실 면적은 478,334 ha로 추정되었으며, 북한과 남한은 각각 48.6% (232,610 ha)와 51.3% (245,725 ha)의 총 손실 면적을 차지하여 지난 20년간 북한과 남한이 비슷한 면적의 산림이 손실된 것이 확인되었다. 모델 분석 결과 2000년의 우리나라와 북한 산림의 지상부 탄소저장량은 211.5, 277.1 Tg C으로 추정되었으며, 2020년에는 각각 357.9, 417.4 Tg C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우리 나라와 북한 산림의 단위면적당 평균 탄소저장량은 각각 34.8, 29.4 Mg C ha-1에서 58.9, 44.2 Mg C ha-1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산림이 북한의 산림보다 전반적인 생산성과 탄소흡수량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ESA의 분석 결과에서 우리나라의 산림 바이오매스가 다소 낮게 추정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앞으로 보다 활발한 연구와 정보공유 등을 통해 국제사회 및 학문의 영역에서 우리나라 산림의 평가가 제고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한반도 전체 산림 탄소 및 자원의 추정에 행정구역 및 국가 단위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북한 산림환경복구 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두상 갑상선암의 수술후 재발예측인자로서 혈청 Thyroid Peroxidase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Serum Thyroid Peroxidase as a New Tumor Marker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fter Thyroidectomy)

  • 장항석;나재웅;정웅윤;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6-51
    • /
    • 1999
  • Background: Total thyroidectomy and postoperative radiodiodine ablation therapy in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s enhance the reliability of serum thyroglobulin(Tg) levels and radioiodine scan in detecting recurrence or distant metastasis. There have been, however, some limitations in using these methods under certain conditions. Recently, several reports have indicated that thyroid peroxidase(TPO)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tumor marker. We aimed to estimate the significance of serum TPO levels in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Forty-eight patients who had undergone total thyroidectomy due to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and who had been followed-up for at least 3 year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27 patients without any evidence of recurrence in group 1; and 20 patients with recurrence or distant metastasis in group 2. All patients were examined by radioiodine scans. Serum Tg, TSH, antithyroglobulin antibody, and TPO were measured and the relationshi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131}I$ scan, serum Tg, and serum TPO were evaluated. Results: Serum Tg levels were $3.81{\pm}5.16ng/mL$ in group 1 and $147.02{\pm}193.75ng/mL$ in group 2. Only 2 patients in group 1 showed Tg levels exceeding 10ng/mL. In contrast, 4 patients in group 2 were under 10ng/mL. Serum antithyroglobulin antibody and TSH level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group 1, 16 patients showed negative serum TPO results, and 4 patients in group 2 showed negative results. There was no correlation among serum Tg levels, antithyroglobulin antibody titers, and serum TPO levels in each group. In group 2, 4 patients with negative serum Tg levels showed positive TPO results and positive whole body scans. Two cases with false negative $^{131}I$ scans showed positive serum TPO and Tg results. In 4 cases showing false negative serum TPO levels, serum Tg levels and $^{131}I$ scans were positive. Conclusion: Serum Tg levels, radioiodine scans, and serum TPO levels can be clinically used as complementary methods in the diagnosis of recurrent or metastatic thyroid carcinomas. Serum TPO levels may be helpful when other methods fail to detect recurrences or distant metastasis in highly suspected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