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DM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6초

RFID 리더 주파수 간섭에 대한 게임 이론 관점에서의 해석 (Game Theoretic Analysis for RFID Reader Collision)

  • 이동열;이채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5호
    • /
    • pp.36-47
    • /
    • 2009
  • RFID의 리더와 태그간의 비가역성으로 인해 리더들이 밀집한 경우 리더간에 서로 간섭을 일으켜서 태그로부터 오는 신호의 SIR을 낮게 만들어 수신단에서 태그를 식별하지 못하는 RFID 주파수 간섭문제가 존재한다. 현재 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시간자원을 할당하는 TDM 기반의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리더들 간에 최적의 시간 할당을 구하는 것이 아닌 heuristic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리더들 간의 주파수 간섭문제를 게임의 참여자간에 발생되는 이해관계를 해결하는 게임이론을 주파수 간섭문제에 적용함으로써 TDM을 사용하는 RFID 리더간에 발생되는 시간 자원 할당 문제를 사전 협약이 존재하는 협조 게임의과 협약이 존재하지 않는 비협조 게임의 내쉬 협상 해와 내쉬 균형 관점에서 해석해 보았다. 게임이론을 적용한 결과는 밀집리더환경에서는 협조게임의 내쉬 협상 해가 비협조게임의 내쉬 균형보다 더 큰 이득을 만들어 내는 것을 보여주고, 밀집 리더 환경에서의 최적의 시간할당량을 보여준다.

RFID 리더간 간섭 모델에 기반 한 최적화 문제와 유전적 자원할당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ization Problem based on RFID Reader-to-reader Interference Model and Genetic-resource Allocation Technique)

  • 서현식;이채우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4호
    • /
    • pp.51-60
    • /
    • 2009
  • RFID 리더는 근접한 리더가 같은 주파수 혹은 인접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경우 서로 간섭을 일으키게 되고 이는 태그의 정보를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리더 충돌 문제를 야기한다. 현재 리더 충돌 방지 연구에서는 리더 충돌 시 주파수를 옮기거나 TDM(Time Division Multiplex)을 기반으로 한 기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리더 간 간섭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간 거리, 사용 주파수 및 시간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문제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TDM,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 방식을 동시에 고려한 RFID 리더간 간섭 모델을 통해 각 리더의 간섭량을 분석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최적화 문제를 정의한다. 또한 이것을 풀기위한 해법으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RFID 리더 자원할당 기법이 제안된다. 따라서 주어진 RFID 환경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리더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최적의 자원할당을 이룰 수 있다.

MF디지탈 수신기의 설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esign of Multifrequency Digital Receiver)

  • 오덕길;김진태;박항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7-33
    • /
    • 1984
  • 본 논문은 TDM 전자교환기의 국간신호 장비인 CCITT R2-MF 수신기(32CH용)의 디지탈 하드웨어 실현에 관한 실험적인 연구이다. MF 검출을 위한 DSP(digital signal Processing)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수신장치의 요구조건은 특정 주파수의 예민한 주파수 응답 특성과 그의 유무 판별이 필요하므로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에 의한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의 실현은 실 시간 처리를 위해 "bit-slice micro-processor"인 Am2900 series를 사용, micro-programming 기법을 도입하여 고속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전 시스템 제어를 위하여 Z-80A processor를 사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융통성을 최대한 높임으로서 TDM 전자교환기의 국간 신호장치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Sub-Sampling 방식의 다중 대역 수신기에서 타이밍 오프셋과 주파수 오프셋 보상 (Compensation of Timing Offset and Frequency Offset in the Multi-Band Receiver with Sub-Sampling Method)

  • 이희규;유흥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01-509
    • /
    • 2011
  • Software Defined Radio(SDR)에서는 ADC를 안테나 가까이에 위치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RF 대역의 신호를 ADC를 이용해 디지털화 하는 방법은 아직 어렵다. 그래서 RF 대역의 신호를 IF 대역으로 하향 변환 후 샘플링을 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런 방법의 하나로, Sub-Sampling 방식은 발진기 없이 RF 대역의 신호를 IF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이다. Sub-Sampling 방법을 이용한다면 2개 이상의 밴드를 하향 변환할 수 있지만, RF 필터의 성능으로 인해 하향 변환된 신호간에 간섭이 작용할 수 있어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time division multiplexing(TDM) 방식을 이용해 2개 이상의 신호를 시간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RF 필터의 좋지 않은 성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신호간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샘플앤홀더에서 두 신호에 대한 시간적 분리와 Sub-Sampling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하드웨어적인 큰 변화 없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약물검사 키트의 분석 민감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nalytical Sensitivity on TDM Test Kit in Clinical Chemistry)

  • 장상우;김남용;이희경;김현정;이윤정;진옥배;김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7-130
    • /
    • 2004
  • Analytical sensitivity on TDM test is the lowest concentration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background noise. The aim of study was to evaluate analytical sensitivity that is also referred to as the lower limit of detection(LLD) about difference between zero calibrator and isotonic saline sample. We tested for 10 days with zero calibrators and 0.85% saline samples while running trilevel control samples under control. Raw data divided by two groups calculat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rom two sample populations and analytical sensitivity by ${\bar{X}}+2SD$. In comparison with isotonic saline samples and zero calibra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enytoin, phenobarbital and vancomycin, etc. Especially analytical sensitivity on phenytoin is at the same level as the upper limit of analytical measurement range with $40{\mu}g/mL$. We think the cause of this is matrix interference. In conclusion, we were sure that standard protocol for analytical sensitivity as lower limit of analytical measurement range on TDM test must be measured with zero standard rather than an isotonic saline sample and type 1 reagent DW for reducing matrix effects within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materials in a mixture.

  • PDF

A MOM-based algorithm for moving force identification: Part II - Experiment and comparative studies

  • Yu, Ling;Chan, Tommy H.T.;Zhu, Jun-Hua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29권2호
    • /
    • pp.155-169
    • /
    • 2008
  • A MOM-based algorithm (MOMA) has been developed for moving force identification from dynamic responses of bridge in the companion paper. This paper further evaluates and investigates the properties of the developed MOMA by experiment in laboratory. A simply supported bridge model and a few vehicle models were designed and constructed in laboratory. A series of experiments have then been conducted for moving force identification. The bending moment and acceleration responses at several measurement stations of the bridge model are simultaneously measured when the model vehicle moves across the bridge deck at different speeds. In order to compare with the existing time domain method (TDM), the best method for moving force identification to date, a carefully comparative study scheme was planned and conducted, which includes considering the effect of a few main parameters, such as basis function terms, mode number involved in the identification calculation, measurement stations, executive CPU time, Nyquist fraction of digital filter, and two different solutions to the ill-posed system equation of moving force identific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MOMA has many good properties same as the TDM, but its CPU execution time is just less than one tenth of the TDM, which indicates an achievement in which the MOMA can be used directly for real-time analysis of moving force identification in field.

한국형 다단연소사이클 로켓엔진 개발 동향 (Development Trend of Korean Staged Combustion Cycle Rocket Engine)

  • 김채형;한영민;조남경;김승한;유병일;이광진;소윤석;우성필;임지혁;황창환;이정호;김진한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9-87
    • /
    • 2017
  • 한국형발사체(KSLV-II) 개발과 함께 지구정지궤도 발사를 위해 비추력이 높은 다단연소사이클 로켓 엔진 개발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다단연소사이클 로켓엔진은 한국형발사체 엔진과 달리 가스발생기를 사용하는 개방형 엔진이 아니며, 크게 예연소기, 터보펌프, 주연소기로 구성되어 있 폐쇄형 엔진이다. 기술검증시제 개발용 모델(TDM0)을 조립하여 나로우주센터의 7톤급 엔진 연소시험 설비에서 연소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기술검증시제 모델의 연소시험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현재 엔진 형상의 TDM1 모델 조립과 연소시험을 위한 준비과정이 진행 중이다.

  • PDF

SUCCESS 네트워크 구조에서의 WDM-PON을 위한 스케줄링 알고리즘 (Scheduling Algorithm for WDM-PON in SUCCESS Network Architecture)

  • 김현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7B호
    • /
    • pp.427-432
    • /
    • 2005
  • 광대역 멀티미디어의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입자 전송 망 분야의 변화가 요구 되고 있는 요즘, PON에 대한 연구가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크게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UCCESS(Stanford University aCCESS : next generation hybrid WDM/TDM optical access network architecture) 구조에서의 WDM-PON을 위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제적 구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공유되는 자원의 보다 효율적인 할당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SUCCESS의 구조와 특성에 적절한 효율적인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있으며, 전체 시스템에서의 평균 패킷 지연시간 및 처리량에 대한 성능을 평가, 분석한다.

FTTH 기반의 가입자망에 있어 패킷단위의 정보처리를 위한 전광학 헤더 인식 (All Optical Header Recognition for Information Processing of Packet by Packet in The Access Network based on FTTH)

  • 박기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1호
    • /
    • pp.69-76
    • /
    • 2010
  • FTTH(Fiber To The Home)가입자 망에 있어 패킷단위의 정보처리를 위한 3 비트, 4 비트의 전광학 헤더인식 과정을 설명하고 실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패킷의 목적지를 나타내는 3, 4 비트 헤더정보에 따른 하나의 신호가 각각 8개, 16개의 타임슬롯 상의 지정된 한 곳에 나열되었다. RN(remote node)에서의 self-routing을 위해 제안된 헤더인식 기술은 TDM 방식의 원리를 응용하여 스위치와 지연라인만을 사용함으로써 매우 간단한 회로를 구성하여 높은 신뢰도와 낮은 비용으로 가입자 망을 구축할 수 있다. 또 RN으로부터 각 가입자의 독립 전송선로를 확립함으로써 TDM-PON 방식의 최대 취약점이었던 광 신호의 감쇄와 보안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액체로켓엔진 액체산소 고압 배관부 기본설계 (Basic Design of High Pressure LOx Lines for a Liquid Rocket Engine)

  • 문일윤;유재한;문인상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7-110
    • /
    • 2009
  • 터보펌프방식 액체로켓엔진 개발의 일환으로 터보펌프 출구로부터 연소기와 가스발생기의 산화제 밸브에 이르는 액체산소 고압 배관부 기술개발모델(TDM)에 대한 기본설계를 수행하였다. 액체산소 고압 배관부는 직관, 곡관, 벨로우즈, 분기구, 오리피스, 플랜지 및 단열재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 환경, 무게, 제작성을 고려하여 소재를 선정하였다. 요구 유량과 차압 조건을 고려하여 유동해석을 통해 각 구성품의 크기와 위치를 선정하였다. 작동 온도와 최대 예상 작동 압력을 고려하여 각 구성품에 대한 기본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구조해석을 통해 안전율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