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DF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TDFA를 혼입한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Engineering Properties in Early-Age Concrete with TDFA)

  • 박재성;박상민;김혁중;권성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인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에 대하여 초기재령의 공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물-결합재비 0.5, FA 치환율 20%인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TDFA를 3~12%치환하여 경화 전 및 경화 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TDFA 혼입율 6% 이후의 배합에서는 작업성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공기량 확보가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감수제 및 공기연행제를 추가하여 작업성을 개선시켰다. TDFA 혼입율 6~12%까지는 콘크리트의 강도에 큰 영향은 없었으며, 탄산화저항성 및 염해저항성에서는 FA 20% 치환 배합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공기량이 부족한 TDFA 혼입율 6%배합에서는 동결융해 저항성이 크게 감소하였다. 공기량 및 작업성이 확보된다면 FA를 12%수준까지 TDFA로 치환해도 공학적인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타이어 고무 애쉬 치환에 따른 플라이애쉬 혼입 콘크리트의 내구성능 성능 평가 (Evaluation of Durability Performance of Fly Ash Blended Concrete due to Fly Ash Replacement with Tire Derived Fuel Ash)

  • 권성준;윤용식;박상민;김혁중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647-65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FA (Fly Ash)를 20%치환한 배합에 대하여 TDFA (Tire Derived Fuel Ash)를 3.0~12.0%까지 중량 치환하면서 내구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TDFA는 열병합발전소에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폐타이어를 혼소시킨 뒤 발생한 산업부산물로서 국내에서 콘크리트에 적용한 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이를 위해 물-결합재를 50%, FA를 20% 치환한 Control 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TDFA를 치환하면서 압축강도, 촉진 탄산화 시험, 촉진염해 시험, 공극구조평가를 수행하였다. 압축강도, 탄산화, 공극구조에서는 12%까지 TDFA를 FA와 치환해도 동등이상의 성능을 확보하였다. 특히 염해에 대해서는 TDFA의 치환률의 증가에 따라 뚜렷한 염화물 확산계수의 감소를 나타내어 최종적으로 75.3~70.9%까지 염화물 확산계수가 감소하였다.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 배합시, 워커빌리티의 확보가 가능하다면 TDFA를 혼입한 콘크리트는 내구성 개선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Tm^{3+}$가 첨가된 광섬유 증폭기의 이득회복 특성 (A Study of the Gain Recovery Properties at the Thulium-doped fiber Amplifier)

  • 이재명;황대석;김규식;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33-53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1.47$\mu\textrm{m}$ 대역에서 증폭 특성을 갖는 TDFA(Thulium-Doped Fiber Amplifier)의 WDM 적용시 short pulse 열을 인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이득 포화 및 복구의 시간적 한계를 이론적으로 해석하였다. 펄스열의 간격과 펌프 파워, 그리고 펄스 간격에 따른 이득 포화 및 복구 시간이 광 펄스의 증폭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Thulium이 도핑된 광섬유 증폭기의 과도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ransient Effect at the Thulium-doped Optical Fiber Amplifier)

  • 이재명;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49-35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1400nm 대역에서 이득을 갖는 TDFA의 증폭 특성과 과도응답 특성을 이론적으로 해석하였다. 수치모델은 밀도반전의 형성과정, 여기파워, 증폭기를 따라 변화하는 신호파워를 포함한다. 본 이론해석의 결과는 광섬유증폭기의 이득 포화와 복구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고, 펌핑율과 포화 율이 이득의 포화와 복구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 PDF

SYN Flood DoS Detection System Using Time Dependent Finite Automata

  • Noura AlDossary;Sarah AlQahtani;Reem Alzaher;Atta-ur-Rahm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6호
    • /
    • pp.147-154
    • /
    • 2023
  • Network intrusion refers to any unauthorized penetration or activity on a computer network. This upsets the confidentiality, integrity, and availability of the network system. One of the major threats to any system's availability is a Denial-of-Service (DoS) attack, which is intended to deny a legitimate user access to resources. Therefore, due to the complexity of DoS attacks,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abstract and describe these attacks in a way that will be effectively detected. The automaton theory is used in this paper to implement a SYN Flood detection system based on Time-Dependent Finite Automata (TDFA).

파장분할다중 방식 광전송망을 위한 초광대역 광증폭기 (Ultra-broadband Optical Amplifier for WDM Optical Transmission Networks)

  • 이영선;정재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289-294
    • /
    • 2008
  • 인터넷 이용자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의 각 노드에서 감당해야 할 트래픽 용량이 수십 테라급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 개의 광섬유를 통해 테라비트 이상의 전송을 위해서는 기존의 시분할다중 방식 외에 파장분할다중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전송 용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채널당 전송 속도 또는 채널의 수를 증가시켜야 한다. 채널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채널 간격을 줄이는 방안과 전송 대역폭을 넓히는 방안이 있다. 전송 대역폭을 넓히기 위해서는 초광대역 광증폭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L band에서 사용되는 에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 광섬유 라만 증폭기 및 S band 광증폭기들을 소개하고, 다양한 광신호 증폭기술에 대한 발전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초광대역 광증폭기에 대한 연구

  • 박남규;박종한;이한석;김나영
    • 정보와 통신
    • /
    • 제19권10호
    • /
    • pp.78-92
    • /
    • 2002
  • 고용량 파장다중분할(WDM) 전송 시스템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erbium-doped fiber amplifiers(EDFA)가 제공하는 이득 대역을 넘어서는 대역폭의 광증폭기의 개발이 촉진되고 있다. 에르븀 이외의 새로운 회토류 첨가물을 사용한 증폭기와 광섬유 내에서의 비선형 현상인 라만 산란에 의한 라만 증폭기에 집중적인 연구가 그 예라 하겠다. 최근 몇 년간의 집중적인 연구를 통하여 현재의 광대역 광 증폭기는 기존의 EDFA(C 벤드 EDFA)가 제공하는 광이득대역의 4∼5배 정도를 쉽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통신시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1500nm 근처 대역의 증폭에 대한 세가지의 증폭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우선, S+밴드(1450-1480nm)와 S밴드(1480-1530nm)의 증폭을 위한 thulium-doped fluoride fiber amplifiers(TDFFA), C 밴드(1530-1560nm)와 L 밴드(1570-1610nm)를 위한 EDFA, 그리고 마지막으로 100nm 이상의 이득대역과 S+에서 L밴드까지 증폭파장대역의 선택이 자유로운 라만 증폭기가 있다. 또한 위의 세 기술을 직렬 또는 병렬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증폭기가 있다. 이러한 증폭기 모두에 대해서 실험적인 보고는 많이 있었으나, 내부의 에너지 준위가 복잡하여 증폭 기제가 복잡하고, 실험 파라미터를 측정하기가 어려워서 광대역증폭기의 성능을 예측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게다가 이러한 상황에서 광대역증폭기에 대한 해석적이거나 수치해석적인 심도깊은 연구가 부족하여 앞으로 증폭기를 다양하게 응용하기 위한 성능의 예측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는 광대역 증폭기 기반의 전송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적용하는데 제한을 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증폭기(C/L밴드 EDFA, 라만 증폭기, TDFA)에 대한 실험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해석적, 수치해석적인 분석 방법까지 그 응용의 예와 함께 소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