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BARS value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34초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른 무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s and Sprouting Period)

  • 한진희;문혜경;정신교;강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67-17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무순을 발아시기별로 70% 에탄올, 80% 메탄올, 75% 아세톤, 물 등 용매종류에 따라 추출한 후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 공여능, TBARS, 산화안정도 측정, 과산화물가 등 항산화특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 4일째에서 에탄올추출물이 296.51 mg/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메탄올추출물이 219.39 mg/g으로 많았다. 발아 8일째에서는 에탄올추출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메탄올추출물과 아세톤추출물은 각각 197.72 mg/g, 200.45 mg/g으로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 발아 4일째에 물추출물이 86.67%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아세톤추출물에서 77.23%로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발아 8일째 라디칼 소거능은 아세톤추출물이 89.18%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추출물이 70.14%로 가장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또 발아 12일째의 라디칼 소거능은 4일째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TBARS를 통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측정에서 발아 4일째 무순추출물의 TBARS값은 70% 에탄올추출물이 71.4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발아 8일째가 되면서 TBARS값이 상승하여 메탄올추출물이 78.99%로 높은 값을 보였고, 아세톤 추출물의 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발아 12일이 되면서 TBARS값은 상대적으로 낮아졌으며, 발아 4일째와 유사한 경향의 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에 의한 산화안정도 측정에서 발아 4일째의 산화유도기간은 메탄올추출물이 6.07시간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항산화지표는 1.16의 수준을 보였다. 발아 8일째의 산화유도기간은 발아 4일째 산화유도기간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메탄올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아세톤추출물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유의차가 없었으나 물추출물의 산화유도기간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발아 12일이 되면서 전반적인 산화유도기간이 5.25~5.91시간으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메탄올추출물을 제외한 나머지 추출물은 발아 4일째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항산화지표 또한 1.00~1.13의 수준을 나타냈다. 과산화물가 측정에서 무순추출물의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아 4일째 저장기간 0일에서 각 추출물들이 3.02~4.21 meq/kg oil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 60일에서 물추출물이 43.83 meq/kg oil과 메탄올추출물에서 45.42 meq/kg oil을 나타내어 두 추출물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 황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발아 8일째와 발아 12일째의 무순추출물에서도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과산화물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무순추출물은 총 페놀 함량이 높고 항산화활성도 높게 나타나 천연항산화제와 같은 식품첨가물 및 식품보존제 등 기능성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오골계 증탕액의 저장 및 관능 특성 (Quality Stability of High Pressure Boiled Extract of Ogol Chicken during Storage Periods)

  • 채현석;안종남;유영모;박범영;조수현;김진형;이종문;최양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9-286
    • /
    • 2002
  • 본 연구는 오골계, 오골계교잡종(3원교잡)육의 한약제 첨가에 따른 저장시험에서는 한약증탕액구와 오골계증탕액구, 오골계교잡종증탕액구 0.1% 효소 처리한 오골계교잡종증탕 액구를 37$^{\circ}C$에서 56일간 저장하면서 TBARS, VBN, pH, 미생물수, 관능평가 등을 조사하여 적정 저장기간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증탕액의 저장기간 설정에서는 저장기간 중 성분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레토르트 포장지에 밀봉한 한약증탕액, 오골계증탕액, 오골계교잡종증탕액, 오골재래계를 flavourzyme으로 가수분해하여 제조한 증탕액을 37$^{\circ}C$에서 저장하면서TBhRS, VBN, pH, 미생물수, 관능평가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지방산패도는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42일까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56일째에 효소처리한 오골계 처리구에서 TBARS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단백질 변성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저장 56일째에 한약증탕액에 비해오골계, 오골계교잡종 및 효소처리 오골계교잡종증탕액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관능평가에 있어서는 저장 42일부터 전체기호도에 있어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증탕액의 저장은 37$^{\circ}C$에서 6주가 적정기간으로 사료된다.

약용 식물을 첨가한 쇠고기 분쇄육의 냉장 저장 중 품질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Ground Beef with Additions of Medicinal Plants(Cinnamon, Licorice and Bokbunja) during Cold Storage)

  • 정인철;이경수;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4-230
    • /
    • 2009
  • 본 연구는 계피, 감초 및 복분자 추출물의 첨가가 냉장 저장 중 쇠고기 분쇄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물 10% 첨가한 분쇄육(대조구), 계피 추출물 10% 첨가한T-1구, 감초 추출물 10% 첨가한 T-2구 그리고 복분자 추출물 10% 첨가한 T-3구 등 네 종류의 쇠고기 분쇄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냉장 저장 중 표면 색도, 보수력, 가열 감량, 두께, 직경, pH, VBN 함량 및 TBARS 값을 실험하였다. 냉장 저장 중 $L^*$$a^*$값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b^*$값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약용 식물 추출물은 색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수력은 냉장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약용 식물 추출물은 보수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열 감량은 T-1구를 제외한 나머지 실험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두께 및 직경은 냉장 저장 중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약용 식물 추출물 첨가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대조구의 pH는 6일까지 낮아지다가 9일째 높아졌으며, 약용 식물 추출물 첨가구는 저장 기간의 경과와 함께 낮아졌다. VBN 함량은 냉장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대조구가 약용 식물 첨가구보다 높았다. TBARS 값은 냉장 저장 중 약용 식물 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다.

  • PDF

마늘의 첨가가 저염 멸치젓의 숙성 중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on Lipids of Low Salted Anchovy during Fermentation)

  • 권오천;신정혜;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20-426
    • /
    • 2005
  • 마늘이 저염 멸치젓 숙성 중 지질 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생멸치 중량에 식염을 20% 첨가한 멸치젓을 대조군으로 하고 실험군은 식염을 각각 10% 첨가한 후 마늘 분쇄 물과 즙의 첨가량을 2, 5, 8, 10%로 달리하여 제조한 후 숙성 30, 60, 90, 110일에 시료를 취하여 분석하였다. pH는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점차 상승하여 숙성 110일에는 6.2 -6.7로 중성화되었다. 과산화물가는 숙성기간동안 일정하게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식염을 10% 첨가한 실험군들은 숙성 60일경에 최고로 증가한 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모든 실험군에서 TBARS는 숙성 90일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마늘 분쇄 물과 즙을 10%씩 첨가한 경우 숙성 90일의 TBARS 함량은 각각 13.0과 14.4MA (㎎/㎏)으로 대조군의 약 77%, 마늘 무첨가 식염 10%군에 비해서는 약 58%에 불과하였다. 멸치젓 지방산의 조성비는 16:0, 18:1, 16:1, 20:5, 20:6 및 14:0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지방산이 총 지방산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지방산 조성비는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고 숙성 110일에 다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삼출건비탕가미방(蔘出健脾湯加味方)이 흰쥐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mchoolgunbitanggamibang of the growth of rats)

  • 백정한;구진숙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9-67
    • /
    • 200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antioxidation related to aging of Cheongeumyeonsudan which is written on Dongui-bogam experimentally. Method : 14 weeks aged SD albino rats were separated into uncontrolled group, controlled group and CGY group. As controlled and CGY groups were induced aging by subcutaneous injection of D-galactose, at the same time we administered the extract of Cheongeumyeonsudan to CGY group for 6 weeks. After then we drew blood from each group, and took measurements; the activity of SOD, GSH-px, catalase in erythrocytes, TBARS value, concentration of total lipid, tryglycen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in blood plasma. Results : The activities of SOD, GSH-px in erythrocy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GY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activity of catalase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but it was nor remarkable. The concentration of total lipid, the values of TBARS and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GY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the concentration of plasma HDL-cholesterol was not remarkable. The concentration of tryglycende in plasma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d. Conclusions : it is suggested that Cheongeumyeonsudan decreased the activities of free radical, the concentration of lipid in plasma and generate enzyme which form lipid peroxide.

  • PDF

진공포장 한우육의 냉수 침지 숙성이 지방산화, 육색소 산화 및 포장감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mersion Aging in Chilled Water on Lipid Oxidation, Myoglobin Oxidation and Purge Loss of Vacuum-Packed Hanwoo Meat)

  • 정진연;허선진;이상조;양한술;문성실;이정일;김영환;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2-227
    • /
    • 2002
  • 진공포장한 한우육 우둔부위를 1$^{\circ}C$, 4$^{\circ}C$의 일반공기순환 냉장고와 1$^{\circ}C$, 4$^{\circ}C$의 냉수에 침지하여 3, 7, 10, 14일 동안 저장하였을 때, 처리구간의 물리적 육색 (CIE L*, a*, b*)은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육색소 산화를 나타내는 MetMb의 함량은 처리구간에 따라 변화를 보여 대조구 (4$^{\circ}C$-공기순화)가 가장 빠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저장 14일째 T2 (4$^{\circ}C$-냉수침지)구가 유의적으로 (p<0.05) 낮은 MetMb함량을 보였다. 한편 이런 결과는 지방산화와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대조구 (4$^{\circ}C$-공기순환)의 TBARS 수치가 저장기간 동안 가장 빠른 증가를 나타낸 반면, T3(1$^{\circ}C$-냉수침지) 구의 TBARS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냉수침지 방법이 지방산화와 육색소 산화를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장감량 또는 공기순환 처리구(control, T1)가 냉수침지 처리구(T2, T3)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총 육색소 함량은 전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간에 유의적(p>0.05)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우육을 진공포장하여 1$^{\circ}C$ 냉수에 침지시켜 숙성시키는 방법이 지방산화를 억제시키고 육색소의 안전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포장감량도 줄일 수 있는 숙성법이라고 사료된다.

냉장저장 중 돼지 저지방 부위 근육의 육색소, POV, TBARS, 유리지방산 함량 및 지방산 조성 변화 (Changes in Haem Pigments, Peroxide Value, TBARS, Free Fatty Ac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s from Low Fat Pork Cuts during Chilled Storage)

  • 성필남;조수현;김진형;강근호;박범영;이종문;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27-434
    • /
    • 2010
  • 돼지고기 저지방 부위를 구성하고 있는 근육들 중 지방함량이 높은 5개 근육들의 냉장유통 중 품질변화를 예측하고자 냉장상태에서 14일 동안 저장하면서 근육별 이화학적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육색소(oxy-myoglobin, metmyoglobin, total-myoglobin)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p>0.05). 냉장저장 중 구이용으로 가능한 근육들의 저장성에서 POV 값은 모든 근육들에서 냉장저장 14일간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지만(p>0.05), TBARS 값은 모든 근육들은 냉장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유리지방산은 longissimus dorsi 근육이 냉장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냉장저장 14일까지는 모든 근육들에서 포화지방산, 불포화지방산, 단일불포화지방산, 다중불포화지방산에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p>0.05).

대두 함유 방사선 조사식이를 섭취한 Mouse의 산화적 스트레스 (Oxidative Stress of Mouse Fed with ${\gamma}$-Irradiated Soybean Diet)

  • 박선영;서대영;서광선;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2호
    • /
    • pp.138-146
    • /
    • 2007
  • Food irradiation has been steadily increased in many countries concomitantly with increasing international trades. Harmful contaminants naturally occurred from foods which contain high levels of unsaturated fatty acids that are easily oxidized can affect the human anti-oxidation system through the generation of free radicals. Moreover, previous studies proved that ${\gamma}$-irradiation may cause production of free radicals in food.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amma}$-irradiated soybeans in relation to oxidative stress in mice. Oxidative index of mice was evaluated by TBARS, DNA fragmentation in various organs such as blood lymphocytes, liver and kidney. Forty male ICR mice were equally divided into 4 groups and fed control diet or ${\gamma}$-irradiated diet containing 50% soybeans (5, 10, and 20 kGy, respectively) for 8 weeks. Peroxide values of the irradiated diet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non-irradiated one and increased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gain as well as in TBARS value in plasma and kidney of all groups. Liver TBARS value of the group fed with irradiated diet at 20 kGy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 0.05). DNA oxidative damage as measured by alkaline comet assay showed that % tail DNA in the blood lymphocytes of 5 kGy and 10 kGy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he control group (p < 0.05). Also, tail moments of 5 kGy and 10 kGy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Ultrastructural examination shows myeline figures and swollen mitochondria in parietal and intestinal epithelial cells of the group fed with irradiated diet. Therefore, considering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consumption of soybeans ${\gamma}$-irradiated with over 20 kGy or repeatedly may decrease the body's antioxidant mechanism.

Pumpkin Seed Oil as a Partial Animal Fat Replacer in Bologna-type Sausages

  • Uzlasir, Turkan;Aktas, Nesimi;Gercekaslan, Kamil Emr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51-562
    • /
    • 2020
  • Beef fat was replaced with cold press pumpkin seed oil (PSO; 0%, 5%, 15%, and 20%) in the production of bologna-type sausages. A value of pH, water-holding capacity (WHC), jelly-fat separation, emulsion stability and viscosity values were determined in meat batte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lor,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TPA, shear test, penetration test) were determined in end-product at 1, 7, 14, 21, and 28 days of storage at 4℃. The pH values were varied between 6.06 and 6.08. With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PSO in meat batter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WHC, jelly-fat separation and viscosity values (p<0.05) while a significant decrease in emulsion stability (p<0.05). TBARS values of sausag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and this trend continued during storage. Increasing of PSO level were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L* and b* values while a decrease in a* value (p<0.05). Hard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valu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reas cohesiveness and resilience values increased (p<0.05). Maximum shear force and work of shea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level of PSO increased (p<0.05). Hardness, work of penetration and the resistance during the withdrawal of the probe values (penetration test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PSO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SO has potential to be use as a replacement of animal-based fats in the production of bologna-type sausages.

와인 숙성이 우육포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Ripened by Wine)

  • 이경수;문윤희;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538-1542
    • /
    • 2008
  • 본 연구는 와인숙성이 우육포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제조과정에 물 50 ml를 첨가한 육포(T0), 물 25 ml와 와인 25 ml를 첨가한 육포 그리고 와인 50 ml를 첨가 한 육포 등 세 종류의 육포를 제조하였다.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육포의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계적 물성으로 측정한 경도, 탄성, 응집성, 뭉침성 및 씹힘성은 와인숙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분활성도, pH 및 TBARS값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성이 없었지만 VBN함량과 총 균수는 T2가 가장 낮았다(p<0.05). 기호도 조사에서 풍미는 T2가 T0보다 유의하게 우수하였으나 (p<0.05) 맛, 색깔,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