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P

검색결과 24,238건 처리시간 0.055초

장비 별 최적화된 영상 프로토콜을 이용한 환자에서의 3.0T 심장 자기공명영상의 임상경험: 1.5 T 자기공명영상과의 비교 (Clinical Experience with 3.0 T MR for Cardiac Imaging in Patients: Comparison to 1.5 T using Individually Optimized Imaging Protocols)

  • 고정민;정정임;이배영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2호
    • /
    • pp.83-90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영상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시행된 3.0 T 심장자기공명영상을 1.5 T 와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과 방법: 10개월간 30명의 환자에서 얻은 1.5 T 자기공명영상과 20명의 3.0 T 영상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각각의 영상에 대하여 신호 대 잡음비 (signal-to-noise ratio: SNR), 대조도 대 잡음비 (contrast-to-noise ratio: CNR), 영상 화질 (artifact의 정도에 따라서 5단계로 분류)을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T1심장 형태 영상 및 심근 생존능 평가 영상에서는 3.0 T 자기공명영상에서 영상화질 (T1: $3.8{\pm}0.9$ vs. $3.9{\pm}0.7$, p=0.438; T2-SPAIR: $3.8{\pm}0.9$ vs. $3.9{\pm}0.5$, p=0.744; 지연기 조영 증강 영상: $4.5{\pm}0.8$ vs. $4.7{\pm}0.6$, p=0.254)의 유의한 저하 없이 SNR과 CNR의 향상을 보였다 (T1: SNR 29%, p < 0.001, CNR 37%, p < 0.001; T2-SPAIR: SNR 13%, p=0.068, CNR 18%, p=0.059; 지연기 조영 증강 영상: SNR 45%, p=0.017, CNR 37%, p=0.135). 심장Cine 영상에서 3.0 T 심장영상이 1.5 T 영상과 비교하여 영상화질($3.6{\pm}0.7$ vs. $4.2{\pm}0.6$, p < 0.001)이 다소 떨어졌으나 SNR과 CNR의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SNR 143% 상승, CNR 108% 상승, p < 0.001). 심근관류영상에서는 SNR (11% 감소, p=0.172)과 CNR (7% 감소, p=0.638) 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정도로 감소되었으나 영상화질($4.6{\pm}0.5$ vs. $4.0{\pm}0.8$, p=0.006)은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실제 임상영역에서 사용되는 영상 프로토콜로 시행된 3.0 T 심장자기공명영상은 1.5T 영상과 비교하여 충분한 영상의 질을 제공하였다.

Teosinte (Zea mays ssp. mexicana) 신품종 극동 6호에 관한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Nutritive Values of New Teosinte, 'Geukdong 6')

  • 최영;김은중;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0-158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되어 국내에 보급하고 있는 Teosinte 품종인 극동 6호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Teosinte 신품종 재배 및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옥수수(T1)와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T2)을 대조구로 하고 Teosinte 신품종인 극동 6호(T3)를 처리구로 한, 3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초장은 T2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엽폭, 엽수, 경의 굵기, 경경도, 건물수량은 T1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엽장, 분얼수, 생초수량은 T3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T3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조지방은 T1구가 가장 높았으며(p<0.05), ADF와 NDF에서는 T2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Brix degree를 비롯하여 Fructose, Glucose, Dextran, Isomerose, Inverted sugar와 같은 당 종류별 함량에 있어서는 T2 > T3 > T1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총 무기물 함량은 T3 > T2 > T1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사일리지에 있어서 pH는 T1구가 3.82로 가장 높았으며 lactate 함량은 T3 > T2 > T1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청예작물에 대한 기호성은 한우에서는 T1 > T3 > T2구 순으로 나타났고, 꽃사슴에서는 T3 > T1 > T2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재래염소에서는 T1 > T2 > T3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고 사일리지를 제조하여 급여시 기호성을 보게 되면 한우, 꽃사슴, 재래염소에서 T1 > T3 > T2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Teosinte 신품종인 극동 6호는 대조 작물에 비하여 경이 부드럽고, 엽수가 많아 단백질 함량이 높았지만, 기호성은 사일리지용 옥수수 보다는 떨어지고,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보다는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하여 건물수량은 적지만 생초 수량이 높아 청예용으로 유리한 작물로 생각 된다. 그러나 Teosinte 신품종인 극동 6호에 대한 파종시기, 재식밀도, 비료량 및 수확시기 등에 체계적인 재배 방법에 대한 규명이 이루어진 후 Teosinte 신품종인 극동 6호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Changes of Vacuum Packed Pork Quality during Storage after Aging with Korean Traditional Sauces

  • Moon, Sung-Sil;Jin, Sang-Keun;Kim, Il-Suk;Park, Ki-Hoon;Hah, Kyung-He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5-321
    • /
    • 2006
  • Sixteen somimembranosus muscles were seamed out from sixteen left carcasses. They were cut into $7{\times}10{\times}2cm$ pieces and mixed randomly. Samples were assigned to four treatments: (T1) soy-based sauce; (T2) Kimchi-based sauce; (T3) pickled shrimp-based sauce; and (T4) onion-based sauce. Each treatment was aged in plastic box at $1^{\circ}C$ for 10 days. These samples were vacuum-packaged after treatment with sauces and held in a chill at $1^{\circ}C$ for 28 days. The pH of aged port in general,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storage in all treatments. Its falling rate was the slowest in T4 of all treatments, while it was faster in T2 and T3 than in T4. The salinity of aged pork was decreased (p<0.05) for T2 with increased storage days, but increased (p<0.05) for T1. The salinity showed T2 to b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1 and T4 on 1 day, but to be lower(p<0.05) than T1 on 28 day. The saccharinity of T3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on 1 day than those of T1 and T4, but decreased (p<0.05) on 14 and 28 day. While saccharinity of T1 was significantly the lowest(p<0.05) of all treatments on 1 day and increased (p<0.05) with increased storage days. For T1 and T2, the WHC (water holding capacity) results showed higher (p<0.05) on 14 day than on 1 and 28 day. On 28 day, the WHC result showed T4 to be the highest(p<0.05) of all treatments, but T2 to be the lowest (p<0.05). On 28 day, the shear force results showed a big difference (p<0.05) among treatments, being in order of T4>T3>T2>T1. Panelists rated T1 as having higher(p<0.05) aroma,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an other treatments.

통보리 분쇄 사료 급여가 비육후기 한우 채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ole Grain Barley Cracked Feed on the Eating Behavior of Hanwoo Steers During Finish Fattening Period)

  • 이상무;최유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2호
    • /
    • pp.149-156
    • /
    • 2010
  • 통보리 분쇄 사료를 급여 수준별로 5개 처리구(C:무처리구, T1: 10% 첨가, T2: 20%, T3: 30%, T4: 40% 첨가)를 두고, 비육후기 5개월 동안(각 처리 구별 6두, 총 30두 공시) 처리구별로 각각 급여한 후 48시간 육안 관찰 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 채식량(농후사료+조사료)은 T4 (9.96kg) > T1 (9.42kg) > C (9.22kg) > T3 (8.91kg) > T2 (8.51k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채식시간은 T4 > T3 > C > T1 > T2구 순이였으며 (P<0.01), 반추시간은 T4 > T1 > C > T3 > T2구 순으로 나타났다 (P<0.05). 그러나 휴식시간은 반추시간과 반대로 T2 > T1 > C > T3 > T4 순으로 나타났다(P<0.01). 채식시간과 반추시간을 합한 저작 시간은 T4 (392.5 min.) > T3 (331.4 min.) > C (329.4 min) > T1 (327.2 min) > T2 (276.3 min.) 순으로 나타났다(P<0.01). 식괴수, 총 저작수, 식괴당 저작수, 사료가치지수는 각각 190.9개, 9,129.4회, 47.8회, 39.4 (분/kg)으로 T4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식괴당 반추시간은 C구가 가장 높고 T3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P<0.05), 분당 식괴수는 T3 가장 높고 C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채식율과 저작효율은 T2구에서 가장 높았지만(P<0.01, 0.05), 반추효율에서는 T1구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군 행동에서는 휴식(78.5%) > 반추(11.4%) > 채식(10.1%)순으로, 군 행동 중 서서 휴식은 T3 > C > T2 >T1 >T4 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WEYL'S TYPE THEOREMS FOR ALGEBRAICALLY (p, k)-QUASIHYPONORMAL OPERATORS

  • Rashid, Mohammad Hussein Mohammad;Noorani, Mohd Salmi Mohd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77-95
    • /
    • 2012
  • For a bounded linear operator T we prove the following assertions: (a) If T is algebraically (p, k)-quasihyponormal, then T is a-isoloid, polaroid, reguloid and a-polaroid. (b) If $T^*$ is algebraically (p, k)-quasihyponormal, then a-Weyl's theorem holds for f(T) for every $f{\in}Hol({\sigma}T))$, where $Hol({\sigma}(T))$ is the space of all functions that analytic in an open neighborhoods of ${\sigma}(T)$ of T. (c) If $T^*$ is algebraically (p, k)-quasihyponormal, then generalized a-Weyl's theorem holds for f(T) for every $f{\in}Hol({\sigma}T))$. (d) If T is a (p, k)-quasihyponormal operator, then the spectral mapping theorem holds for semi-B-essential approximate point spectrum $\sigma_{SBF_+^-}(T)$, and for left Drazin spectrum ${\sigma}_{lD}(T)$ for every $f{\in}Hol({\sigma}T))$.

경운횟수와 파종기 이동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잡초발생 및 가축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owing Frequency and Sowing Dat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eed Value, Weed Yield and Palatability of Silage Corn)

  • 이상무;김병태;황주환;전병태;문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9-218
    • /
    • 2007
  • 본 실험은 파종시기 및 경운횟수가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영양수량 및 사일리지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파종시기 및 경운횟수를 통한 5처리(C : 파종 5월 5일, 경운회수 1회, 인력제초 1회, T1 ; 파종 5월 12일, 경운회수 2회, T2 : 파종 5월 19일, 경운회수 3회, T3 : 파종 5월 21일, 경운회수 4회, T4 : 파종 6월 2일 경운회수 5회) 3반복으로 2006년 5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상주대학교 부속 실습농장내 사료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과 착수고는 C > T1 > T2 > T3 > T4구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초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착수고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엽장은 T2가 96.0cm로 가장 길게 나타났지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엽폭은 C와 T3구가 (11.2cm), 고사엽은 C 및 T1구가 각각 4.6엽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의 굵기에 있어서는 T3구가 31mm로 가장 높았던 반면 T2구가 25mm로 가장 가늘게 나타났다(p<0.05). 암이삭 둘레는 C(17.1 cm) > T1(15.6 cm) > T4(15.4 cm) > T3(15.3 cm) > T2(15.2cm)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암이삭 충실도는 C구가 8.8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T4구가 6.0으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0.05). 경의 경도와 알곡 경도는 파종시기가 빠른 순 인 C > T1 > T2 > T3 > T4순으로 나타났다(p<0.05). 그리고 경의 당도는 T1구가 6.1%로 가장 높고, T2구가 3.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 0.05). 잡초 발생량은 C구가 500 kg/ha으로 가장 적게 T1구가 44,100 kg/ha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잡초의 피복도는 T1 > T2 > T3 > T4 > C구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생초수량은 C구가 73,550 kg/ha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T4구가 65,500 kg/ha로서 가장 낮은 수확량을 보였다(p<0.05).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C(26,978 kg/ha) > T1(26,130 kg/ha) > T2(20,255 kg/ha) > T3(20,255 kg/ha) > T4(17,508 kg/ha)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T1 > T4 > T2 > T3 > C구순으로 높았으며(p<0.05), 조지방은 C > T1 > T2 > T3 > T4구순으로 높았다. 상대기호성은 Holstein, 염소 및 꽃사슴에서는 C구가 가장 높은 기호성을 보였으나 한우에서는 T1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운동수행여부, 건강에 대한 생각에 따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활력정도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Self Efficacy, Self-esteem and Vitality according to the Physical Exercise, Thinking about Health of Nursing Students)

  • 정계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17-125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운동수행여부, 건강에 대한 생각에 따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활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디자인은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였으며 카이제곱-test, t-test가 사용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로 K시에서 수집되었다.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23.7살이었다. 대상자 중 187명(85.0%)은 여자, 99명(45.0%)은 운동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138명(62.7%)은 자신들이 건강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변수들에 대한 점수는; 건강자기효능감 2.93±0.35점; 신체자기효능감 3.16±0.37점; 자아존중감 2.94±0.43; 활력 3.78±0.52이다.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신체자기효능감(t=3.68, p=<.001); 운동적 기능(t=5.39, p<.001); 정신적 기능(t=2.10, p=.037), 영양적 기능(t=2.50, p=.013); 건강관리 효능감(t=2.37, p=.019) 그리고 활력(t=12.63,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경우 건강자기효능감(t=3.73, p=<.001), 운동적 기능(t=3.29, p=.001); 정신적 기능(t=4.01, p<.001); 영양적 기능(t=2.62, p=.009), 건강관리 효능(t=2.51, p=.013); 건강자기효능감(t=2.59, p=.010); 자아존중감(t=3.91, p=<.001) 그리고 활력(t=2.92,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운동 수행이 건강자기효능감과 활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으며,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신체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활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노숙자에 대한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Family Support, Self-esteem and Life-satisfaction in Homeless Persons)

  • 김귀분;원정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5권1호
    • /
    • pp.50-6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family support, self-esteem and life-satisfaction in homeless pers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them attain a better quality of life. From Jul. 1 to Oct. 10, 2000, 235 homeless persons, registered at the noninstitutionalized homeless and institutionalized homeless in Seoul, were accep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Family support scale of Park, Jee Won, life-satisfaction scale of Wood, Wylie & Sheafer and Rosenberg's Self-esteem Scal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were tested by Cronbach's Alph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using unpaire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mographic between family support groups : age(t=2.74, P=.001), education background(f=5.48, P=.001), connection of family (t=2.29, P=.05), present illness(t=2.04, P=.05).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mographic between self-esteem groups : education background(t=3.24, P=.05), connect of family (t=3.38, P=.001), types of disease(t=2.12, P=.05), job related to income (t=2.12, P=.05).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mographic between life-satisfaction groups : education background(t=3.39, P=.05), connect of family(t=2.10, P=.01), smoking(t=2.38, P=.01), disease(t=1.92, P=.05), emotion states(t= 6.12, P=.001). 4.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for the homeles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267, p=.001). 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life-satisfaction for the homeles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299, p=.001). 6.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ife-satisfaction and self-esteem for the homeles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179, p=.01).

  • PDF

유통초기단계의 건조- 숙성햄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Dry-Cured Ham at Initial Stage of Distribution)

  • 진상근;김일석;양미라;허인철;김대승;강석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77-385
    • /
    • 2011
  •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 중인 국내산 건조-숙성햄 중 숙성기간이 24개월된 다리육(T1)과 4개월 된 목살(T2)의 성분 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 지방산, 유리 아미노산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수분 함량은 T1 (45.24%)이 T2 (32.50%)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지방 함량은 T2 (26.42%)가 T1(16.46%)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T1이 69.47 mg/100g, T2가 54.80 mg/100g으로 T1이 T2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 처리구간 염농도, 염용성 단백질, 보수력 및 pH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단력은 T1이 T2 보다 낮았으며(p<0.05), 지방산패도인 TBARS는 T2가 3.25 mgMA/kg로 T1의 0.39 mgMA/kg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VBN은 T1이 134.65 mg/100 g로 T2의 47.25 mg/100 g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미생물의 경우, 모든 시험구에서 대장균 군 및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T1 및 T2의 유산균수은 각각 4.31, 3.57 log CFU/g로 T1이 T2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적색도는 T2가 T1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황색도는 6.41~7.24 수준으로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의 경우, Palmitoleic acid 및 stearic acid의 함량이 T2가 T1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단가 불포화지방산은 T1이 T2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T1이 T2 보다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T1이 T2 보다 asparagine, leucine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 숙성 기간이 상대적으로 많은 T1의 연도, 단백질 변성도, 유산균수 및 유리아미노산 총량이 T2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지방산화도는 낮게 나타나 장기간의 숙성 제품이 오히려 단기간 숙성 제품보다 낮았다.

치과위생사의 유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ist's humor)

  • 윤영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an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hum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6th, 2002 to January 13th, 2003, centering on Busan Dental Hospital & public health service. A total of 193 questionnaires was distributed for the survey. The result were as following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or values concerning age(F=1l.44, p=0.000), marriage(t= -3.556, p=0.000), education(F=14.83, p=0.000), clinical carrier(F=9.99, p=0.000), status(F=5.83, p=0.001), working place(F=7.39, p=0.000), and living parents(F=3.65, p=0.014). Humor values were higher for over-forties, married dental hygienists, public health service worker and no living parents. 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the dental hygienist's humor value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or values concerning sources of the dental hygienist's humor. Data related "book/mass media"(t=-6.32, p=0.000), "conversation" (t=-12.05, p=0.000) and "daily life"(t=-10.33, p=0.000) are examples of these sources.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or values concerning the dental hygienist's humor degree related frequency of used humor.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or values concerning the type of humor used, "word humor"(t=-7.00, p=0.000), "imitation"(t=2.68, p=0.008), "adequate situation" (t=-8.03, p=0.000), "technical terms"(t=6.65, p=0.000) pertain to this. 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mor values concerning the time of using humor expression, "loose situation"(t=-3.75, p=0.000), "tired situation"(t=4.01, p=0.000), "tense situation"(t=5.37, p=0.000), "adequate situation"(t=-16.03, p=0.000) pertain to th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