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CAD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29초

Comparison of surface topography and roughness in different yttrium oxide compositions of dental zirconia after grinding and polishing

  • Shin, Hyun-Sub;Lee, Joon-Seok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4호
    • /
    • pp.258-267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urface roughness, phase transformation, and surface topography of dental zirconia with three different yttrium oxide compositions under same grinding and polishing condition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zirconia disks (IPS e.max ZirCAD LT, MT, MT multi, Ivoclar Vivadent AG, Schaan, Liechtenstein) were selected for experimental materials. Sixty-nine bar-shaped specimens were fabricated as 12.0 × 6.0 × 4.0 mm using a milling machine and glazing was conducted on 12.0 × 6.0 mm surface by same operator. With a custom polishing device, 12.0 × 6.0 mm surfaces were polished under same condition. Surface roughness (Ra[㎛]) was measured before grinding (C), after grinding (G), and at every 3 steps of polishing (P1, P2, P3). X-ray diffraction and FE-SEM observation was conducted before grinding, after grinding, and after fine polishing (P3). Statistical analysis of surface roughness was performed using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U test was used as a post hoc test (α = .05).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urface roughness between LT, MT, and MM groups. In LT, MT, and MM groups, P3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urface roughness than C groups. X-ray diffraction showed grinding and polishing didn't lead to phase transformation on zirconia surface. In FE-SEM images, growths in grain size of zirconia were observed as yttrium oxide composition increases. CONCLUSION. Polished zirconia surface showed clinically acceptable surface roughness, but difference in yttrium oxide composi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rface roughness. Therefore, in clinical situation, zirconia polishing burs could be used regardless of yttrium oxide composition.

Extraoral scanner와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제작된 zirconia crown의 2차원 변연 및 내면 적합도 비교: in vitro (Comparison of 2-dimensional marginal and internal fitness for the monolithic zirconia prosthesis using intraoral scanner and extraoral scanner: in vitro)

  • 이태희;이하빈;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7-193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wo-dimensional fitness of the monolithic zirconia prosthesis by using different type of scanner. Methods: No. 26 abutment tooth of FDI system was selected for the study. Using the extraoral scanner and intraoral scanner, the abutment tooth was scanned 10 times and the scanned files were saved as STL files. CAD/CAM system was used to produce the monolithic zirconia prosthesis. marginal and internal gap of the monolithic zirconia prosthesis were measured by digital microscope(x160) and applied silicone replica technique was applied. t-test, a statistical software, was used to perform data analysis. Results: Marginal gap $mean{\pm}SD$ of the monolithic zirconia prosthesis was $33{\pm}7.5{\mu}m$ with extra oral scanner and $34.7{\pm}11.1{\mu}m$ with intraoral scanner. axial gap mean was $40.5{\pm}3.5{\mu}m$ with extra oral scanner and $44.6{\pm}11.6{\mu}m$ with intraoral scanner. occlusal gap mean was $110.1{\pm}25.4{\mu}m$ with extra oral scanner and $64{\pm}9.7{\mu}m$ with intraoral scanner. Conclusion: In this study, fabricating zirconia prosthesis with different type of scanner was clinically applicable.

Analysis of surface characteristics of (Y, Nb)-TZP after finishing and polishing

  • Seong-keun, Yoo;Ye-Hyeon, Jo;In-Sung Luke, Yeo;Hyung-In, Yoon;Jae-Hyun, Lee;Jin-Soo, Ahn;Jung-Suk, H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6호
    • /
    • pp.335-345
    • /
    • 2022
  • PURPOSE. This in vitro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a full veneer crown fabricated chairside (CS) from a (Y, Nb)-TZP zirconia block in response to conventional zirconia grinding and polishing. MATERIALS AND METHODS. Zirconia crowns (n = 40) were first prepar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of materials: Labside (LS) and CS, after which each specimen went through a five-step grinding and polishing procedure. Following each surface treatment, surfac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confocal laser microscopy (CLSM), average surface roughness (Ra) values were processed from the profile data through Gaussian filtering, and X-ray diffraction patter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monoclinic (M) phase content. Then, a representative specimen was selected for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followed by a final analysis of the roughness and X-ray diffraction of the specimens using the independen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RM-ANOVA). RESULTS. In every group, polishing significantly reduced the Ra values (P < .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a between the polished state CS and LS. Furthermore, CLSM and FE-SEM investigations revealed that even though grain exposure was visible in CS specimens throughout the as-delivered and ground states, the exposure was reduced after polishing. Moreover, while no phase transformation was visible in the LS, phase transformation was visible in CS after every surface treatment, with the M phase content of the CS group showing a significant reduction after polishing (P < .001). CONCLUSION.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clinically acceptable level of surface finishing of (Y, Nb)-TZP can be achieved after conventional zirconia polishing sequence.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교합면 두께에 따른 파절강도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fracture strength depending on the occlusal thickness of full zirconia crown)

  • 장수아;김윤영;박원희;이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60-166
    • /
    • 2013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금속도재관과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교합면 두께에 따른 파절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하악 제1대구치에 해당하는 레진치를 교합면 1.5 mm, 변연은 1.0 mm 폭의 rounded shoulder로 하고 축면 경사각이 $6^{\circ}$가 되도록 삭제하여 금속 다이 64개를 제작하였다.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은ZIRKONZAHN CAD/CAM을 이용하여 Prettau zirconia blanks를 절삭하여 48개의 크라운을 제작하고 교합면 교두정의 두께에 따라 6개 군으로 분류하였다(0.5 mm, 0.6 mm, 0.7 mm, 0.8 mm, 0.9 mm, 1.0 mm). 16개의 금속도재관을 제작하여 교합면 교두정 도재의 두께에 따라 2개 군으로 분류하였다(1.0 mm, 1.5 mm). 완성된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과 금속도재관은 만능시험기 상에서 치아 교합면에 수직으로 하중이 가하도록 하여 파절강도를 측정하였다. One-way ANOVA, Tukey multiple comparison test (${\alpha}=.05$)와 t-test (${\alpha}=.05$)로 검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 1군은 가장 낮은 값(646.48 N)을 나타내었고(P<.05), 실험 2, 3, 4, 5군은 교합면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파절강도는 증가하였지만 (866.40 N, 978.82 N, 1196.82 N, 1222.41 N)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실험 6군은 다른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높은 값(1781.24 N)을 나타내었다(P<.05). 2. 대조군의 파절강도는 도재의 두께가 1.0 mm와 1.5 mm일때각각2515.71 N, 3473.31 N이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결론: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대구치부에서 최대교합력보다 높은 파절강도를 갖기 위해서는 1.0 mm이상의 두께가 필요하다.

사람혀편평상피세포암종세포에서 proteasome 억제제인 lactacystin에 의해 유도된 세포자멸사의 기전에 대한 연구 (Mechanism Underlying a Proteasome Inhibitor, Lactacystin-Induced Apoptosis on SCC25 Human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 백철중;김규천;김인령;이승은;곽현호;박봉수;태일호;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3호
    • /
    • pp.261-276
    • /
    • 2009
  • Sreptomyces라는 세균에서 추출한 lactacystin은 선택적인 proteasome 억제제로서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어져 왔다. Proteasome 억제제는 최근의 많은 연구를 통해서 암세포증식의 억제에 대한 효과가 증명되었으며, 특히 다른 항암제와 병용처리 시,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proteasome 억제제는 새로운 강력한 항암제로서 분류되어 있다. 본 연구는 사람혀편평세포암종세포(SCC25 cells)에서 lactacystin의 세포독성과 성장억제 효과, 그리고 세포자멸사의 유도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밝히기 위해 실험을 시행하였다. SCC25 세포, 사람정상각화세포 (HaCaT cells) 그리고 사람치은섬유모세포(HGF-1 cells)의 생존율 측정은 MTT법을 시행하였고, SCC25 세포의 성장억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clonogenic assay를 사용하였다. lactcystin이 SCC25 세포에서 세포자멸사가 유도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hoechst 염색법, hemacolor 염색법 그리고 TUNEL법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SCC25 세포에 lactacystin을 적용한 후, Western blot 분석, 세포면역화학염색, 공초점레이저주사현미경 검경, FACScan flow cytometry, 사립체막 전위변화, proteasome 활성도 측정 등을 시행하였다. Lactacystin으로 처리된 SCC25 세포는 시간 및 용량 의존적인 세포생존율의 감소, 용량의존적인 세포성장억제 그리고 세포자멸사에 의한 세포죽음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lactacytin은 정상세포인 HaCat 세포와 HGF-1 세포에서는 세포독성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lactacystin이 적용된 SCC25세포에서 핵 응축, DNA의 조각남, 사립체막전위와 proteasome 활성도의 감소, DNA 양의 감소, cytochrome c의 사립체에서의 세포질로의 유리, AIF와 DFF40 (CAD)의 핵으로의 이동, Bax의 증가, caspase-7, caspase-3, PARP, lamin A/C 그리고 DFF45 (ICAD)의 활성화 혹은 파괴와 같은 아주 다양한 세포자멸사 증거를 보였다. Flow cytometry 분석에서는 CDK 억제제인 $p21^{WAF1/CIP1}$$p27^{KIP1}$의 발현 증가와 관계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지는 G1 세포주기 정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lactacytin이 SCC25 세포에서 G1 세포주기정지와 proteasome, 사립체 및 caspase 경로의 연속반응을 통한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을 명확하게 증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세포주기 정지와 세포자멸사 유도능은 lactacytin이 사람혀편평상피세포암종의 새로운 치료전략으로서의 가능성을 제공한다고 생각한다.

(dl)-2-Benzyl-4-ethylester-5-(p-methylphenyl)-3H,5H,6H-1,2,6-thiadiazine-1,1-dioxide, $C_{20}H_{22}N_2O_4S$의 結晶 및 分子構造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dl)-2-Benzyl-4-ethylester-5-(p-methylphenyl)-3H,5H,6H-1,2,6-thiadiazine-1,1-dioxide, $C_{20}H_{22}N_2O_4S$)

  • 신현소;김의성;송현;이채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44-349
    • /
    • 1995
  • (d I)-2-Benzyl-4-ethyl-ester-5-(p-methylphenyl)-3H,5H,6H-1,2,6-thiadiazine-1,1-dioxide의 결정 및 분자구조를 단결정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결정은 단사정계에 해당하고 공간군은 $P2_1$이며, 단위세포 상수는 $a=8.756(8)\AA$, $b=25.757(2)\AA$, $c=8.628(1)\AA$, $\beta=99.15(4)^{\circ}$이었다. 기타 다른 변수값은 V= 1,921(2) ${\AA}^3$, $T=298^{\circ}K$, $D_C=1.336\;g/cm^3$, ${\mu}=1.54\;cm^{-1}$ 및 Z=4이다. $3{\sigma}(Fο)$ 이상인 2049개의 독립회절반점에 대한 최종 신뢰도 R값은 0.051이었다. 단위세포내에는 결정학적으로 비대칭성인 2개의 독립된 분자가 존재한다. 슬폰기의 배열은 다소 왜곡된 정사면체 구조를 나타내며, N(6)와 N(6')는 각각의 thiadiazine 고리의 최소 자승면으로부터 상당히 이탈된 사실을 알 수 있다. 결정내에서 분자들간에는 2개의 N-H---O형 분자간 수소결합과 van der Waals 힘으로 결합되어 있다.

  • PDF

정확한 기생 성분을 고려한 ITRS roadmap 기반 FinFET 공정 노드별 회로 성능 예측 (Circuit Performance Prediction of Scaled FinFET Following ITRS Roadmap based on Accurate Parasitic Compact Model)

  • 최경근;권기원;김소영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0호
    • /
    • pp.33-4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TRS(International Technology Roadmap for Semiconductors)를 따라 스케일 다운된 FinFET 소자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회로의 성능을 예측했다. 회로 성능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 기생 커패시턴스와 기생 저항 모델을 개발해 3D Technology CAD 해석 결과와 비교해 오차를 2 % 미만으로 달성했다. 기생 커패시턴스 모델은 conformal mapping 방식을 기반으로 모델링 되었으며, 기생 저항 모델은 BSIM-CMG에 내장된 기생 저항 모델을 핀 확장 영역 구조 변수($L_{ext}$) 변화에 따른 기생 저항 성분 변화를 반영 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한, 공정 단위 변화에 대해 소자의 전압전류의 DC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BSIM-CMG 모델의 DC 피팅을 진행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BSIM-CMG에 내장된 기생 모델을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저항과 커패시턴스 모델로 대체해 압축 모델 내부에 구현하여, 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스케일 다운된 FinFET 소자의 $f_T$, $f_{MAX}$, 그리고 링 오실레이터와 공통 소스 증폭기의 기생 성분으로 인한 특성변화를 분석했다. 정확한 기생 성분 모델을 적용해 5 nm FinFET 소자까지 회로 특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했다. 공정 단위가 감소함에 따라 소자의 DC 특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기생 성분의 영향이 감소하여, 회로 특성이 향상됨을 예측했다.

전악의 디지털 인상 채득 시 치과용 모형재가 디지털 모형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ifferent Gypsum Materials on the Accuracy from Complete Arch Digital Impression)

  • 김기백;이경탁;김혜영;김재홍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17-623
    • /
    • 2012
  • 본 연구는 치과용 모형재 중 4형(type IV)석고와 스캔용(scannable)석고를 이용하여 작업모형을 제작한 후, 치과용 백색광 스캐너를 이용하여 3차원 디지털 모형으로 전환한 데이터의 계측지점간 거리를 측정하여, 그 결과 값을 토대로 이종의 치과용 석고가 3차원 디지털 모형의 크기재현 시 정확성여부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치과용 모형재에 따른 3차원 디지털 모형의 정확도를 확인함으로써 임상 적용의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제한된 조건 하에서 수행된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용 백색광 스캐너를 사용하여 주 모형과 두 종류의 모형재로 제작한 작업모형을 3차원 디지털 모형으로 전환한 후, 선계측의 값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인 계측지점에서 모두 모형재로 제작된 작업모형이 작게 계측되는 경향을 보였다. 2. 각 모형별 동일한 계측지점의 계측값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paired t-test의 시행결과, 모든 계측지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두 가지 석고 모두 통계적으로 적정한 수준의 정확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오차 수준이 선행연구에 비추어 볼 때 임상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준이라 생각된다. 전악 인상채득을 통한 디지털 모형의 정확성은 검증이 되었으나, 스캔용(scannable)석고에 대한 임상 효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타 제품과의 성분 분석 비교연구나 실질적인 보철물 제작을 통한 적합도 평가를 통해 CAD/CAM 보철물 제작 시장점을 부각할 수 있는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차원 중첩 기술 차이에 따른 디지털 치과용 지대치 인상체 및 경석고 모형의 스캐닝 정밀도 평가 (Precision Evaluation of Scanning the Digital Dental Abutment Impression and Dental Gypsum Model according to 3-dimensional Superimposing Different Skills)

  • 전진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639-64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중첩 기술 차이에 따른 디지털 치과용 지대치 인상체 및 경석고 모형의 스캐닝 정밀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상악 제1 소구치 지대치 인상체와 경석고 모형를 제작했다. 청색광 스캐너로 스캔하여 stereolithography (STL)을 얻었다. 지대치 인상체와 경석고 모형에 대하여 스캐너 테이블에서 이동하지 않은 채로 10번의 추가 스캔을 수행하였다. no control과 best-fit-alignment 기술을 사용하여 지대치 인상체와 경석고 모형 스캐닝 데이터를 중첩시킴으로써 10개의 color-difference maps과 root mean square (RMS) 데이터를 얻었다. 서로 간의 그룹 사이에 RMS data를 가지고 독립 t 검정을 수행하였다(${\alpha}=0.05$). 지대치 인상체 스캐닝에 있어서 no control과 best-fit-alignment의 RMS${\pm}$StandardDeviation (SD) 값은 $6.86{\pm}0.94$, $5.04{\pm}0.24$로 나타났고, 경석고 모형 스캐닝에 있어서는 $4.98{\pm}1.16$, $3.39{\pm}0.07$로 나타났으며, 모든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해 best-fit-alignment뿐만 아니라 no control은 디지털 치과캐드캠 연구 분야 및 임상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선택적 레이저 용융 그리고 전통적인 주조 기술에 의해 제조된 Co-Cr 합금에 대한 전장용 세라믹의 전단 결합 강도 비교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of Veneer Ceramics to Co-Cr Alloys Produced by Selective Laser Melting and Casting Technique)

  • 홍민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34-439
    • /
    • 2020
  • 최근, 치과 산업에서 레이저를 열원으로 합금을 제조하는 선택적 레이저 용융법(Selective laser melting, SLM)이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SLM으로 제작된 금속-세라믹 수복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SLM 그리고 CAST(casting)에 의해 제조된 Co-Cr 합금의 금속-세라믹(metal-ceramic) 결합 강도(bond strength)를 평가하는 것이다. SLM 그리고 CAST 방법을 사용하여 Co-Cr 시편을 제조하고 세라믹을 소결하여 시료를 제작하였다. 연구의 실험은 표본 준비 및 분석을 통해 2020년 1월부터 6월까지 수행되었다. 금속-세라믹 결합 강도는 만능 시험기에 의해 측정되었다. 부착 세라믹의 면적분(The area fraction of adherence ceramic, AFAC)은 SEM/EDS로 시편의 Si 함량을 측정하였다. 금속-세라믹 결합 강도 및 AFAC 결과는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α = .05). SLM 그리고 CAST Co-Cr 합금 사이의 결합 강도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05). SLM은 CAST 그룹보다 많은 세라믹 부착성(ceramic adherence)을 나타냈다(P<.001). 세라믹과 합금의 결합 강도는 제조 방법엥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SLM은 더 우수한 세라믹 부착성을 보였다. 이는 향후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 제작에도 SLM으로 제작한 합금이 사용 가능한 것을 시사한다. CAST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