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 세포

검색결과 3,164건 처리시간 0.035초

톡소플라스마 곤디의 세포내 배양에 있어서 세포 주에 따른 감수성 비교 (Comparative susceptibility of different cell lines for culture of Toxoplasma gondii in vitro)

  • 박병규;문형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15-222
    • /
    • 1993
  • Toxoplasmngon gondii의 세포내 배양에 적합한 숙주 세포 주를 찾기 위하여 정상 세포 2종류(MDCK-canine kidney cells; Vero-monkey kidney cells) 및 암세포 6종류(A 549, PC 14-human lung cancer cells; SNU 1, SNU 16, MKN 45-human stomach cancer cells; HL-60-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를 대상으로 하여 각 세포 주의 T.gondii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형태학적 관찰 및 3H-uracil 흡수 시험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T.gondii 대한 감수성은 A 549 및 PC 14 세포가 가장 높았고, Vero, HL-60, MDCK 및 SNU 1 세포가 그 다음, SNU 16 및 MKN 45 세포는 가장 감수성이 낮았다. 또한 각 세포 주에 있어서 T.gondii 감염 후 충체증식 정도를 정량화하여 12시간, 36시간 및 60시간에 각각 측정한 바 충체 수를 적게($2{\times}10^5/ml$) 투여했을 때는 A 549, PC 14, Vero, MDCK 세포들에서 감염 60시간까지 충체의 분열 증식이 계속 증가하였고, 충체 수를 많이($50{\times}10^5/ml$) 주입하였을 때는 대부분의 세포들에서 감염 12시간에 최고의 증식을 보이다가 이후 증식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기son사거 분리 계대 및 충주(strain) 확립을 위해서는 A 549 및 PC 14 세포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충체 주입 수 및 배양 시간별로 충체의 증식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Cyclosporin A로 유도된 생쥐 림프절의 세포성 면역억제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T 림프구, IL-2 수용기 및 NK세포의 변화를 중심으로-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Suppression of Cell mediated immunity in Lymph node of mouse by Cyclosporin A -Based on the change of T lymphocytes, Il-2 receptors, and NK cells-)

  • 김진택;박인식;안상현;최난희;김동환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99-107
    • /
    • 1998
  • 본 실험은 cyclosporin A(CsA)에 의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림프절에서의 세포성 면역억제를 조사하기 위해서 시행된 것으로 BALB/C계 생쥐에 10일동안 CsA(45mg/kg/day) 투여 후 림프절에서의 T 림프구, IL-2 수용기 그리고 자연살해(NK)세포의 분포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의 림프절에서는 L3T4(CD4)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도움 T림프구, Ly2(CD8)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세포독성 T 림프구 그리고 CD25R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IL-2 수용기를 가진 세포는 곁피질(paracortex)과 수질동(medullary sinus)에서 분포하였다. CsA 투여 후 처음 3일까지는 이들 양성반응세포의 분포 변화는 없었으며 양성반응성의 변화도 없었다. 그러나 CsA 투여 7일부터 양성반응 세포수의 감소와 양성반응성의 약화가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시간이 경과하여 14일에 이르렀을 때 가장 큰 감소추세로 나타났다. 한편 NK1.1(CD56)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자연살해세포는 피질과 수질에 분포하였으며 CsA 투여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양성반응 세포수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는 14일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CsA 투여는 림프절에서의 IL-2 분비저해를 통해 T 림프구와 NK세포의 활성을 차단하여 선택적이면서 효과적인 세포성 면역억제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오미자 면역조절작용 및 L1210 세포의 apoptosis 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fructus on the Immunoregulatory Action and Apoptosis of L1210 cells)

  • 권진;이세진;소준노;오찬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84-388
    • /
    • 2001
  • 오미자의 면역조절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오미자(SZX)는 T 및 B세포의 증식을 유의성있게 촉진시켰으며, in vivo 및 in vitro 실험에서 비장내의 T 및 B림프구를 증가시켰고, T세포 중 특히 $T_H$세포를 증가시켰다. 또한 흉선 T림프구 중의 $T_H$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나타냈다. 아울러 SZX는 in vitro계에서 L1210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였으며, 복강대식세포에서의 탐식능 및 nitric oxide(NO)생성을 촉진시켰다. 이 결과는 복강대식세포로부터 생성된 NO가 L1210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는데 중개역할을 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 오미자는 T, B림프구 및 대식세포 등의 면역세포의 활성을 증강시키는 작용을 보유하고 있으며, 암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면역조절제로서의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생체 면역계를 이용한 자기 인식 알고리즘의 구현과 응용 (Its Application and Realization of Self-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Biological Immune System)

  • 선상준;서동일;김대수;심귀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합동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61-164
    • /
    • 2001
  • 생명체의 면역계는 외부에서 침입해 세포나 장기에 피해를 주는 물질인 항원을 스스로 자기세포와 구분해 인식하고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면역계의 특징 중의 하나는 항원과 구별되는 자기 세포의 확실한 인식을 가지고 구분하는 자기/비자기(self/non-self) 인식방법이다. 이러한 기능을 가장 잘 보여주는 면역 T세포 중의 하나인 세포독성 T세포(T-cytotoxic Cell)는 자기세포를 인식하는 부분과 항원으로 인식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항원에 의해 감염된 자기세포를 찾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명체의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독성 T세포의 생성중의 자기인식 과정의 하나인 Positive Selection을 모델링하여 자기-인식 알고리즘 구현하였다. 구현한 알고리즘을 자기 공간의 국소변경과 블록변경에 대한 자기인식률을 통해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하며 응용 시스템으로 지문 인식에 적용하였다.

  • PDF

울금 주정 추출물이 자연살해세포와 T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rcuma longa L. Extracts on Natural Killer Cells and T Cells)

  • 하예진;김옥경;남다은;김용재;김은;전우진;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07-31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울금의 면역조절 효과에 대해 평가하고자 20% 주정 추출물을 이용하여 자연살해세포와 T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분리한 자연살해세포를 종양세포 YAC-1 세포와 함께 배양시켜 울금 20% 주정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울금 20% 주정 추출물의 처리는 자연 살해세포의 CD69 발현과 IFN-${\gamma}$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결과적으로 활성이 증가되어 YAC-1 세포의 제거를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울금 20% 주정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T 세포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에서는 CD4+ T 세포보다는 CD8+ T 세포를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여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 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울금 20% 주정 추출물은 내재면역과 적응면역에 영향을 미쳐 면역조절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음을 확인하였다.

알킬화제인 MMS를 선처리한 NIH3T3 세포에서 소목 추출물 의한 세포고사의 촉진 (Extracts of Caesalpina sappan L. Potentiate the Apoptosis of NIH3T3 Cells Exposed to Methymethane Sulfonate)

  • 박종군;황성진;이정섭;전병훈;김원신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2-18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알킬화제인 methylmethane sulfonate (MMS)를 선처리한 NIH3T3세포에서 소목추출물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MTT 분석결과 MMS에 의해서 유도된 세포생존률이 소목추출물에 의해서 감소되었다. 세포형태분석, acridine orange 염색법, 그리고 DNA fragmentation 분석에서 MMS에 의해서 유도된 세포고사의 특징인 핵 응축 및 DNA laddering이 소목추출물에 의해서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소목추출물은 NIB73T3 세포에서 MMS에 의해서 유도된 세포고사를 촉진시킴을 보여준다.

대장암 세포암종 HCT-15 세포 및 위암 세포암종 AGS 세포에서 차가버섯 조성물에 의한 세포생육 억제 효과 (Cytotoxic Effect of Inonotus obliquus Composition in HCT-15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AGS Gastric Cancer Cells)

  • 차재영;전병삼;문재철;유지현;조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33-640
    • /
    • 2004
  • 녹차분말을 포함하는 차가버섯 조성물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인체 위암 세포 AGS 및 대장암 세포 HCT-15, 그리고 마우스 정상세포 NIH3T3 fibroblast의 세포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세포 수 측정방법과 MTT 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차가버섯 조성물의 수용성 추출물은 인체 대장암 세포주 HCT-15와 위암 세포주 AGS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실험조건 하에서 마우스 정상 세포주 NIH3T3은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차가버섯 조성물의 수용성 추출물은 정상세포에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위암 및 대장암 세포에는 높은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유세포 분석의 주의사항: 혈관면역모세포성 T세포 림프종에서 관찰된 다클론성 형질세포 (Angioimmunoblastic T-Cell Lymphoma with Polyclonal Proliferation of Plasma Cells: A Cautionary Note for Flow Cytometry Interpretations)

  • 신우용;방해인;김정아;김지은;박노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68-72
    • /
    • 2022
  • 혈관면역모세포성 T세포 림프종(AITL)은 성숙 T follicular helper cells의 림프증식성 질환이다. 80세 여성의 골수에서 비정형 림프구가 관찰되었고 B세포에 대한 유세포검사에서 CD19+, CD20-, CD22- 및 lambda 경쇄 restriction과 같은 비정상 표현형이 관찰되었다. 처음에는 유세포검사에서 관찰된 비정상 B세포에 대해 B세포 림프종을 의심하였다. 그러나 환자는 골수를 침범한 AITL로 진단되었다. 유세포검사의 재분석에서 소수의 비정상 T세포 군집을 발견했다. 표면 lambda 경쇄 restriction은 비특이적 결합으로 생각되었다. EBV 양성 T세포 림프종 환자에서 형질세포와 유사한 면역표현형을 가진 B세포가 관찰될 수 있다. 이러한 비정상 B세포 혹은 형질세포의 증식이 기저에 존재하는 T세포 림프종을 가릴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콜라비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와 3T3-L1 cell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and 3T3-L1 Cells)

  • 송미연;이재준;차선숙;정정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19-23
    • /
    • 2013
  • 본 연구는 콜라비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와 $_3T_3-L_1$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돼지 지방전구세포는 신생자돈의 등지방에서 분리했다. 세포를 접종한 1일 후에 세척했고(day 0),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2일 동안(day 0~day 2) 25 ng/ml과 100 ng/ml의 콜라비 알코올 추출물(과피와 과육)를 처리했다. 세포분화를 구명하기 위해서는 DMEM/F- 12 배지에 6일 동안(day 0~day 6) 배양하고 배양초기 2일 동안(day 0~day 2) 콜라비를 처리하고 day 6에 세포 분화를 측정했다. 콜라비 과피 25 ng/ml와 100 ng/ml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각각 4.59%, 17.7% 억제했고, 콜라비 과육은 각각 11.4%, 19.2% 억제했다. 반면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는 억제하지 않았다. 콜라비가 $_3T_3-L_1$ cell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작용을 구명하기 위해, 돼지 지방전구세포처럼, 세포 배양초기 2일간 콜라비를 처리했는데 콜라비 과피와 과육 둘 다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콜라비는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했으나 분화는 억제하지 않았고, 한편 $_3T_3-L_1$ cell의 증식과 분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Interferon-{\gamma}$ 투여에 의한 Toxoplasma 감염 T세포 아형 변화 (Effects of $Interferon-{\gamma}$ in T cell subsets of mice infected with Toxoplasma gondii)

  • 이영하;나영언;신대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1호
    • /
    • pp.31-36
    • /
    • 1993
  • Toxoplasmn감염 마우스에 있어서 $interferon-{\gamma}(IFN-{\gamma})$ 투여 시기에 따른 T세포 아형 변화를 관찰하였다. T. gondii Beverley주를 감염시킨 마우스(마우스당 약 100개의 씨스트)에 recombinantmouse $IFN-{\gamma}$(마우스당 $5{\;}{\times}{\;}10^4$ Units)를 감염 4일전/2일전, 감염 2일전/감염일, 감염일/감염후 2일, 감염후 2일/4일에 각각 투여한 다음, 이들 4군의 비장 림프구 T 세포 아형 변화를 매주 1회씩 4주 동안 단세포군 항체를 이용하여 flow cytometry로 분석하였다. Thy-1, 2 세포 (전체 T 세포)는 감염 1주부터 감소하여 2주에 가장 적었으며, 감염대조군에 비해 $IFN-{\gamma}$를 감염 2 일전/감염일 또는 감염일/감염후 2일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3T4 세포(helper/lnducer T 세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Ly-2 세포($cytotoxic$pressor T 세포)는 $IFN-{\gamma}$투여시 감염 2주까지는 감염대조군과 유사하였으나 감염 3, 4주에는 모두 감소하였다. L3T4/Ly-2 세포 비율은 감염 1주 이후부터 감소하였으며, $IFN-{\gamma}$를 감염 2일전/감염일 또는 감염일/감염후 2일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Toxoplasma 감염 마우스에 $IFN-{\gamma}$ 투여시 변화된 T 세포 아형이 정상 상태로 회복되었으며, $IFN-{\gamma}$를 감염 직후 투여시 더욱 현저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