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tax Element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3초

지하철 역사에서의 출구선택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Gate Choice Model of Subway Station)

  • 박지훈;이승재;김주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4
    • /
    • 2010
  • 현재 지하철 출구의 위치 및 크기는 경험적이고 직관적인 판단 하에 지하철 출구의 보행량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상황이며, 지하철 출구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지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출구 선택 모형을 구축하여 출구에 대한 이용수요를 예측하고자 한다. 지하철 출구의 가장 중요한 선택 요소라 함은 목적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지를 어떻게 계량화 할 것인가는 본 연구의 주된 연구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적지를 계량화하기 위하여 역세권의 토지이용계획, 버스노선수, 역세권 공간구조(Space Syntax 기법의 Depth 개념, 역세권의 도로 연장 등) 등에 대한 기본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 구축 결과 지하철 보행량은 토지이용 중 상업지역의 연상면적과 역세권 공간구조의 계량화 지표인 Total Depth, 버스노선수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형의 검증은 강남역과 양재역의 각 출구 보행량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때 발생하는 출구 영향권 설정 문제에 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지하철 출구 선택이 어떠한 요소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모형식을 통해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건설될 신규 지하철 역사에서의 출구 위치 및 크기 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주어-조동사 도치에 관한 소고 (On Subject auxiliary inversion in English)

  • 서진희
    • 영어어문교육
    • /
    • 제6호
    • /
    • pp.143-157
    • /
    • 2000
  • It has been one of the puzzles in the English syntax that so called the rule of subject-auxiliary inversion (SAI) is not allowed in subject wh-movement while it is not obligatory in non-subject wh-movement in a root sentence. This asymmetry has been a puzzle since SAI itself was thought to be a part of question construction as we can observe from yes/no questions. The asymmetry gets more complicated in terms of sentence embedding, i.e no SAI is permitted in the embedded context in question.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unified analysis for this unsolved grammatical phenomena on the basis of Rizzi (1997)'s recent work. The main idea is that SAI is not a I-to-C movement but one of I-to-Focus where Focus is a functional category and its phrase is located between CP and IP. The other proposal is that Wh-movement is no more homogeneous in terms of landing site between a root and an embedded sentence: the target for a wh-phrase in the former is the Spec of FocP (Focus Phrase) but the one in the latter is the Spec of CP as the standard theory assumes. Pesetsky (l999)'s analysis is discussed and its theoretical and empirical shortages are pointed out. Its rather radical proposals such as the one that the nominative case is just an uninterpretable tense feature of DP and the other that 'that' is no longer a complementizer but an element of I(nflection) make it less acceptable in spite of the possibility that it can get rid of Case theory entirely, which would be ideal in the spirit of minimalism.

  • PDF

H.264/AVC용 영상압축을 위한 CAVLC 인코더 구현 (Implementation of CAVLC Encoder for the Image Compression in H.264/AVC)

  • 정덕영;최덕영;조창석;손승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485-1490
    • /
    • 2005
  • 가변 길이 부호는 오늘날 이미지 및 비디오에 관한 많은 국제 표준의 통합된 요소이다. 문맥 기반의 가변 길이 코팅(CAVLC)는 오늘날 주목받고 있는 JVT에서 채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coeff_token 인코더, level 인코더, total_zero 인코더 및 run_before 인코더를 포함하는 CALVC 인코더 아키텍처를 설계한다. 설계된 CAVLC 인코더는 매 사이클마다 하나의 신택스 요소를 부호화할 수 있다. 자일링스 버텍스 1000e를 사용하여 구현한 결과 68MHz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CAVLC 인코더는 고속의 쓰루풋을 요하는 비디오 응용에 아주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변길이 부호어 테이블의 재구성을 통한 효율적인 Coeff-Token 복호화 방식 (A New Coeff-Token Decoding Method based on the Reconstructed Variable Length Code Table)

  • 문용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3C호
    • /
    • pp.249-255
    • /
    • 2007
  • 일반적으로, H.264/AVC 압축 표준에서 CAVLC 복원은 많은 양의 메모리 액세스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메모리 액세스는 비디오폰 및 DMB와 같은 응용 서비스에 있어서 파워 소모 면에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CAVLC의 구문요소중 하나인 coeff-token에 대한 효과적인 복호화 방식을 제안한다. 먼저 중복 액세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바이트 단위로 구성되는 새로운 코드워드를 정의한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가변길이 부호어 테이블을 재구성한 후 효과적인 메모리 액세스 기법을 제시한다. 모의 실험은 화질 저하 없이 제안 방식에서 약 85% 정도의 메모리 액세스가 절약됨을 보여준다.

MPEG-4 Part 10 동영상 압축 표준 성능 개선을 위한 새로운 부호화 방식 (A New Coding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MPEG-4 Part 10 Video Coding Standard)

  • 문용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1C호
    • /
    • pp.1058-106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MPEG-4 Part 10 동영상 압축 표준에 대한 새로운 움직임 벡터 부호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듬에서는 주변 블록들의 움직임 벡터 분포와 MPEG-4 Part 10의 구문 요소인 매크로블록 유형을 이용하여 주어진 동영상의 움직임 정도를 예측한다. 그리고 예측 결과에 따라서 독립 부호화 방식과 결합 부호화 방식을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움직임 벡터 압축을 수행한다. 모의 실험 결과는 부가적인 메모리나 계산량 없이 제안 방식이 기존 방식들보다 우수한 압축 성능을 지님을 보여준다.

HEVC CABAC 복호기의 문맥 모델러 설계 (Hardware Implementation of Context Modeler in HEVC CABAC Decoder)

  • 김소현;김두환;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80-283
    • /
    • 2017
  •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의 엔트로피 코딩 방식인 CABAC(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에서는 각 구문 요소의 발생 확률을 추정하는 문맥 모델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CABAC 복호화에 필요한 문맥 모델러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초기화에 필요한 연산 숫자를 줄이고 속도를 높이기 위해 참조 테이블을 사용하였으며, HEVC의 표준 테스트 영상 및 표준 부호기 구성에 대해 12가지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모두 성공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설계된 문맥 모델러를 0.18um에서 합성하였을 때의 최대 동작 주파수, 최대 처리율 및 게이트 수는 각각 200 MHz, 200 Mbin/s, 29,268 게이트이다.

BIBFRAME 적용성 향상을 위한 기술 수준 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Descriptive Levels for Enhancing the Applicability of BIBFRAME)

  • 임수인;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65-186
    • /
    • 2020
  • BIBFRAME은 기존의 MARC 구조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서지 표준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기술항목의 방대함으로 인해 도서관계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여러 가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현장에서의 BIBFRAME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BIBFRAME의 기술 수준 구분을 제안하였다. BIBFRAME의 기술 수준은 ISBD 2011 통합판의 서지영역을 기준으로 핵심, 표준, 상세 수준의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RDF/RDFS 구문을 적용하여 구분한 기술 수준을 의미적으로 구현하였다. BIBFRAME의 3단계 기술 수준은 Class Granularity 및 Class Element로 정의하였으며, Property Relation을 정의하여 각각의 기술 수준으로 구분된 Class와 BIBFRAME 기술항목을 연계할 수 있는 구문적 환경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BIBFRAME을 이용한 서지데이터의 생성과 공유에 있어서의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객체지향 정보 저장소에서 참조 무결성 보장을 위한 XLink 시맨틱스 (XLink Semantics in Object Repository for Guaranteeing Referential Integrity)

  • 박희경;박상원;김형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6호
    • /
    • pp.589-601
    • /
    • 2003
  • XLink는 XML에서 문서들 사이 또는 엘리먼트(element) 사이의 링크를 정의하는 언어로 HTML에서의 하이퍼 링크(hyperlink)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데 하이퍼 링크보다 훨씬 정교하고 다양한 방식의 링크를 표현할 수 있다. XLink로 연결된 요소 사이에는 관계성(relationship)이 발생하는데 이런 관계성을 XML 저장소에서 지원해 주지 않을 경우 관계성의 표현을 각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접 프로그래밍 해야 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유지, 보수 단계에서 관계성 관리와 관련된 많은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를 저장하는 객체지향 정보 저장소(object repository)에서 XLink를 지원해 주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XML 문서 저장을 위한 객체 정보 저장소 시스템인 XDOM(Persistent DOM 형태의 XML Repository)상에 구현하였다. XLink를 지원해주기 위해 본 시스템에서 제공해주는 기능은 참조 관계성, 확장 링크(extended link)와 XLink를 위한 DOM 트리 확장을 위한 마운트(mount) 기능이다.

음악 표절 분석을 위한 디지털 음악 요소에 대한 연구 (A Study of Digital Music Element for Music Plagiarism Analysis)

  • 신미해;조진완;이혜승;김영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43-52
    • /
    • 2013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두 음원에 대한 표절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음악 요소에 대해서 연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음원 분석을 위해서 디지털 음악 요소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 음악 요소를 컴파일러 기법을 활용하여 어떻게 표절 분석에 이용할 것인지 살펴본다. 또한 복잡한 미디 음악 데이터를 간단하게 처리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소스 자바 API인 JFugue를 활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JFugue에서 지원하는 포맷인 뮤직스트링 (MusicString)을 이용하여 음악 표절 분석 시스템을 설계하고 음악 표절 분석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뮤직스트링 문법 처리 요소를 살펴보고 추상구문트리(AST)를 구축하는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금까지 감성적이고 주관적으로 평가해왔던 두 음원의 표절 분석을 시스템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며, 이 연구가 잘 활용된다면 차후에 두 음원의 표절 여부를 시스템적으로 정형화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의를 둘 수 있다고 판단된다.

애니메이션 분야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공간구성 -Walt Disney스튜디오 작업환경과 공간구성 사례를 중심으로 (The Spatial Composition for Animation Competency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Studio Environment and Spatial Composition of Walt Disney)

  • 이현석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6호
    • /
    • pp.1-22
    • /
    • 2017
  • 정보통신기술의 빠른 발전과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확대로 인해 관련 실용학문분야는 교육의 내용과 환경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핵심 분야인 애니메이션 교육은 창의와 융합 그리고 실무교육이 중시되며 교육 내용과 방법에서 많은 개선이 시도되었다. 하지만, 기존 컴퓨터실 형태의 획일적 교육 공간은 애니메이션 교육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분야 직무 역량과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제작의 특성이 반영된 효율적인 실습교육 공간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전개는 첫째, 기존의 애니메이션 교육공간의 한계점에 대해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도출한다. 또한, Pre-production, Main-production, Post-production의 세 단계로 구성된 애니메이션 제작의 작업적 특성과 순차적 업무에 따른 여섯 개 세부 직무의 역량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애니메이션 제작공간의 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구문론을 차용한 6가지 공간 유형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애니메이션 제작특성, 세부직무역량 요소, 6가지 공간 유형을 분석 툴로 하여,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인 Walt Disney의 작업환경과 공간구성에 대해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다섯째, 문헌연구와 사례연구의 결과를 연계적으로 분석하여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공간 구성의 특성을 도출한다. 본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 실무와 직무역량요소의 특성이 반영된 교육 공간 구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본 사례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 교육공간 구성을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으나, 기존과 차별화된 프로젝트 교육 공간구성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가치가 있으리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