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Gate Choice Model of Subway Station

지하철 역사에서의 출구선택 모형 개발

  • 박지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 이승재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주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Received : 2009.04.23
  • Accepted : 2010.01.25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Until now, the location and the size of gate are designed by only experience and intuitive use judgement.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that investigated how many people will be using each subway gat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gat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ate choice model of subway station. The most critical element of a gate choice in subway station is the location of pedestrian's destination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regression model is constructed from data of land use characteristic of station vicinity and the number of bus route and the space structure of station vicinity(Depth concept by Space Syntax analysis and total road length of station vicinity) by using the real data of 30 subway station in Seoul. This study found that subway pedestrian flow are mainly determined by three factors; the total floor space of commercial buildings, Total Depth(space structure index of station vicinity), and the number of bus route. The verification of a proposed model is done by using the real gate pedestrian data of two subway station in Seoul; Gang-nam and Yang-jae. The additional study of how to define the gate impact area is analysed.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the theoretical bases in decision of gate location and size when a new subway station is opened in future.

현재 지하철 출구의 위치 및 크기는 경험적이고 직관적인 판단 하에 지하철 출구의 보행량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상황이며, 지하철 출구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지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출구 선택 모형을 구축하여 출구에 대한 이용수요를 예측하고자 한다. 지하철 출구의 가장 중요한 선택 요소라 함은 목적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지를 어떻게 계량화 할 것인가는 본 연구의 주된 연구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적지를 계량화하기 위하여 역세권의 토지이용계획, 버스노선수, 역세권 공간구조(Space Syntax 기법의 Depth 개념, 역세권의 도로 연장 등) 등에 대한 기본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 구축 결과 지하철 보행량은 토지이용 중 상업지역의 연상면적과 역세권 공간구조의 계량화 지표인 Total Depth, 버스노선수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형의 검증은 강남역과 양재역의 각 출구 보행량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때 발생하는 출구 영향권 설정 문제에 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지하철 출구 선택이 어떠한 요소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모형식을 통해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건설될 신규 지하철 역사에서의 출구 위치 및 크기 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웅.유영근.최한규(2002), "지하철 도보역세권 설정방법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37권 5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 류승규(2006), "Kalman Filter와 Space Syntax를 이용한 GIS 기반 다중경로제공 시스템 개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성현곤.김태현(2005), "서울시 역세권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8호, 대한교통학회, pp.19-29.
  4. 성현곤.권영종(2005), "강남역세권으로의 고용입지변화가 주거입지 및 통근통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5 정기학술대회.
  5. 이병욱(2006), "Space Syntax를 이용한 대중교통 Serviceability 평가 방법론 개발 및 버스 노선망 설계",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이인성(1998), "의사결정분석기법을 이용한 도시 주거지의 보행경로 선택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7. Hiller, B. and hansom, J(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Cambridge University Press.
  8. Jiang B. and Claramunt C(2002), "Integration of Space Syntax into GIS: New Persperctives for Urban Morphology", Transaction in GIS, Blackwell Pulishers Ltd, Vol.6, no.3.
  9. Tim Ormsby et al(2006), "Getting To Know ArcGIS", ESRI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