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mptoms of Stroke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3초

Dehydroevodiamine·HCl enhances cognitive function in memory-impaired rat models

  • Shin, Ki Young;Kim, Ka Young;Suh, Yoo-H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1호
    • /
    • pp.55-64
    • /
    • 2017
  • Progressive memory impairment such as that associated with depression, stroke, and Alzheimer's disease (AD) can interfere with daily life. In particular, AD, which is a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disorder, prominently features a memory and learning impairment that is related to changes in acetylcholine and abnormal ${\beta}$-amyloid ($A{\beta}$) deposition in the brai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hydroevodiamine HCl (DHED) on cognitive improvement and the related mechanism in memory-impaired rat models, namely, a scopolamine-induced amnesia model and a $A{\beta}_{1-42}$-infused model. The cognitive effects of DHED were measured using a water maze test and a passive avoidance test in the memory-impaired rat model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DHED (10 mg/kg, p.o.) and Donepezil (1 mg/kg, p.o.) ameliorated the spatial memory impairment in the scopolamine-induced amnestic rats. Moreover, DHED significantly improved learning and memory in the $A{\beta}_{1-42}$-infused rat model. Furthermore, the mechanism of these behavioral effects of DHED was investigated using a cell viability assa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easurement, and intracellular calcium measurement in primary cortical neurons. DHED reduced neurotoxicity and the production of $A{\beta}$-induced ROS in primary cortical neurons. In addition, similar to the effect of MK801, DHED decreased intracellular calcium levels in primary cortical neurons. Our results suggest that DHED has strong protective effects against cognitive impairments through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neurotoxicity and intracellular calcium. Thus, DHED may be an important therapeutic agent for memory-impaired symptoms.

Safety Evaluation of Sankhaholi (Evolvulus alsinoides Linn.) in the Manage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A Randomized Standard Control Trial

  • Khan, Qamar Alam;Khan, Asim Ali;Parveen, Shagufta
    • 셀메드
    • /
    • 제9권4호
    • /
    • pp.6.1-6.4
    • /
    • 2019
  • Background: Hypertension is one of the major risk factors for stroke, heart attack, heart failure and kidney failure, thereby causing deaths and disability world-wide. The most predominant type of HTN is essential hypertension (HTN). Unani scholars have mentioned about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management of the hypertension and documented it in the context of 'Imtila'. The drug Sankhaholi (Evolvulus alsinoides Linn.) is one of the widely prescribed medicines for the manage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in Unani medicine. Material and Methods: The present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afety of Sankhaholi (Evolvulus alsinoides Linn.) in the management of stage-1 essential hypertension. Newly diagnosed 41 patients of Essential Hypertension (22 patients were in the test group and 19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enrolled for the study. All the patients in the test group were given with the test drug 3 g powder of Sankhaholi twice a day for 6 weeks orally.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standard drug Ramipril 5 mg once a day for the same duration. Clinical as well as hematological parameters were record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Results: No significant changes are recorded in safety parameters viz. CBC, Haemogram, LFT and KFT. Clinically no adverse effect of the drug has been reported during the course of treatment. Also, significant effect o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p<0.001) were recorded in test group. The drug Sankhaholi was also found effective on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Conclusion: The finding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test drug Sankhaholi (Evolvulus alsinoides Linn.) is safe and has substantial efficacy as an antihypertensive drug.

항동맥경화 활성 바이오소재 개발 연구 동향 및 활용 전망 (Current Status and Application Prospects of Anti-Atherosclerotic Active Biomaterials)

  • 김승희;이정호;유하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133-141
    • /
    • 2024
  • 전세계적으로 발병 및 사망률이 높은 동맥경화증은 뇌졸중,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의 주요 병증의 원인인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동맥경화증은 지질 침착으로 인해 죽종(atheroma)이 형성되고, 혈전증이 유발되면서 관련 증상이 발생한다. 동맥경화증의 합성 치료제의 부작용 우려로 인해 생물 유래 항동맥경화 소재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동맥경화증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바이오소재의 발굴 및 기전 규명 등 관련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주로 동맥경화증 발병 관련 인자들을 조절하여 증상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바이오소재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다당류, 폴리페놀, 코엔자임 Q10이 해당된다. 우수한 활성을 가진 바이오소재의 경우에는 생체 내(동물 모델)에서의 항동맥경화증 활성이 확인되었다. 본고에서는 동맥경화증의 발병 기전을 살펴보고, 항동맥경화증 활성이 보고된 바이오소재의 연구 동향 및 활용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청심연자탕 가감방으로 호전된 교뇌 출혈 이후 발생한 양측 반신부전마비, 연하곤란, 언어장애 치험 1례 (A Case Study of Chengsimyeonja-tang-gamibang Treatment of a Patient with a Pontine Hemorrhage, with Quadriparesis, Dysarthria, and Dysphagia)

  • 양지연;정택수;전경륭;옥소윤;선종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17-225
    • /
    • 2017
  • Objectives: This case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Chengsimyeonja-tang-gamibang (Gamicheongsim-tang and Cheongsimsunhwal-tang) in a patient with a pontine hemorrhage and quadriparesis, dysarthria, and dysphagia. Methods: A patient diagnosed with a pontine hemorrhage was treated with Chengsimyeonja-tang-gamibang (Gamicheongsim-tang and Cheongsimsunhwal-tang)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 manual muscle test (MMT), modified Barthel index (MBI),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modified Rankin Scale (mRS),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MMSE-K), and Articulatory Functional Ability of Achievement Scale were administered. Results: Improvements in the MMT, MBI, NIHSS, mRS, and K-MMSE were observed after the treatment. The MMT grade increased from Rt. 3/3- and Lt. 3/3- pretreatment to Rt. 4/4 and Lt. 4+/4+ post-treatment. The MBI increased from 10 to 50 post-treatment. The NIHSS decreased from 24 to 6 post-treatment, and the mRS fell from 5 to 4 post-treatment. Finally, the MMSE-K increased from 0 to 24 post-treatment. The Articulatory Functional Ability of Achievement Scale also improved.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hengsimyeonja-tang-gamibang can be used to treat the symptoms of patients with a pontine hemorrhage.

"동의보감(東醫寶鑑)" 중(中) 빈랑(檳榔)이 주약(主藥)으로 배오(配伍)된 방제(方劑)의 활용(活用)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Applications of Prescriptions including Semen Arecae as a Main Component in Dongeuibogam)

  • 임대환;전영균;이주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74
    • /
    • 2009
  • This report describes 46 studies related to prescriptions which are mainly used Semen Arecae from Dongeuiboga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investigations on the prescriptions that use Semen Arecae as a main component. 19.6% of a malaria, 17.4% of an evacuation problem, recorded the largest number of clinical frequency of the prescriptions in therapeutic use when Semen Arecae was taken as a main component in prescriptions Prescriptions that utilize Semen Arecae as the main ingredient are used in the treatment of a malaria, an evacuation problem and a malignant dermatosis. they are also used for treating 11 different types of diseases. The prescriptions are compounded with Semen Arecae as a main component which can be applied to an affection by wind-cold, a heat(fire) syndrome, a cold-stroke, a phlegm-retention syndrome, a constipation induced by apoplexy, a stagnation of vital energy, an asthenia of the spleen and the stomach, a convulsion caused by improper diet, a parasitic infestation and a traumatic disease. The dosage of Semen Arecae is 2.5pun(nearly 0.94g) to 3don(nearly 11.25g), however 1don(nearly 3.75g) has been taken the most for clinical application. When Semen Arecae is combined with basic prescriptions such as Ijintang and Bulium, it applies symptoms of malaria. In addition, when Semen Arecae is combined with basic prescriptions such as Daemainhwan, Soseungkitang and Samatang, it utilizes an evacuation problem.

  • PDF

소음인환자(少陰人患者)의 중풍후유기(中風後遺期)에 병발(倂發)한 만성(慢性) 염증성(炎症性) 빈혈(貧血)에 대한 증례(症例) (A clinical case study of chronic inflammatory anemia in post-symptom period resulting Stroke of Soeumin patient)

  • 박은경;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77-383
    • /
    • 1999
  • 임상에서 가장 빈번하게 당면하는 빈혈의 하나로 여러종류의 만성적 원질환에 동반되는 빈혈이 있다. 이에 본 증례에서 소뇌 출혈이후의 합병증인 폐렴으로 인해 만성 염증성 빈혈이 발생한 환자에서 한방치료에 의해 전신상태 호전과 함께 빈혈이 교정된 증례가 있어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75세의 여환으로 뇌출혈 후유증으로 인한 두통과 현훈, 보행장애, 연하장애, 전신무력감으로 본원 내원하였으며. 내원당시 혈액학 검사상 normocytic normochromic anemia 소견을 보이고 있었다. 이를 소음인 울광증으로 변증하고 승양익기의 치법에 준하여 팔물군자탕을 투여한 결과 전신증상의 호전과 빈혈의 치료를 확인하였다.

  • PDF

Safety Evaluation of LB10522, a New Cephalosporin Antibiotic

  • Kim, Seong-Il;Raffi Mikaelian;Kwak, Jin-Hwan;Kim, In-Chull;Lee, Chang-H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권4호
    • /
    • pp.316-321
    • /
    • 1995
  • All the pharmacological studies of LB17522 described here were carried out with high doses (fifteen to sixty times of the therapeutic dose) to determine an indication of potential side effects in clinical use in terms of the acute clinical signs, cardiovascular and central nervous system. LB10522 does not produce any observable clinical signs except for the symptoms such as moist eye, skin rash, slight salivation, vomitting, and slightly reduced activity. The effects of LB10522 on the hemodynamics and cardiac function of anesthetized beagle dogs are as follows; heart rates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had a tendency to increase mildly, which is a normal finding in anesthetized dogs. All the animals except for one showed relatively stable respiratory rates throughout the observation period. Each animal treated with LB10522 showed slight increase in the left cardiac work and left ventricular stroke work which are mainly related to corresponding increases in cardiac output. Femoral blood flow were shown to be increased in some animals treated with LB10522. The epileptogenic activities of various cephalosporins were assessed by a direct intracerebral injection of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test articles. The CD$_{50}$ values (nmol)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dose-response data are as follows; 78.2, 175.3, 156.3, and 53.5 for cefazolin, cephaloridine, ceftazidime, and LB 10522, respectively. LB10522 seems to be equipotent with cefazolin or to be three times more potent than cephaloridine and ceftazidime in causing adverse CNS stimulation. Taken into consideration all the information obtained, LB10522 is not supposed to induce much changes in the functions examined in these studies in man at therapeutic doses.s.

  • PDF

가상현실을 이용한 K-CBS 기반의 편측무시 정량적 평가 방법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of Unilateral Neglect based on K-CBS using Virtual Reality)

  • 문호상;정성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41-148
    • /
    • 2020
  • 뇌혈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학적 질환인 뇌졸중과 관련이 있는 편측무시(Unilateral neglect)는 대뇌반구의 반대측 자극에 대하여 인지 또는 반응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주로 우측 대뇌반구 손상에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편측무시에 대한 행동적 평가 척도로 사용되고 있는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Korean Catherine Bergego Scale)의 10가지 문항과 내용을 기반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이용한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구현된 콘텐츠는 편측무시 환자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신체 무시, 운동성 무시, 시각 및 공간 무시, 청각 주의 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인지하고 반응하는 동안의 시간과 머리 회전각을 측정함으로써 질환의 진행 정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편리한 편측무시 진단과 이를 응용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재활 훈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VD와 Bayesian 알고리즘을 이용한 뇌경색 부피 측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Volume Measurement of Cerebral Infarct using SVD and the Bayesian Algorithm)

  • 김도훈;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591-602
    • /
    • 2021
  • 급성 허혈성 뇌졸중(Acute ischemic stroke; AIS) 환자는 증상발현 수 시간 이내 영상의학 검사를 통해 뇌경색(Infarction)을 조기 진단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SVD와 Bayesian 알고리즘을 이용한 뇌경색의 부피측정을 관류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perfusion; CTP)과 확산 강조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diffusion weighted image; MR DWI)을 비교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2017년 9월부터 2020년 9월까지 급성 허혈성 뇌졸중 증상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 중 50명(남 : 여 = 33 : 17)의 영상의학 검사 정보를 후향적으로 이용하였다. SVD와 Bayesian 알고리즘으로 측정된 뇌경색 부피는 윌콕슨 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 통계분석을 하여 중앙값(Median)과 사분위수(Iter quartile range; IQR) 25 - 75% 범위로 나타내었다. CTP 검사로 측정한 core volume(단위 : cc)은 SVD가 18.07 (7.76 - 33.98), Bayesian은 47.3 (23.76 - 79.11)으로 측정되었고 penumbra volume은 SVD가 140.24 (117.8 - 176.89), Bayesian은 105.05 (72.52 - 141.98)로 측정되었다. Mismatch ratio (%)는 SVD가 7.56 (4.36 - 15.26), Bayesian은 2.08 (1.68 - 2.77)로 측정되었으며 모든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스피어만 상관 분석(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결과는 CT Bayesian과 MR로 측정한 뇌경색 부피의 상관계수(r = 0.915)가 CT SVD와 MR의 상관계수(r = 0.763)보다 더욱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1). 블랜드 알트만 산점도(Bland altman plot) 분석 결과는 CT Bayesian과 MR로 측정한 뇌경색 부피의 산점도 기울기(y = - 0.065)가 CT SVD와 MR의 산점도 기울기(y = - 0.749)보다 완만하게 측정되어 Bayesian이 더 높은 신뢰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뇌경색 부피의 측정에서 Bayesian 알고리즘이 SVD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므로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꽃꽂이 작업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활성도 측정 및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적용사례 (Measuring Range of Motion and Muscle Activation of Flower Arrangement Tasks and Application for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

  • 이손선;박신애;권오윤;송종은;손기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4호
    • /
    • pp.449-462
    • /
    • 2012
  • 본 연구는 신체재활을 위해 다양한 꽃꽂이 작업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꽃꽂이 작업 시 주로 사용되는 작업들을 분류하고, 각 작업 수행 시 사용되는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근육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꽃꽂이 작업 시 상지의 관절 가동범위와 근육활성도 측정결과를 근거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꽂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임상현장에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상지 움직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주요한 꽃꽂이 작업을 분류한 다음, 작업 분석을 토대로 8가지 꽃꽂이 기본 작업(자르기 1, 굵은 줄기; 자르기 2, 가는 줄기; 꽂기 1, 긴 줄기; 꽂기 2, 짧은 줄기; 말기; 관엽 이용; 휘기 1, 굵은 줄기; 휘기 2, 가는 줄기; 감기, 절화용 와이어 이용)을 재분류하였다. 강원도 소재 대학의 8명의 남학생(평균 연령 $24.1{\pm}2.5$세)들이 8가지 꽃꽂이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삼차원 실시간 동작 분석 시스템과 근 전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지의 관절가동범위와 각 근육부위별 활성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꽃꽃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시 소재 재활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참여대상자들의 의사에 따라 4명은 원예치료군에 나머지 4명은 작업치료군에 배정되었다. 원예치료는 1일 2회(총 33회기)로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 전과 후에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 평가를 위해서 관절가동범위와 장악력 및 전반적인 상지기능평가가 수행되었다. 꽃꽂이 작업 수행 시 어깨관절은 자르기 1 작업에서 관절가동범위의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팔꿈치 관절은 감기 작업에서, 손목부위 관절은 휘기 1 작업에서 가장 큰 관절가동 범위를 나타냈다(P < 0.001). 수행된 꽃꽂이 작업에 따라 상지 근육의 부위별 근육 활성도는 다양한 변화를 보였으며, 한 가지 작업에 대해 여러 부위의 근육들이 동시에 사용되었다(P < 0.001). 또한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는 작업일지라도 재료의 굵기나 길이에 따라 관절가동범위와 근수축의 차이가 나타났다(P < 0.001).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해 실시된 꽃꽂이 작업을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어깨, 팔꿈치, 손목관절)의 가동범위와 장악력 및 전반적인 상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꽃꽂이의 주요 작업을 이용하여 특정 신체부위의 기능향상이 필요한 대상자의 재활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제 재활환자의 상태에 따라 효율적인 맞춤형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