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mptom indicator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1초

감자 '추백' 에 발생한 Tobacco mosaic virus 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obacco mosaic virus Isolated fromSolanum tuberosum ‘Chubak’ in Korea)

  • 김정수;김재현;최국선;채수영;김현란;정봉남;최용문
    • 식물병연구
    • /
    • 제9권2호
    • /
    • pp.89-93
    • /
    • 2003
  • 남해지역의 원원종 종서 생산 포장에서 '추백' 품종에 나타난 엽맥투명 및 매우 약한 모자이크 증상을 나타내는 감자 잎에서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MV)를 분리하였다. 이 바이러스((TMV-St))는 생물학적, 혈청학적 유연관계 및 외피단백질의 염기서열 등을 통해 기존에 보고된 다른 tobamovires와 비교하였다. TMV-St는 5개의 지표식물 반응에서 토마토, 고추, 가지 등과 같은 가지과 작물에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는 TMV-U1, Pepper mild mottle virus(PMMoV) 및 Tomato mosaic virus(ToMV)와는 다른 기주 반응을 보였다. 특히 즙액접종에 의한 기주의 반응은 C.murale 접종엽과 상엽 모두에서 퇴록반점을 보였으며, C. murale, G. globosa, N.rustica 그리고 N. tabacum ce. Samsun nn 등 4가지 지표식물로 이들 바이러스 계통을 구분할 수 있었다. 혈청학적 검정에서 TMV-St는 TMV-U1, PMMoV 그리고 ToMV와의 반응에서 도두 뚜렷한 침강선을 형성하였다. TMV-St의 외피단백질은 477개의 염기서열로 되어 있으며, 이는 TMV-U1의 염기서열과 매우 유사하였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중증도 분류시 FEV1과 PEFR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FEV1 and PEFR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Severity in COPD Patients)

  • 신상열;윤재호;김순종;유광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5호
    • /
    • pp.507-514
    • /
    • 2005
  • 연구배경 : COPD환자에서 질환의 중증도, 치료 반응정도, 급성악화등을 평가하는데 $FEV_1$과 PEFR이 중요한 측정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COPD환자에서 PEFR과 $FEV_1$의 일치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아 PEFR 측정이 중증도 분류 검사로 사용이 가능한지는 모르는 상태이다. 방 법 : 2003년 9월부터 2004년 8월까지 건국대학교 병원호흡기 내과 외래에서 진료받은 COPD환자 125명을 대상으로 $FEV_1$과 PEFR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 : $FEV_1$ 예측치의 평균은 $56.98{\pm}18.21$이었고 PEFR 예측치의 평균은 $70{\pm}27.60$로 PEFR 예측치가 $FEV_1$ 예측치보다 13%정도 높게 측정 되었다. 두 검사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COPD환자들의 나이와 PEFR 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주관적 증상인 호흡 곤란과 PEFR 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COPD 환자들에서 PEFR 을 이용한 중증도 분류시 $FEV_1$에 비해 경한 쪽으로 분류되는 성향이 있으므로 증상이 심한 경우 중증도 분류 해석에 주의를 요해야 하겠다. COPD 환자들에서 중증도 분류가 확정된 경우 추적 관찰은 PEFR 값으로 $FEV_1$을 대체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은화연교탕(銀花連翹湯)을 투여한 기침 환자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ith Cough Treated with Eunhwayeongyo-tang)

  • 백현정;이범준;정승기;정희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61-977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treatment effects of Eunhwayeongyo-tang through retrospective chart reviews. We also check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pair of variables of the symptoms and curative rates of patients with cough. Methods: Thirty-three patients with cough who had satisfied the selection criteri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rough their basic medical records, nasal endoscopy, and questionnaires about cough on their first and second visits. The questionnaires used were "The questionnaire on clinical symptoms of cough & sputum", Leicester Cough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LCQ-K), Total Nasal Symptom Scores (TNSS), Visual Analog Scale (VAS), and "Cold-heat patterns". The improvement rate, calculated by "The questionnaire on clinical symptoms of cough & sputum" was considered to be clinically effective if reduction of symptoms scored more than 30%. The state of nasopharyngeal mucosa was assessed to categorize the cold-heat patterns of the upper respiratory tract and for diagnosis. Results: According to this study, cough and sputum improved by $57.22{\pm}37.76%$. Most patients (76%)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12.18{\pm}6.59days$ of taking Eunhwayeongyo-tang. The cure rates of 26 patients among the 33 patients were judged as effective. All the mean scores of the questionnaires and the anterior nasal cavity stat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on the patients' second visits. After $18.39{\pm}15.68days$, 30 patients were completely cured and ended treatment. The nasopharyngeal mucosa states of all patients were categorized as heat patterns. Conclusions: The conditions of the patients with nasopharyngiti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aking Eunhwayeongyo-tang. All of the patients had pharyngitis or rhinitis. The cold-heat pattern of nasopharyngeal mucosa was a significant indicator of upper respiratory inflammation diagnosis.

파프리카 과실에 괴사반점을 일으키는 Pepper mild mottle virus의 병원형 (A Pathotype of Pepper mild mottle virus Causing Necrotic Spot Symptoms in Paprika Fruit)

  • 최국선;최승국;조점덕;조인숙
    • 식물병연구
    • /
    • 제19권2호
    • /
    • pp.124-127
    • /
    • 2013
  • 시설재배단지에서 파프리카의 열매에 검은 괴저 반점 증상이 발생하였다. 이 증상주를 전자현미경, 지표식물 검정 및 RT-PCR 분석 결과, 원인 바이러스로 PMMoV로 동정되었다. 신엽에서 병징은 약한 모틀 증상, 과경과 과일에 검은 반점이 보였지만, 성숙한 잎에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PMMoV의 분리주들에 대한 Tobamovirus pathotype(P)의 판별 고추계통에 접종한 결과, 모두 $P_{1.2.3}$으로 확인되었다. 분리한 PMMoV를 건전 파프리카 유묘에 기계적 접종을 통하여 이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증명하였다. PMMoV 분리주들의 외피단백질 유전자의 상동성은 96-99%였다. $P_{1.2}$인 PMMoV-P2 분리주의 외피단백질 아미노산 배열 139번째가 Met인 반면, 파프리카 분리주 모두 이 위치가 Asn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은 파프리카에서 PMMoV pathotype $P_{1.2.3}$의 동정에 관한 우리나라 최초 보고이다.

측두하악장애증상자의 성격유형검사(MBTI) (Personality Type Test(MBTI) of Korean College Students with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박혜숙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1호
    • /
    • pp.25-37
    • /
    • 2011
  • 측두하악장애증상 및 기여요인과 성격유형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경기도 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199명(평균연령 $21.0{\pm}2.9$세, 남자 73명, 여자 126명)을 대상으로 MBTI 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내향성(I)이 외향성(E)보다, 감각형(S)이 직관형(N)보다, 사고형(T)이 감정형(F)보다, 인식형(P)이 판단형(J)보다 한 가지 이상의 주관적 측두하악장애증상을 가지고 있는 자의 비율 및 한가지 이상의 기여요인을 갖는 자의 기여요인 수 평균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2. ISTP와 ISFP는 다른 성격유형들에 비해 한 가지 이상의 주관적 측두하악장애증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비율과 한 가지 이상의 기여요인을 갖는 사람의 비율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내향성(I)이 외향성(E)보다, 감각형(S)이 직관형(N)보다, 감정형(F)이 사고형(T)보다, 판단형(J)이 인식형(P)보다 개구시 악관절부 동통 증상의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이악물기 습관과 스트레스는 내향성(I)이 외향성(E)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고(p<0.05), 껌 씹는 습관은 외향성(E)이 내향성 (I)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다(p<0.05). 5. 편측저작습관은 판단형(J)이 인식형(P)보다 높은 빈도를 보였다(p<0.05). 6. 성격이 느긋한 편이거나 보통인 경우보다는 예민한 편이거나 신경질적인 경우가 측두하악장애 증상수의 평균치가 높게 나타났다(p<0.001). 7. 보통 성격이 다른 성격들에 비해 기여요인 수의 평균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001). 결론적으로 측두하악장애는 개인의 성격과 관계가 있으므로 환자의 성격 유형을 고려한 상담과 교육의 활용이 측두하악 장애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표주박(Lagenaria leucantha var. gourda)에서 분리한 서브그룹 IB계통의 Cucumber mosaic virus (A Subgroup IB Isolate of Cucumber mosaic virus Isolated from Lagenaria leucantha var. gourda)

  • 오선미;홍진성;류기현;이긍표;최장경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54-258
    • /
    • 2009
  • 전형적인 모자이크 증상의 표주박(Lagenaria leucantha var. gourda)으로부터 CMV를 분리하고 Lag-CMV로 명명하였다. 표주박에서 분리한 Lag-CMV는 N. benthamiana에서 전신감염되어 전형적인 모자이크 증상을 나타내 대조로 공시한 CMV들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N. tabacum. cv. Xanthi nc에서 접종엽에 퇴록반점이 형성되는 점이 As-CMV와 유사하였으며, 접종엽에 무병징을 나타낸 Fny-CMV와 구분되었다. 또한 Fny-CMV에 감염된 오이와 쥬키니 호박은 매우 심한 모자이크 증상을 나타낸 반면, Lag-CMV와 As-CMV에 감염된 식물은 비교적 엷은 모자이크 병징이 발현되었다. 고추에서는 Fny-CMV와 As-CMV가 접종상엽에 모자이크 증상이 발현되으나, Lag-CMV는 무병징으로 감염되었다. Lag-CMV에 감염된 N. benthamiana로부터 추출한 dsRNA의 전기영동 패턴은 대조의 Fny-CMV나 As-CMV의 dsRNA와 종류 및 분자 크기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Lag-CMV에 감염된 N. benthamiana로부터 추출한 total RNA를 외피단백질 유전자와 IR 및 3' 비번역영역 일부를 포함하는 약 950 bp의 cDNA합성을 위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을 실시한 결과 약 950 bp의 cDNA가 검출되었다. 이 cDNA를 제한효소 EcoRI, HindIII, MspI, SalI 및 XhoI으로 처리한 후 RFLP분석을 실시한 결과, Lag-CMV의 RFLP패턴은 As-CMV와 일치하였다. 한편 이 cDNA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염기서열의 유사도는 As-CMV와 99.1%, Fny-CMV와는 94.5%였으며, 외피단백질의 아미노산서열 유사도는 As-CMV는 100%, Fny-CMV와 97.3%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부터 표주박에서 분리한 Lag-CMV는 As-CMV와 같은 서브그룹 IB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 복숭아에서 분리한 Prunus necrotic ringspot virus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runus necrotic ringspot virus Isolate from Peach in Korea)

  • 김현란;이신호;신일섭;김정희;조강희;허성;김정수;최용문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170-174
    • /
    • 2009
  • 국내의 복숭아 과수원 중에 충북 음성지역의 유명 품종에서 약한 모자이크증상 잎으로부터 Prunus necrotic ringspot virus (PNRSV)를 분리 동정하였다. 지표식물을 이용한 생물검정에서 Cucumis sativus의 접종 자엽에 원형모양의 반점이 관찰되었으며 상엽으로 전이되어 모자이크와 잎기형 증상을 나타내다가 고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종한 Chenopodium quinoa 접종엽과 상엽에도 모틀증상을 나타내었다. 목본 지표식물 Prunus persica GF305를 활용한 검정에서는 바이러스 감염된 줄기의 눈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지 3개월 후에 잎에 라인 패턴의 모자이크 증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인위접종한 Cucumis sativus 잎조직의 세포 검경에서 parenchyma cells과 plasmodesmata 내에 존재하는 구형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PNRSV의 외피단백질 유전자 분석을 위해 RT-PCR 진단 프라이머와 조건을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675bp 위치에서 특이적으로 증폭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증폭산물을 회수하여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기 보고된 4개의 PNRSV isolate와 93.9~94.7%의 유전적 상동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복숭아 과수원에서 분리한 바이러스주의 생물적 특성과 유전자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Ilarvirus에 속하는 PNRSV인 것으로 최종 동정하였다.

한랭 두드러기에 대한 한약 치료: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Cold Urticar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혜나;오정화;윤화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22-144
    • /
    • 202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cold urticaria. Methods : We search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reporting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for cold urticaria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s from their inception to September 2023. The results were summarized in tables. We assessed the risk of bias in included RCTs through Cochrane risk of bias tool and the data synthesis was conducted through RevMan version 5.4. Results : A total of 12 RCT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and all trials compared herbal medicine alone treatment(treatment group) with western medicine alone treatment(control group). The total effective rate(TER) of treatment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RR: 1.49, 95% CI: 1.38 to 1.62, p<0.00001, I2=65%).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except for 1 trial with different evaluation period, the TER of treatment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heterogeneity was very low(RR: 1.36, 95% CI: 1.26 to 1.47, p<0.00001, I2=0%). And when comparing 8 trials using the total symptom score(TSS) change index as an indicator of TER, the TER of treatment group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heterogeneity was very low(RR: 1.38, 95% CI: 1.26 to 1.51, p<0.00001, I2=0%). The treatment group showed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SS(MD: -2.51, 95% CI: -2.63 to -2.40, p<0.00001, I2=99%). The relapse rate of treatment group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RR: 0.19, 95% CI: 0.10 to 0.40, p<0.00001, I2=0%). Mild adverse events such as sleepiness, dizziness were reported in control group and gastric discomfort was reported in treatment group. In the risk of bias assessment, many cases were evaluated as 'Unclear risk'. Conclusions : This review found that herbal medicine alone treatment could more effective and safe than western medicine alone treatment for cold urticaria. But further well-designed researches are needed because of heterogeneity between trials and the quality of the included trials.

Strategies for Managing Dementia Patients through Improving Oral Health and Occlusal Rehabilitation: A Review and Meta-analysis

  • Yeon-Hee Lee;Sung-Woo Lee;Hak Young Rhee;Min Kyu Sim;Su-Jin Jeong;Chang Won Wo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28-148
    • /
    • 2023
  • Dementia is an umbrella term that describes the loss of thinking, memory, attention, logical reasoning, and other mental abilities to the extent that it interferes with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More than 50 million individuals worldwide live with dementia,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o 131 million by 2050.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poor oral health increases the risk of dementia, while oral health declines with cognitive decline. In this narrative review, the literature wa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dementia and oral health have a close relationship, and appropriate oral health and occlusal rehabilitation treatmen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dementia and prevent progression. We conducted a literature search in PubMed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using the search terms "dementia," "major neurocognitive disorder," "dentition," "occlusion," "tooth loss," "dental prosthesis," "dental implant," and "occlusal rehabilitation" in the title field over the past 30 years. A total of 131 studies that scientifically addressed dementia, oral health, and/or oral rehabilitation were included. In a meta-analysis, the random effect model demonstrated significant tooth loss increasing the dementia risk 3.64-fold (pooled odds ratio=3.64, 95% confidence interval [2.50~5.32], P-value=0.0348). Tooth loss can be an important indicator of cognitive function decline. As the number of missing teeth increases, the risk of dementia increases. Loss of teeth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ascending information to the brain and reduced masticatory ability, cerebral blood flow, and psychological atrophy. Oral microbiome dysbiosis and migration of key bacterial species to the brain can also cause dementia. Additionally, inflammation in the oral cavity affects the inflammatory response of the brain and the complete body. Conversely, proper oral hygiene management, the placement of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to replace lost teeth, and the restoration of masticatory function can inhibit symptom progression in patients with dementia. Therefore, improving oral health can prevent dementia progress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Satellite RNA 보유 Cucumber mosaic virus(CMV)의 고추 CMV병에 대한 교차방어 효과 (Cross-Protection Effectiveness of Cucumber mosaic virus (CMV) Isolates Associated with Satellite RNA for Prevention of CMV Disease in Pepper Plants)

  • 최장경;성미영;정혜진;홍진성;이상용
    • 식물병연구
    • /
    • 제7권3호
    • /
    • pp.155-163
    • /
    • 2001
  • 기주반응 실험을 통하여 무병징 또는 엷은 병징을 발현하는 satRNA 보유 Paf-CMV 및 Rs2-CMV를 고추 CMV병의 방제를 위한 약독바이러스로 공시하여 교차방어효과를 검정하였다. 공시한 satRNA-CMV는 모두 agar gel diffusion test에서 강독계로 공시한 Mf-CMV의 항원과 융합하는 침강선을 나타내 subgroup I의 혈청 형으로 판단되었다. 이들 약독계 satRNA-CMV의 물리적성질은 내희석성이 $10^{-4}$으로, 강독계 Mf-CMV나 satRNA를 보유하고 있는 Ap-CMV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내열성 및 내보존성 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시한 satRNA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Rs2-satRNA는 335염기, Ap-satRNA 347염기, Paf-satNA 386염기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염기서열을 이미 보고된 Y-CMV의 satRNA와 비교한 결과, 양 말단 영역 특히 5'말단으로부터 80염기 및 3'말단으로부터 174염기는 안정된 conserved sequence를 나타냈다. 그러나 중간영역의 염기서열에서는 .많은 변이를 나타냈고, 특히 병징과 관련된 domain으로 보고된 영역에서 Paf-satRNA의 염기서열은 다른 계통의 satRNA에 비하여 많은 차이를 보였다. 각 satRNA의 cDNA로부터 전사시킨 transcript RNA를 Mf-CMV의 게놈RNA와 혼합하여 고추에 접종한 결과, 본래의 각 satRNA-CMV를 접종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Paf-satRNA 및 Rs2-satRNA의 transcript 와 혼합한 Mf-CMV에 감염된 고추의 병징이 약하게 발현되었다. 선발된 약독CMV의 강독계 바이러스에 대한 교차방어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Paf-CMV 및 Rs2-CMV를 접종한 고추와 담배에 강독 Mf-CMV를 challenge한 후 교차방어 지속효과를 검정한 결과, Paf-CMV를 접종한 고추와 담배는 모두 Mf-CMV를 challenge 접종한 3주후까지 병징이 발현되지 않았으나, Rs2-CMV를 접종한 식물은 challenge 2주 후에 약 반수의 개체에서 강독계 병징이 발현되었다. 또한 challenge바이러스의 농도별 교차방어효과에서도 Paf-CMV를 접종한 고추에 정제한 Mf-CMV를 0.2 mg/ml 이하의 농도로 challenge한 경우, 접종 30일이 되었을 때까지 병징이 발현되지 않았으나, Rs2-CMV에서는 일부의 개체에서 병징이 발현되어 강독계에 대한 교차방어의 효과가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고추의 유묘에 약독CMV를 접종한 다음, 포장에 재배하면서 바이러스병징이 발현되는 개체를 조사한 결과, 약독 CMV접종 30-60일 후에 Paf-CMV 접종구에서 1.8-6.4%, Rs2-CMV 접종구에서 8.2-18.3%그리고 무접종구에서 2.7-47.2%의 바이러스병징이 발현됨으로서 Paf-CMV의 강독계 CMV의 감염에 대한 교차방어효과가 안정되고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