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eet pepper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1초

GC-ECD를 이용한 flutianil 잔류량 분석법 개발 및 확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Flutianil Residue Identification Using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ion)

  • 권지은;도정아;박혜진;이지영;조윤제;오재호;이규식;이상재;장문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12
    • /
    • 2014
  • Flutianil은 흰가루병에 높은 방제효과를 가지는 thiazolidine계 살균제로서 고추, 피망, 오이, 참외에 대해 flutianil의 사용등록이 신청됨에 따라 농산물 중 flutianil 잔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법을 개발하였다. Flutianil 잔류물은 acetonitrile로 추출하여 포화식염수와 dichloromethane을 이용한 액-액분배과정을 수행하였고, silica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clean-up을 실시한 후 GC-ECD를 통해 기기분석을 수행하였으며, GC-MS로 재확인하였다. flutianil 표준품의 직선성은 상관계수($R^2$)가 0.999이상으로 우수하였고 고추, 피망, 감귤, 감자, 현미, 대두에 대한 flutianil의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76.5-108.0%의 범위로 10% 미만의 표준오차를 나타내었으며, 분석법의 검출한계는 0.004 mg/kg, 정량한계 0.02 mg/kg이었다. 이는 코덱스 가이드라인(CAC/GL 40)인 회수율 70-120%, 분석오차 10 미만에 적합함을 보여주어 분석법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flutianil 분석을 위한 신속, 정확한 시험법으로, 국내에서 유통되는 농산물 중 flutianil 잔류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전라북도지방(全羅北道地方) 전통(傳統)고추장의 제법조사(製法調査)와 성분(成分) (Brewing Method and Composition of Traditional Kochuzang (Red Pepper Paste) in Junrabook-do Area)

  • 조한옥;김종군;이현자;강주훈;이택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1호
    • /
    • pp.21-28
    • /
    • 1981
  • 전북지방(全北地方)의 전통적(傳統的)인 재래식(在來式) 고추장의 제법(製法)을 조사(調査)하고 15종(15種)의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성분분석(成分分析)과 관능시험(官能試驗)으로 품질(品質)을 평가(評價)하였다. 고추장용 메주는 주로 멥쌀과 콩츨 혼합(混合)하여 제조(製造)하고 고추장 담금비는 메주가루에 대한 찹쌀의 비율이 80% 이상(以上)으로 전분질원(澱粉質源)의 배합비(配合比)가 높고 고춧가루의 사용량(使用量)이 많은것이 특징(特徵)이다. 또 고추장의 맛을 좋게 하기 위(爲)하여 부원료(副原料)로 적량(適量)의 간장등(等 )을 첨가(添加)하여 주(主)로 자연숙성방법(自然熟成方法)으로 고추장을 제조(製造)하고 있다. 고추장의 성분(成分)은 식염(食鹽)과 아미노질소(窒素) 함량(含量)이 낮고 총당(總糖), 환원당(還元糖)과 ethyl alcohol 함량(含量)이 대체(大體)로 높으며 효소력(酵素力)은 미약(微弱)한 편이었다. 관능시험결과(官能試驗結果) 선정(選定)된 5종(5種)의 우량(優良)고추장은 달고 매운맛이 강(强)하고 메주취(臭)나 납두취(納豆臭)가 거의 없는 alcohol성(性)의 향긋한 향기(香氣)와 윤기있는 붉은 색상(色相)의 고추장으로 감평(鑑評)되였다.

  • PDF

주요 농작물 생산과정에서의 탄소배출량 산정 및 무기화학비료의 기여도 분석 (Estimation of Carbon Footprint for Production of Main Crops and Contribution Analysis of Inorganic Chemical Fertilizers)

  • 정순철;정재우;허진호;이덕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279-1285
    • /
    • 2011
  •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대표적인 농작물 47개의 탄소배출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농작물 생산 시 주요 요소로 투입되는 무기화학비료의 기여도 분석을 통하여 무기화학비료가 차지하는 탄소배출량을 정확하게 파악하였다. 농작물 중 시설감귤의 탄소배출량이 $5.78E+00kg\;CO_2\;eq.\;kg^{-1}$으로 47개 작물 중 가장 높았으며 시설포도 $4.61E+00kg\;CO_2\;eq.\;kg^{-1}$, 착색단고추 $4.34E+00kg\;CO_2\;eq.\;kg^{-1}$, 인삼 $4.23E+00kg\;CO_2\;eq.\;kg^{-1}$, 시설고추 $4.04E+00kg\;CO_2\;eq.\;kg^{-1}$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농작물 1 kg 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중 무기화학비료의 기여도는 생산단계, 사용단계를 모두 포함하여 평균 25.19%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의 정책, 정부 및 기업의 연구 개발을 통한 고품질 저탄소 비료 생산 보급과 같은 노력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식성 이리응애 4종의 담배가루이 알 포식능력 비교 평가 (Comparison on the Capability of Four Predatory Mites to Prey on the Eggs of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 김황용;이용휘;김정환;김용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29-433
    • /
    • 2008
  • 시설과채류(오이, 착색단고추, 토마토, 가지, 참외)의 잎 절편에서 지중해이리응애, 나팔이리응애, 오이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를 대상으로 담배가루이 알에 대한 포식능력과 산란능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의 일평균 담배가루이 알 포식량이 $9{\sim}12$개로 가장 많았으며, 나팔이리응애, 오이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가 각각 $6{\sim}9$개, $4{\sim}6$개, $1{\sim}4$개로 뒤를 이었다. 일평균 산란수도 지중해이리응애가 $1.2{\sim}1.9$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른 포식응애들은 0.5개를 넘지 않았다.

자루 재배용 배지의 종류와 $NO_3^-:NH_4^+$의 비율이 단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strates and the Ratios of $NO_3^- to NH_4^+$ in Nutrient Solution on Growth and Yield of Sweet Pepper(Capsicum annuum L) in Bag-Culture)

  • 김덕호;김영호;정헌재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82-87
    • /
    • 1998
  • 단고추의 자루재배에 의한 양액재배시 $NO_3$$^{-}$$NH_4$$^{+}$의 비율을 8:2와 10:0으로 하였을 때, 배지 종류에 따른 생육, 수량 및 무기성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지의 무기성분 중 P 및 Mg는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K는 펄라이트+버미큘라이트에서 높았다. 배지내 Ca의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8:2보다 10:0에서 배지내 무기성분의 농도가 높았다. 2. $NO_3$$^{-}$ : $NH_4$$^{+}$ 비율에 따른 양액의 pH 및 EC는 모든 배지에서 작물재배에 적합한 범위를 유지하였으며, pH는 10:0에서 더 안정적이었고, EC는 8:2에서 높게 유지되었다. 3. 초장과 경경은 배지에 따른 생육차가 없었으며, 옆면적은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생체중, 건물중 등은 피트모스+훈탄에서 무거웠다. 생육은 $NH_4$$^{+}$를 첨가한 8:2의 모든 배지에서 10:0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4. 8:2에서의 과수 및 수량은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17.53개와 1,5889으로 많았으며, 10:0에서의 과수는 버미큘라이트+왕겨에서 16.44개로, 수량은 필라이트+피트모스에서 1,394g으로 많았다. 8:2의 모든 배지에서 10:0에 비하여 과수, 수량, 평균과종, 과경, 과장 및 상품과율 등이 증가하였다. 5. 무기성분은 8:2와 10:0의 경우 $K^{+}$는 잎과 줄기에서, $Ca^{2+}$ 는 뿌리에서, $Mg^{2+}$ 는 잎에서 많았으며, $PO_4$$^{-}$ 는 과실과 줄기에서 많았다. 배지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K^{+}$, $Ca^{2+}$$Mg^{2+}$ 는10:0에서, $PO_4$$^{-}$ 는 8:2에서 각각 많았다.

  • PDF

대구피 젤라틴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조미간장의 제조 (Preparation of Imitation Sauce from Enzymatic Hydrolysate of Cod Skin Gelatin)

  • 김세권;안창범;강옥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70-475
    • /
    • 1993
  • 대구피 젤라틴을 효소적으로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가수분해물의 분자량 분포 및 아미노산 조성을 살펴보고 이 가수분해물을 이용해 조미간장을 제조하였고 그 품질을 시판 간장과 관능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은 5,800Da영역이 주종이었으며 분자량 1,100Da, 1,500Da및 2,700Da정도의 펩티드성 분자도 존재하였다. 아미노산은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glycine, proline, serine, alanine 및 hydroxypro-line)과 감칠맛, 신맛을 내는 아미노산(glutamic acid, aspartic acid)이 전체의 65.9%를 차지하고 있었다. 반면 쓴맛을 내는 아미노산(arginine, tyrosine, phenylala-nine, valine, leucine, methionine 및 histidine)은 전체의 26.65%에 불과하였다. 가수분해물 10.0g,식염 10.0g, 설탕 3.0g, MSG 0.5g, 카라멜분말 0.1g, 양조식초 3.0$m\ell$, 마늘분말 0.05g, 검은 후추분말 0.1g 및 감초분말 0.2g을 물 100.0$m\ell$에 용해하여 열처리한 다음 여과하여 얻어진 원액과 시판 양조간장을 8 : 2(v:v)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조미간장은 시판 3종류의 화학간장과 비교해 관능적으로 손색이 없었다.

  • PDF

대전지역 전업주부들의 학력수준에 따른 식품구매 실태조사 (Food purchase Behavior of Taejon Full Time Housewives with Different Education Levels)

  • 김경은;권순자;이선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9-108
    • /
    • 2001
  •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food-purchase behavior of 197 Taejon full time housewives 30 to 49 years of age. Food purchase was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and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s. Demographic data revealed that most of the households have three to five family members and that the Engel Indices of the participating households were mostly between 10 and 30%. Noticeable results of the food purchase assessment are as follows. In the grain and grain products items, the low-education group purchased more rice and barley than the high-education group, whereas the high-education group purchased more glutinous rice, brown rice, bread, macaronis and spaghetti than the low-education group. In the vegetable items, the low-education group purchased more Chinese cabbage and radish than the high-education group, while the high-education group purchased more head lettuce, broccoli and sweet pepper than the low-education group. In the meat items, the beef purchase was higher in the high-education than in the low-education group, while the pork purchase was higher in the low-education than in the high-education group . In the processed meat items, ham was the most favorite purchase item regardless of the education level. In the fish and shellfish items, Pacific cod and Alaska pollack were purchased more in the low-education than in the high-education group, and salmon and dried icefish strip were purchased more in the high-education than in the low-education group. No items in frui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chase amount between the low-education and the high-education group although the latter purchased more imported-fruits such as melons, kiwis, grapefruits, and oranges. Dairy products such as milk, cheese and butter were purchased more in the high-education than in the low-education group. It was also found that both the number of food items and the consumption of foods coming from animals were higher in the high-education than in the low-education group.

  • PDF

EFFECTS OF GAS EXHAUSTED FROM GASOLINE ENGINE ON PLANTS GROWN IN THE GREENHOUSE

  • Sugimoto, H.;Yamashita, J.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487-494
    • /
    • 1993
  • In order to establish a fully automatized pest control in the a greenhouse , the authors developed a prototype of microcomputer installed spraying vehicle which traveled along the furrows. Since a power sprayer mounted on the vehicle was driven by gasoline engine, plants grown in the greenhouse might be injured by the gas exhausted from the engine. Thus , effects of exhausted gas on photosynthetic rate and the shedding of flowers and buds of plants were examined. At first, effects of exhausted gas on photosynthetic rate of potted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and eggplant(Solanum melongena L.) plants were examined. In a closed vinyl house the engine was operated for 5 minutes and plants were exposed to the gas for 2hours in the daytime on a fine day. Photosynthetic rate did not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treatment in both species. Secondly, effects of ehtylene on the shedding of flowers and buds of sesame (Sesamum indicum L. ) were examined. In the closed and partiall opened vinyl house, the engine was operated for 5 minutes and potted sesame plants were exposed to the gas for 12 hours in the night. In partially opened vinyl house, ethylene concentration decreased to 0 ppm 3 hours after the engine was stopped and flower and bud did not shed. In contrast, when vinyl house was closed ethylene concentration was 0.75 pm even 12 hours after the engine was stopped and flowers and buds shed markedly and epinasty was observed in upper young leaves. As mentioned above , it was revealed that injury of plants in the greenhouse caused by the gas exhausted from a gasoline engine could be prevented by providing suitable ventilation.

  • PDF

2000년 농작물 병해 발생 개황 (Review of Disease Incidence of Major Crops in 2000)

  • 김충회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1
    • /
    • 2001
  • 2000년 기상의 특징은 봄철의 극심한 가뭄과 여름철의 이상고온 및 저온현상, 장마기 두차례의 태풍 및 가을철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로 요약된다. 벼는 전년에 비해 잎 이삭도열병이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세균성벼알마름병, 깨씨무늬병이 전국적으로 발생하여 문제시되었다. 고추는 역병과 탄저병이 생육후기에 심하게 발생하여 큰 피해를 가져왔으며 토마토는 일부지역에서 시들음병이, 오이, 수박은 CGMMV, 흰가루병, 급성위조증상, 딸기는 흰가루병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마늘은 파종기의 잦은 강우와 겨울철의 많은 강설로 흑색썩음균핵병이 대발생하였고, 봄감자는 가뭄에 의하여 바이러스병이, 가을감자는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로 무름병, 풋마름병이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고구마는 여느해와 마찬가지로 덩굴쪼김병의 발생이 심하였다. 사과 배의 병해는 예년에 비해 발생이 경미하였고 맥류의 붉은곰팡이병은 봄철의 가뭄으로 발생이 거의 없었다.

  • PDF

가임기 여성의 주요 엽산급원식품 및 동 식품의 엽산함량 분석 (Major Foods for folate and Their Folate Contents of Korean Child-bearing Women)

  • 진현옥;임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158
    • /
    • 2001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major foods and food groups which contributed to the intake of folate in korean child-bearing women. Folate content of the major foods was also analyzed. A total of 91 healthy women with childbearing potential participated. They were divided into one of three groups by age; A (15∼24 yrs), B(25∼34 yrs) and C (35∼49 yrs). Food consumption data of the subjects were obtained by the 24-hr recall method. The rate of contribution of each food to the total intake of dietary folate was determined. Seventy major foods for folate were selected from the 178 foods they consumed. Two sets of the 70 foods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markets. After extracting folates from the foods by heating with a HEPES-CHES buffer, the samples were treated with α-amylase, protease and folate intakes was Korean cabbage kimchi followed by laver, soybean sprout, rice, yolmu kimchi, eggs, lettuce, perilla leaves, sea mustard and radish root. Food items that contributed to folate intake were slightly different among the age groups. Although the folate content of Korean cabbage kimchi was 51.6 ㎍/100g, but due to the high amount of intake, it was ranked the first major food prviding folate. High folate foods containing over 100㎍/100g were laver, corn flakes, spinach, mungbean, sesame, quail's eggs, small radish kimchi, kidney beans, leeks and peanuts. However, based on the serving size, spinach, corn flakes, leeks, sweet potato, pepper leaves, quail's eggs, crown daisy, small radish kimchi and perilla leaves contributed above 50㎍ of folate per serving siz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