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uweon 19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초

들깨종자의 성숙과정중 지방질의 변화 (Changes' of lipids during maturation of perilla seed(Perilla frutescens))

  • 민용규;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3호
    • /
    • pp.139-145
    • /
    • 1992
  • 들깨종자의 지방질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원 10호와 제주의 두 품종을 시료로 하여 성숙과정중에 지방질의 구성성분과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테르추출 지방질 함량은 성숙됨에 따라 크게 증가하여 완숙종자에는 수원 10호가 46.3%, 제주가 24.0% 이었다. 완숙종자로부터 추출한 에테르추출 지방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으로는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이 $9.4{\sim}18.2%$, 스테아르산이 $2.2{\sim}5.1%$ 이었고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이 $19.1{\sim}32.7%$, 리놀레산이 $12.4{\sim}15.3%$, 리놀렌산이 $30.6{\sim}54.1%$여서 불포화지방산이 많았다. 그러나 성숙후기에는 반대로 포화지방산이 불포화지방산보다 많았는데 이 경향은 제주에 비하여 수원10호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종자의 성숙중 중성지방질은 증가하였다. 완숙종자의 지방질을 구성하는 중성지방질은 수원 10호는 70.1% 였으며, 제주에서는 51.5% 들어 있었다. 에테르추출중성지방질의 주요 구성성분은 트리글리세리드, 유리지방산 및 디글리세리드였으며 특히 트리글리세리드는 성숙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여 완숙종자에는 수원 10호가 61.4%, 제주가 68.2% 이었다.

  • PDF

들깨종자의 성숙과정중 당지방질과 인지방질의 변화 (Changes' of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during maturation of perilla seed(Perilla frutescens))

  • 민용규;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3호
    • /
    • pp.146-151
    • /
    • 1992
  • 들깨종자의 지방질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원 10호와 제주의 두 품종을 시료로 하여 성숙과정중에 지방질의 구성성분과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자의 성숙중당 및 인지방질은 감소하였다. 완숙종자의 지방질을 구성하는 당, 인지방질은 수원 10호에는 25.4%, 4.5% 들어 있었고 제주에서는 44.5% 및 4.0% 들어 있었다. 에테르추출 당지방질의 주요성분은 세레브로시드, 갈락토실 디글리세리드 및 모노갈락토실 디글리세리드였다. 완숙 종자의 에테르추출 당지방질의 주요구성 지방산은 수원 10호가 리놀렌산이 51.1%로 올레산 19.4%보다 많았으나 제주는 올레산이 31.1%로서 리놀렌산 18.6%보다 많았다. 인지방질의 주요성분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이었으며 그중 포스파티딜 글리세롤의 변화는 제주에서는 불규칙하나 수원 10호에서는 성숙기간에 따라 증가되었다가 후기에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메탄올추출 인지방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올레산이 $28.7{\sim}35.2%$ 리놀렌산 $8.2{\sim}11.2%$, 리놀레산 $16.4{\sim}32.5%$ 및 팔미트산 $22.7{\sim}29.9%$ 범위에 있었다.

  • PDF

애멸구에 대한 벼의 품종저항성에 관한 연구(VI) (Studies on the Varietal Resistance of Rice to the Smaller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IV))

  • 최승윤;송유한;박중수;최광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6
    • /
    • 1974
  • IRRI에서 선발된 Indica형 벼, IR 667계통에서 유내한 벼 및 Japonica형 국내장려품종을 공시하여 애멸구에 대한 저항성정도를 검정하고 나아가 내충성 기작으로 간주되는 식이선호성, 산란선호성 및 항충성(Antibiosis)을 시험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RRI에서 선발된 19개 Indica형 벼품종 중 저항성반응을 보인 것은 H 105, Muthumanikam, Vellailangalayan, Karsamba Red ASD-7, Manavari Co 22, Mudgo, PTB-18, IR-18 및 IR 20 등 9개 품종이었고 TKM-6은 중도저항성(MR)이었으며 그밖에 것은 모다 감수성으로 나타났다. 국내재료중 IR 667에서 유래한 벼는 저항성반응을 보였으나 Japonica형 5개 장려품종은 모두 감수성반응을 나타내었다. 2. 저항성품종 ASD-7과 감수성품종 Jinheung(진흥)에 대한 식이선호성은 감수성품종에서 높고 저항성품종에서 낮았는데 접종 72특간후 Jinheung과 ASD-7 두 품종에 대한 선호율은 각각 $88.6\%$$11.4\%$이었다. 3. 저항성품종 ASD-7과 감수성품종 Jinheung에 대한 산난선호성은 식이선호성과는 달러 저항성품종에서 높고 감수성품종에서 비교적 낮았는데 두 품종에 대한 산난비율은 저항성품종에서 $58.6\%$, 감수성품종에서 $41.4\%$이었다. 4. 저항성품종에서는 약충의 사충율이 높았고 우화율이 낮았으며 반대로감수성품종에서는 약충의 사충율이 ?았고 우화율이 비교적 높았다.저항성반응을 보인 품종종에서도 IRRI 선발품종들은 $84\%$ 이상의 사충율을 보였으나 IR 667에서 유래한 Suweon 213-1(통일품종)은 $48\%$ Suweon 214$62\%$의 비교적 낮은 사충율을 보여 저항성품종이라도 항충성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애멸구에 대한 저항성품종은 Indica형 벼 품종에서 상당수를 찾아 볼 수 있었으며 그들 저항성품종의 내충성 기작은 우선 비식이선호성(Non-feeding preference)과 항충성이 관계하고 산란선호성은 관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수도의 저온장해에 관한 생리 생태학적 연구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the Low Temperature Damages of Rice (Oryza sativia L.))

  • 오윤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1
    • /
    • 1981
  • 수도품종들의 저온에 대한 생리생태적 반응특성을 구명하여 내냉성 품종육성과 냉해를 경감 수 있는 재배법개선기술을 확립하고저 1975년부터 1980년에 걸처서, 유일형과 일본형 및 인도형 품종들을 공시하여 그들의 생육시기별 시비조건별 저온반응의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저온처리를 작물시험장 인공기상실에서 그러고 저수온처리에 관한 시험을 작물시험장 춘천출장소 냉수시험지에서 수행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5\circ_C 저온하에서 70% 이상의 실용적 발아율 얻을 수 있는 기간은 일본형품종들은 15\circ_C에서 10 일간, 통일형품종들은 15 일간이었다. 통일형품종들의 저온발아성 검정은 저온에서 장기간 실시하는 것 보다 16\circ_C에서 6일간 치상하는 것이 적당하였다. 2. 유묘의 저온저항성은 3.0~3.5 엽기묘가 가장 낮고 묘영이 진전됨에 따라 점차 높아켰으며 3엽기와 6엽기의 저온저항성간에 는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다. 3. 주ㆍ야 15~10\circ_C온도에서는 일본형 및 통일형 품종 모두 42일 처리정도에서 식물체가 고사하고 20~15\circ_C에서는 일본형 품종은 분벽이 잘 이루어지나 통일형품종은 약관 억제되며 25~15\circ_C에서는 양품종군 모두 분벽이 촉진되었다. 그러나 초장신장 속도는 저온일 수록 저하되었다. 4. 이삭의 지경 및 영화분화는 출수전 30일부터 출수기까지 주ㆍ야 25~20\circ_C처리와 30~25\circ_C 처리시에는 모든 품종에서 잘 이루어졌으나 20~15\circ_C 처리구에서는 통일형품종은 지경 및 영화 분화수화수가 전자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일본형품종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이삭의 추출은 억제되었다. 5. 저기온에 의한 출종지연은 감수분열기에 저온처리한 것이 분얼최성기에 저온처리한 것 보다도 1~3일 이 지연되였으며 같은 시기에서는 저온처리 일수가 길수록 출수지연도가 컸다. 6. 벼 생육기간별로 17\circ_C냉수를 10일간 처리한 경우에 출수지연도는 분얼기 > 감수분열기 > 수잉기의 순이였고 품종별로는 수원26004 > 수원23005 > Lengkwang의 순이있다 냉수처리에 의한 출수지연도는 간장단축률 및 불임율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7. 감수분열기의 저기온(15\circ_C)과 고기온(25\circ_C)처리는 고기온(25\circ_C)과 저기온(17\circ_C) 처리보다 간장단축율이 켰으며 이삭 추출도도 낮았고 장간종인 Lengkwang은 단간종인 수원26004에 비하여 저기온에서의 간장단축율이 낮은 경향이었다 이삭 추출도는 출수기에 저온처리를 하였을 때 가장 낮았으며 통일형품종은 일본형품종보다 이삭 추출도가 현저히 낮았고 저온에 의하여 간장단축도 심한 품종은 이삭 추출도도 매우 낮았으며 이들 간에는 고도의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다. 8. 분벽기의 냉수처리는 수수를 증대시키고 감수분열기의 냉수처리는 수수를 감소시켰다. 생육시기별로 냉수처리시기가 빠를수록 간장단축율이 크고 이삭 추출도도 낮아졌다. 9. 감수분열기의 17\circ_C 저온처리에 의한 불임유발은 3일간 처리로서는 크게 나타나지 않으나 9 일간처리에서는 심하게 나타났으며 수원26004와 밀양4002가 저온처리에서 불임율이 가장 낮았다. 저온처리가 임실장해를 가장 크게 유발한 것은 출수전 15일부터 출수전 5일까지 사이의 처리였으며 일본형인 진흥은 통일형인 통일, 수원26004보다 임실장해가 현저히 적었다. 그러나 감수분열기의 저온처리에 의한 임실장해정도와 출수기의 저온처리에 의한 임실장해정도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또한 저온에 의하여 이삭 추출도가 낮거나 간장단축율이 큰 품종은 임실율도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10. 냉수처리에 의한 임실장해는 감수분열기처리(엽이간장-15~10cm)에서 가장 크고 품종별로는 수원26004, 조생통일 > 농백, Towada > 저온저항성이 강한 Lengkwang순이었다. 냉수처리시의 수심과 유수의 위치는 임실비율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수심이 20~40cm로서 유수의 위치가 물속에 있면 수원26004는 불임율이 높았고 유수의 위치가 물위에 있었던 Lengkwang은 불임율이 낮았다. 11. 수전기에 3 일간 15\circ_C의 저온처리를 한 경우 등숙에 큰 영향이 없었으나 6 일간 처리한 경우에는 수원287호와 수원 26004만이 60% 이하의 임실율을 보였으며 9 일간 처리한 경우에는 모든 품종에서 임실율이 60^ 이하로 떨어겼다. 그러나 출수 10일 후부터 17\circ_C로 20일간 처리한 경우에는 등숙장해가 크지 않았다. 12. 질소, 인산, 가리, 칼슘, 마그네지움 및 아연등의 양분흡수는 19$^{\circ}C$ $\pm$ 5보다 $25^{\circ}C$ $\pm$ 5에서 흡수가 증대되었으나 망간은 반대로 평균 25\circ_C보다 19$^{\circ}C$에서 흡수가 더욱 많았다. 13. 냉수답에서 질소, 인산, 규산 및 퇴비시용은 분벽 및 수수를 증가시키고 임실율을 향상시키며 수량을 증대시켰다.

  • PDF

Silage용 옥수수의 품종별 생산성 비교 I. Silage용 옥수수의 생육 특성 및 부위별 건물생산성 (Comparison of Productivity of Various Silage Corn Varieties I. Growth chara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different part of silage corns)

  • 김병호;문여황;신정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8-184
    • /
    • 1992
  • Five varieties of silage corn were cultivated to compar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Corn varieties were Pioneer 3144(P 3144), 3160(P 3160), 3282(P 3282), 3352(P 3352) and Suweon 19 (S 19). The corns were seeded on May 2 and harvested on August 15, and measured the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stem diameter, and yields of fresh and dry matte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Plant height of P 3352 and P 3144 grown about 280cm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was the tallest(P<.Ol), and those of P 3160, P 3282 and Suweon 19 ranged from 246.3 to 256.0 cm. 2. Leaf length is the longest in P 3352 and the shortest in P 3282(97.63cm vs 84.17cm), and there was significant(P<.Ol) difference between corn varieties. 3. Stem diameter was the longest in P 3144 and the shortest(P<.Ol) in P 3352(3.28cm vs 2.66cm). 4. P 3144, P 3282 and P 3352 had the greatest(P<.Ol) fresh matter yields per 10a in leaf, stem, and ear and whole plant, respectively. 5. Dry matter yield of P 3282 was the greatest(P<.Ol) in stem(1,080.6 kg/lOa) and leaf(304.5 kg/lOa), and that of P 3352 was the greatest in ear(864.1 kg/lOa) and whole plant yield(2,021 kg/lOa). 6. Ratios of respective part of corn to total dry matter were ranged from 12.7 to 17.8 76 for leaf, 44.5 to 66.9% for stem and husks, and 16.9 to 42.8 % for ear, and the highest in P 3160, P 3160 and P 3352, respectively. Consequently, P 3352, P 3144 and P 3282 shown high productivity in dry matter yield could be recommended as a reliable corn varieties for silage.

  • PDF

Silage용 옥수수의 품종별 생산성 비교 Il. 옥수수 부위별 조성분 함량 및 영양소 생산성 (Comparison of Productivity of Various Silage Corn Varieties II.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ent yield of different part of silage corns)

  • 김병호;문여황;신정남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5-192
    • /
    • 1992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roductivity of five silage corn varieties. Corn varieties were Pioneer 3144(P 3144), 3160(P 3160), 3282(P 3282), 3352(P 3352) and Suweon 19(S 19) and were seeded on May 2 and harvested on August 15. Ratios of stalk, leaf and ear, chemical composition and yields of nutrients were investigated in respective corn part. Experimental design was accepted by Latin square arrangement with five replicates and each plot had twenty two plant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Crude portein, crude ash and nitrogen free extract(NFE) contents of whole plant ranged from 6.32 to 7.18%, 5.16 to 7.43% and 52.62 to 57.90%,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P>.Ol) differences between varieties. Crude protein and NFE content were the highest in ear between corn parts. 2. Crude fiber conent of whole plant ranged from 18.98 % to 24.01 %, and was the highest in suweon 19 and the lowest in P 3352(P<.01). Crude fiber content was the highest in stem and the lowest in ear, However, crude fat content(2.03-3.66 %) vice versa. 3. Yields of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crude fat, NFE and TDN per 10a were the greatest(P< .01) in P 3282, however crude fiber yield was the highest(P<.Ol) in P 3352. 4. Ratios of different part to total dry matter yield ranged from 12.7 %(P 3352) to 17.8 %(P 3160) for leaf, 44.5(P 3352) to 66.9 %(P 3160) for stem and husks, and 16.9 %(P 3282) to 42.8 %(P 3352) for ea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rn varieties(P<.Ol). Consequently, P 3352 has the greatest nutrient yields, particularly by ear, and P 3282 has a great nutrient yield by stem. This result suggested that could be appear a better character of silage corn by hybridization of this two corn varieties.

  • PDF

중.북부 및 제주지역에 적합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우량품종 평가 (Ecaluation of Early Maturing and Superior Performance Corn Hybrids for Silage in the Central North and Cheju Regions)

  • 김동암;고서봉;권찬호;김문철;한건준;김종덕;이광녕;신동은;김종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3-328
    • /
    • 1997
  • Com(Zea mays L.) hybrid is recognized as the principal cmp in a double-cmpping system. Rye(Secale cereale L.), seeded after corn hybrid harvest, is the second crop in the system. Under this forage production system, corn planting is mostly delayed beyond mid-May due to delayed rye harvest on May, but the corn should be harvested until mid-August before the autumn rain started. It is for this reason that early maturing corn hybrids are preferred for silage crops in this system. Twenty eight cultivars of early maturing corn hybrids evaluated in this experiment at three locations (Suweon, Sunghwan and Cheju) for 3 yr(1994-1996) were compared for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yield and quality. Among the com hybrids tested, DUO1 and GL499 were recommended as the government superior corn hybrids due to their promising agronomic traits, such as short plant and ear heights, adquate dry matter percentage for silage on mid-August, good staygreen along with good lodging and disease resistance, better ear retention, similar yield compared to the control hybrid, Suweon 19 and above average stover quality.

  • PDF

목초 및 사료작물 정부장려품종의 지역적응성 평가 2.. 유채품종의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 (Evaluaton of the Government Recommended Forage Cultivars in Korea 2.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of rape)

  • 김동암;신정남;최기춘;권찬호;금종성;민두홍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1-238
    • /
    • 1997
  • Six rape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cultivars have been recommended as the government recommended forage cultivars since 1984, however, the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have been mostly tested at two locations, such as Suweon in the Middle Northwestern Coast Region and Sunghwan in the Middle Southwestern Coast Reg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retest the forage performance and quality of already recommended four government rape cultivars at five scattered locations, such as Icheon, Suweon, Sunghwan, Keongsan and Kwangju fiom 1992 to 1994 with the intention of improving recommendations to dairy farmers. Among the rape cultivars tested, 'Bamapoli' and 'Sparta' (including 'Ramon' at Kwangju) gave the highest yields at all locations in 1992-94, whereas 'Akela' had the lowest yield. Mean plant heights varied fiom 50 to 69cm and 'Bamapoli' was the tallest rape, followed by 'Sparta', 'Ramon' and 'Akela' at all locations. Mean ADF contents for rape cultivars ranged fiom 16.7% for 'Akela' to 19.3% for 'Bamapoli', while mean NDF contents ranged fiom 22.3% for 'Akela' to 24.9% for 'Bamapoli'. The government recommended rape cultivars tested were generally well adapted across the country, however, in forage production situations in the fall where high yield is more important, 'Bamapoli', 'Sparta' and 'Ramon' might be preferable.

  • PDF

질소시비와 제식밀도가 Silage 옥수수의 제형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LeVel and Plant Populationon agronomic Chracterisitics and yield I silage Corn)

  • 강정훈;이호진;박병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4-48
    • /
    • 1986
  • 사일리지 옥수수의 적정(滴定) 질소시비(窒素施肥) 수준(水準)과 재식밀도(栽植密度)를 알아보고자 1981년(年) 부터 1982년(年) 까지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사료포(飼料圃)에서 단교잡종(單交雜種) 수원(水原) 19호(號)를 가지고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하면 웅수출현기(雄穗出現期)와 간장(稈長)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착수고(着穗高)는 다소 낮아지고 경(莖)의 직경(直徑)은 굵어지며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와 도복율(倒伏率)은 높아졌다. 2. 밀식(密植)하면 웅수출현기(雄穗出現期)는 늦어지고 간장(稈長)은 짧아지나 착수고(着穗高)는 높아지며 경(莖)의 직경(直徑)은 가늘어지고 엽면적지수(葉面積指數)와 도복율(倒伏率)은 증가(增加)되었다. 3.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하면 결주율(缺株率)이 높아지고 밀식(密植)하면 불임율(不姙率)이 높아져 종실수량(種實收量)은 10a당(當) 질소(窒素) 10kg, 재식본수(栽植本數) 5,550본(本)에서 많았다. 4. 전가소화(全可消化) 건물수량(乾物收量) 역시 10a당 질소(窒素) 10kg, 재식본수(栽植本數) 5,550 본(本)에서 많았다.

  • PDF

흑조위축병에 나병된 옥수수의 형질변화와 사료가치 (Agronomic Characters and Feed Value of Corn Infected by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 이석순;이진모;최상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29-235
    • /
    • 1988
  • 옥수수 흑조위축병 발생이 심한 남부 지방에서 나병성인 수원 19호와 포장저항성인 진주옥을 공시하여 흑조위축병 나병정도가 옥수수의 여러 가지 재배 형질, 사료가치 및 무기양분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교잡종 모두 흑조위축병에 100%나병되었으나 간장의 단축정도는 수원 19호가 진주옥보다 더 심하였고, 개체별 간장과 담근먹이 무게 사이에는 정의 상관이 있었다. 2. 간장이 단축될 경우 두 교잡종 모두 상위 5마디의 절간장이 크게 단축되었다. 그러나, 간장단축이 심할 경우에도 수원 19호는 마디수가 감소되지 아니했으나 진주옥은 마디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3. 간장이 단축될수록 두 교잡종 모두 자수착생주율, 평균자수중, 자수당립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같은 정도로 간장이 단축될 경우 자수착생주율은 진주옥이 수원 19호보다 더 높았다. 100립중은 수원 19호는 간장이 작을수록 감소하였으나 진주옥은 간장과 상관없이 일정하였다. 4. 간장이 단축될수록 두 교잡종 모두 담근먹이의 조단백질과 조섬유 함량은 증가하였고, 조지방은 차이가 없었으며, 가용성 무질소물은 감소하였다. 5. 간장이 단축될수록 간+엽초와 전식물체의 N, P, K, Mg의 농도는 증가하였으나 엽신 및 자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엽신의 Ca농도는 간장이 단축될수록 감소하였고, 간+엽초와 전식물체의 Ca은 증가하였으며, 자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