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veying system

검색결과 1,479건 처리시간 0.033초

토마토 코이어 자루재배시 적정 급액마감시각 구명 (Appropriate Daily Last Irrigation Time in Coir Bag Culture for Tomato)

  • 김성은;심상연;이문행;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19
    • /
    • 2012
  • 코이어 자루재배시 일중 급액마감시각을 달리함으로써 최적 생장을 유지하면서도 용수이용효율(WUE)와 비료이용효율(FUE)를 높이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급액마감시각에 따라 일몰 1시간 전부터 4시간 전까지 4단계로 나누어 처리한 결과, 하루 동안의 배지 내 수분함량은 마감시각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급액마감시각이 빠를수록 일일 수분함량 변화폭이 컸다. 그러나 일일급액횟수는 급액마감시각의 영향이 크지 않았는데 이는 급액제어 시스템으로 배액전극 제어법을 사용한 것과 코이어 배지의 이화학적 특성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최종 생육은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상품과량은 일몰 2시간 전 처리에서 가장 많았고, 4시간 전 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급액마감시각 처리별 128일 동안의 급액량을 조사한 결과, WUE와 FUE는 일몰마감 4시간 전 처리에서 가장 낮았고, 2시간 전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식물생육, 수확량 및 WUE와 FUE 등의 면에서 일몰 1시간 전 처리와 4시간 전 처리는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았고, 2시간 전에 급액을 마감하는 것이 가장 경제성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KOMPSAT-3 위성영상의 RPC 보정을 위한 국가 통합기준점 탐지 (Detection of the Unified Control Points for RPC Adjustment of KOMPSAT-3 Satellite Image)

  • 이효성;한동엽;서두천;박병욱;안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829-837
    • /
    • 2014
  • KOMPSAT-3는 0.7 m 공간해상도의 스테레오 흑백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RPC를 제공하고 있다. 내 외부표정요소 오차를 포함하고 있는 제공 RPC로부터 지상좌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RPC 조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는 국토지리정보원에 의해 수천 개의 국가 통합기준점이 국토 전역에 걸쳐 설치되고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통합기준점은 국토지리정보원의 국가기준점발급시스템에서 쉽게 검색되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본 연구는 KOMPSAT-3 위성영상에서 UCP를 탐지하기 위해, 특징점 추출 방법과 거리 방향각 적용방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거리 방향각 적용방법이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 방법으로 조정된 RPC는 UCP 한 점만 적용한 경우, GPS 지상 기준점을 이용하여 조정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평면위치 정확도는 제안 방법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UCP 탐지방법으로 RPC 보정을 위한 GPS 현장관측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치과 병·의원에서의 구강보건교육업무에 대한 직무분석 (A Job Analysis on Oral Health Education Task 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 지민경;박영남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235-1243
    • /
    • 2012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업무실태 및 비중을 조사함으로써 직무의 개선을 통한 체계적이고 바람직한 업무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일일 업무비중을 분석한 결과, 진료협조업무의 비율이 35.4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주처치업무 21.54%, 행정 및 관리업무 16.08%, 구강보건교육업무 15.88%, 예방처치업무 11.23% 순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내용 및 구강보건교육자료의 종류별 활용비율에서는 대상자별 잇솔질 교육법이 3.7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구강보건위생용품사용법 3.51점, 정기검진에 대한 교육법 3.26점, 치과질환 예방교육법 3.13점, 식이조절교육법 1.39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악치모형물이 38.0%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두로 설명 23.9%, 구강내 카메라 12.2%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고유 업무라 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및 구강질환의 예방관련 업무비율이 높이 않아 이에 지속적인 관심과 활용가치가 높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향후 환자의 구강보건교육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수립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초등학교 성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atizing Contents of Sex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서동오;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5-10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of use for the preparation of more desirable sex education system at elementary school, by making content analysis of the current textbooks related to sex education and surveying what opinions the persons concerned had about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to find out what kind of sex education was included in them. And questionnaires on how to improve school sex education content were prepared, by which 207 male and female teachers were surveyed in the city of Paju and Koyang, Kyonggi provinc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Content Analysis of Textbook Sex Education The content related to sex education was relatively much included in textbooks of the right life, morality and physical education. Although morality was a subject to be instructed for the third-grade students or ol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rtually received sex education from the first grade, as the right life and the joyful life were a subject for the lower-grade students, and this met the goal of sex education or the need of the times. However, sex education content leaned heavily toward family, family life or parental love. There was no mutual complement among subjects, and no link among grades, either. 2. Teacher Opinion on Sex Education Content for Each Grade When the subjects were asked about if sex education content was appropriate for each grade, they answered 20 items should be more emphasized and 6 items might be left out. And there were 6 items regarded by them as one that should be rearranged in consideration of grade. 3. The Ideal Opinion of Sex Education Content The following model could be recommended for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which was designed to meet the objectives of school sex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to offer a systematic link among grades, based on the findings by textbook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on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materials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ontent selected for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my body, cleanness of genitals, male-female cooperation, and family cooperation. For the second grade, the selected content was male-female physical difference, male female psychological difference, parental and I(origin of a birth). For the third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important a body(cleanness of genitals), birth of a life, and male-female comprehension and cooperation. For the four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physical development, management of genitals, physiology and management of menstruation, propagation and growth of organism, concern for the other sex, comprehension of and cooperation with the other sex, and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Four the fif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secondary sex characteristic, physiology and management of menstruation, operation for phimosis, understanding of seminal emission,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enital organs, birth and growth of a baby, television/sex information, and mass communications/sex information. For the sixth grade, the selected things were secondary sex characteristic, understanding of seminal emission, male-female cooperation, male and female role, male-female manners, mass communications/sex information, family and family life. Finally, what should be taught in sex education must be studied constantly, as it should be revised or supplemented periodically, according to student's sexual maturity or social, cultural changes.

  • PDF

항공 TEM 을 이용한 천해지역에서의 퇴적층 두께 및 기반암 심도 원격탐사에 관하여 (Towards remote sensing of sediment thickness and depth to bedrock in shallow seawater using airborne TEM)

  • Vrbancich, Julian;Fullagar, Peter K.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0권1호
    • /
    • pp.77-88
    • /
    • 2007
  • 선행된 연구에서의 성공적인 수심도 작성 예에 뒤이어, 항공전자탐사를 이용한 해저면 특성파악 가능성이 고찰되었다. 헬리콥터에 탑재된 시간영역전자탐사 (TEM) 장비에서 얻어진 자료의 1D 역산으로부터 추정된 퇴적층의 두께가 해양 탄성파 연구에 기초하여 얻어진 추정치와 비교되었다. 일반적으로, 해수의 깊이가 대략 20 m이고 퇴적층의 두께가 40 m 미만이면 퇴적층의 두께 즉 비전도성 기반암까지의 깊이는 두 경우에 있어서 타당한 범위 내에서 일치됨을 보였다. 잡음이 섞인 합성자료의 역산은 초기 모형이 실제모형과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수직 전자탐사 유일성 이론과 일치하게 역산 후 실제모형과 매우 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잡음이 섞인 합성자료로부터 얻어진 천해 해수 깊이에 관한 표준편차는 대략 깊이의 ${\Box}5\;%$ 정도였으며, 이는 실제자료의 역산 시 대략 ${\pm}1\;m$ 정도의 오차를 우발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기반암 깊이 추정의 불확실성은 대략 ${\pm}10\;%$에 이른다. 잡음이 포함된 합성자료로부터 얻어진 해수와 퇴적층의 평균 역산 두께는 대략 1 m 정도의 정밀도를 나타냈고, 중합에 의해 정밀도가 향상되었다. 주의 깊게 보정된 항공 TEM 자료를 이용하면 퇴적층의 두께와 기반암의 지형을 조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으며, 천해에서의 해저면 저항치를 알아내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가능성도 보여 주었다.

THE FRACTURE CHARACTERISTICS OF GLASS FIBER POST AND CORE ON USING DIFFERENT TYPES OF CORE RESIN MATERIALS

  • Shim Dong-Wook;Shim June-Sung;Lee Seok-Hyung;Lee Keun-Woo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0-293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Glass fiber post is one of recent developments to accommodate esthetic restoration for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This has many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post system in physical properties, esthetic factor, risk of root and restoration fracture, adhesion to core, radiopacity, removal and retrievabilty, biocompatibility and chemical stability. Purpose.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most suitable type of resin core for the glass fiber post through surveying the fracture modes and the maximum load that fractures the tooth. Material and methods. 50 sound maxillary premolars restored with glass fiber posts($ParaPost^{(R)}$ Fiber White) and different types of resin cores(ParaCore, $Z100^{TM}$, $Rebilda^{(R)}$ and $Admira^{(R)}$) were prepared and loaded to faiure in a universal test machine. The maximum fracture load and fracture mode were investigated in the specimens that were restored with resin and those of metal cast and core. With the data, Wilcoxon rank sum test was used to validate the significance between the test groups, and Tukey' s studentized range test was used to check if there is an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each test group. Every analysis was approved with 95% reliance. Results. On measuring the maximum fracture load of teeth specime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fracture loads of the tooth specimens. ParaCore showed the highest mean maximum fracture load followed by $Z100^{TM}$. And, the distribution of fracture mode of tooth specimens showed generally Type D, the three parted fracture of the core around the post was mostly seen(62.5%), and specifically, ParaCore showed 90% and $Z100^{TM}$ showed 100% Type D fracture. Conclusion. Referring to the values of maximum fracture load and mean compressive fracture load, ParaCore and $Z100^{TM}$ had high values and are recommended as tooth colored resin core material for glass fiber post. CLINICAL IMPLICA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tending to be of aid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resin core for the glass fiber post. The dual cure type composite resin ParaCore and light cure type composite resin $Z100^{TM}$ have good properties and are recommended as tooth colored resin core material for glass fiber post.

산지 읍면지역 소규모 마을습지 분포 특성 연구 - 충남 금산군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Village Wetlands in Mountainous Rural Area - Case on Geumsan-gun, Chungnam -)

  • 박미옥;서주영;양승빈;구본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37-4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금산군에 위치한 마을습지 분포를 파악하고, 선행 연구된 서천군 마을습지와의 지형특성에 따른 마을습지 분포현황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Arc-GIS(v10.1)를 이용하여 지형, 수문, 습지 코드를 추출하여 마을습지 가능지 607개소가 도출되었고, 위성영상, 항공사진, 지형도,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토지이용도, 토지피복도(중분류), 토지이용현황도 등을 바탕으로 실내 판별작업 결과, 192개소가 도출되었다. 192개소를 대상으로 현지답사와 실내판별 작업을 통해 123개소의 최종 마을습지가 도출되었으며, 금산군 마을습지와 생태환경이 다른 서천군의 마을습지와 분포특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내륙산지지역인 금산군 소규모 마을습지 분포 특성은 해안평야지역인 서천군에 비해 면적은 60%이상 넓음에도 마을습지 가능지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최종 판별된 마을습지는 오히려 훨씬 적은 2/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규모 마을습지는 생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관리의 사각지대로서 급격히 사라지고 있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마을습지의 기능과 보전가치 등의 평가와 더불어 마을습지 분포, 생태적 기능, 보전가치 평가 등을 종합한 마을습지 DB구축 및 관리가 중요하다. 일상생활을 통해 지역 생태계의 생태적 질을 향상하고, 지역주민과 탐방객에게 양질의 생태계 서비스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마을습지의 보전과 조성으로 양적 질적 확대를 도모하여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울러 후속연구로서 마을습지 입지별 유형별 규모별 관리전략과 현명한 이용전략 수립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성과는 지역의 생태계 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는 물론 생태자연도 및 국토환경성평가도 등 토지의 생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교통량과 보행량을 고려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기준 정립 방안 연구 (Analysis on Installation Criteria for Scrambled Crosswalks Considering Vehicle and Pedestrian Traffic Volume)

  • 남찬우;고승영;조신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0-75
    • /
    • 2019
  • 최근에 교통사고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나 상대적으로 심각도가 높은 보행자 사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횡단보도 상의 보행자 사고에 대한 개선을 위해 차량과 보행자의 상충을 줄여 안전한 보행환경을 보장할 수 있는 대각선 횡단보도가 설치되고 있다.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에 앞서 효율성 측면에서의 평가와 설치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교통량과 보행량 조사만으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교통량과 보행량을 모두 고려한 신호 최적화 모형을 통하여 최적 주기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전·후 총 지체시간을 비교한다. 최적주기를 산출한 결과, 크게 두 가지 연구의 함의점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에 있어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는 차량 교통량 기준점이 존재한다. 또한, 신호 시스템별, 교차로 유형별 적정 설치 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설치를 고려하는 횡단보도의 교통량 수준에 따른 적절한 판단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전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대각선 횡단보도를 설치한 후 보행자의 지연시간이 증대될 수 있으나, 안전 확보를 위해서는 적정 교통량 수준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니스크류 식립 각도 및 부위에 대한 3차원적 연구 (Three Dimensional Study of Miniscrew about Installation Area and Angle)

  • 조희상;이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203-211
    • /
    • 2008
  • 교정치료에서 고정원의 조절은 치료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최근 골에서 쉽게 지지를 얻을 수 있는 미니스크류가 개발되고 발전되어 많은 치료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미니스크류는 해부학적 구조물들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안전하게 식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임상적으로 미니스크류를 흔하게 심는 부위이면서 초기 고정이 약한 상악 구치부 협측 부위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식립 각도에 따른 인접치아에 대한 손상가능성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상악 구치부 협측에서 $1.2{\times}6.0mm$의 미니스크류를 식립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CEJ에서 5~8mm 상방에 그리고 피질골 표면에서 3~5mm 내측에 미니스크류의 끝이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각 치근 사이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또한 식립각도를 30도, 45도, 60도로 나누어 식립 각도별 치근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대구치와 대구치 사이, 대구치와 소구치 사이, 소구치와 소구치 사이의 3그룹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립부위에 따른 비교에서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사이에서 치간골의 면적이 유의하게 작았다. 2) 각도에 따른 비교에서 대구치 사이와 소구치와 대구치 사이에서는 더 기울여 식립 하는 것이 안전함을 보였으나, 소구치 사이에서는 식립 각도가 안전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니스크류를 식립 할 경우 대구치 사이보다는 대구치와 소구치 사이 또는 소구치 사이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부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구치 사이와 대구치와 소구치 사이에 식립 할 경우에는 식립 각도가 증가 할수록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군탐지기에 의한 어군의 분포와 생태계측에 관한 연구 (Hydroacoustic Investigation on the Distribution and Migration Behavior of Fish)

  • 이대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8권4호
    • /
    • pp.337-346
    • /
    • 1992
  • 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어군의 분포와 그 행동생태를 계측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어군의 연직적인 일주회유이동 및 초음파산란강도의 변동특성을 검토하고, 또한 수온의 연직구조와 어군의 연직분포특성과의 관계, 선박의 항주상태에 따른 어군의 행동반응 등을 현장실험을 통하여 검토,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군의 공간분포특성은 수온의 연직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동중국해 중앙부에서 일출 직전까지 수온약층 바로 아래쪽에 군집하고 있던 칼오징어와 전갱이 어군이 일출과 더불어 해저를 향해 급속히 하강하는 일주회유이동이 관찰되었고, 그 하강속도는 0.24m/min이었다. (3) 수온약층이 탁월했던 제주도 서방해역과 대만 북부해역을 대상으로 어군의 연직분포특성과 수온의 연직구조와를 상호 비교 분석한 결과, 표층과 저층의 수온차가 크고, 또 중층에 뚜렷한 수온약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갱이와 칼오징어군은 야간에 수온약층의 바로 아래쪽에 농밀하게 군집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또 표층과 저층의 수온차가 적은 경우에 있어서는 표층까지 완전히 부상하여 군집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선박을 정선시킬 때, 선저 직하에 분포하는 어족생물이 급히 연직적으로 하향 이동하는 도피행동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그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다시 원래의 유영층으로 상향이동하는 행동패턴을 나타내었다. 한편, 수온약층을 경계로 하여 상층과 하층에 분포하는 어족생물의 행동패턴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수온약층 아래쪽에 있어서는 어군이 현저한 도피행동을 나타내었지만, 그 위쪽에 있어서는 그러한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수온약층 아래쪽에는 유영성이 강한 어족생물이, 그 위쪽에는 유영성이 약한 어족생물이 군집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당시 이 해역에서 행한 저층 트롤의 주요 어획물은 물메기, 살오징어, 삼치 등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