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nchang traditional food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초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Chungkukjang

  • Seo, Kyoung-Chun;Noh, Jeong-Sook;Yi, Na-Ri;Choi, Ji-Myung;Cho, Eun-Ju;Han, Ji-Sook;Song, Yeong-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77-83
    • /
    • 2008
  • To further the goal of isolating Bacillus sp. from commercial chungkukjang (CKJ) for a development of a probiotic dietary adjunct using soymilk or milk, antioxidant activity of CKJ purchased from the Sunchang Traditional Village in Chunbook province was examined. Six CKJ samples were evaluated and 3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for further antioxidant study. $IC_{50}$ for DPPH scavenging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CKJ ranged from 238.1 to 345.7 ${\mu}g/mL$. CKJ exhibited over 80% scavenging of ${\cdot}OH$ and ONOO- at concentrations of 100 ${\mu}g/mL$ and 250 ${\mu}g/mL$, respectively. $O_2^-$ and NO scavenging activities of three CKJ were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with the concentration tested from 100 to 1000 ${\mu}g/mL$. In this study, the methanol extract of CKJ exhibited a great reduction capability and powerfu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specially against OH. and ONOO-, which are the most toxic radicals responsible for oxidative damage in the body. However,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CKJ on DPPH, $O_2^-$, and nitrite radical were rather moderate. In conclusion, CKJ may reduce the oxidative stress in the body by scavenging the free radicals.

Effect of Cheonggukjang Made from Sword Bean on Serum Lipid Profile and Tissue Change in Rats

  • Kim, Jae-Young;Kim, Un-Sung;Chang, Moon-Ik;Moon, Kwang-Hyun;Baek, Seung-Hwa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4호
    • /
    • pp.219-227
    • /
    • 2013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rum triglyceride (TG), phospholipid (PL),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after feeding the combined diets of prepared traditional Cheonggukjang (TC) or Cheonggukjang made from sword bean powder (CS), the feed, and high-fat cholesterols at certain ratio for 8 weeks in rats, and then confirmed the effects of the diets based on the changes in the tissues of livers, kidneys, and spleens. The serum TG concentrations were lower in CS group compared to that of in TC group. The increase of PL concentrations was greater in CS group than that of TC group. FChCS6 group (92% feed+2% cholesterol+6% CS) showed the lowest total-cholesterol (T-C), $60.1{\pm}8.5mg/dL$, indicating that CS was effective to lower the T-C. Both TG/PL and T-C/PL ratio tended to be decreased. As CS intake wa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 as well as the increase of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 it would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adult diseases and circulatory diseas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changes in organ appearance and tissues in the rats with CS intake. Therefore, CS intake showed superior functionalities than that of TC intake.

고오지 종류에 따른 식혜 고추장의 숙성중 미생물 및 효소 역가의 변화 (Changes in the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during Fermentation)

  • 신동화;안은영;김용석;오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4-99
    • /
    • 2001
  • 전통 고추장의 품질개선을 위하여 고추장에 전통메주와 전통 메주에서 분리된 우수 균주를 접종한 고오지를 일정비율로 첨가하고 일부 시료는 가열처리하여 저장하면서 고추장의 미생물 및 효소역가를 분석하였다. 세균수는 전체적으로 발효 40일째 약간 증가하였으며 처리구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고 곰팡이는 계속 감소하여 처리구에 따라 발효 40일 또는 60일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고 효모는 P-1 고오지 함량이 많은 처리구일수록 적은 수가 검출되었고, 열처리에 의해서 효모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고추장 숙성 중 발생한 가스의 누적량은 효모의 증식경향과 일치하였는데 전통메주 첨가시 가장 많았고 P-1 고오지 첨가시 가장 적었으며 열처리구는 발효기간 내내 가스가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고추장 숙성 중 효소는 ${\alpha}-amylase$ 경우 전체적으로 활성이 매우 낮았으며, ${\beta}-amylase$는 처리구에 따라 불규칙한 경향을 보이면서 전반적으로 전통메주 첨가구(CON)와 전통메주와 P-2 고오지 첨가구(MKP2)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낮은 활성을 보였다. 산성 protease 활성도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다가 발효 100일째 활성이 최대였고, 중성 protease는 발효 60일까지 증가하다 점점 감소하였고 두 효소 모두 처리구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고추장에 선발 균주를 접종한 고오지를 첨가하였을 때 세균 및 곰팡이수, 효소역가는 전통 메주를 사용할 때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효모 생성과 가스 발생 억제에는 매우 효과적이므로 고추장 발효 관리의 한 수단으로 미생물 관리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 PDF

우수 균주접종과 감마선 조사에 따른 전통고추장의 품질 비교 (Effect of Different koji and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Traditional Kochujang)

  • 김문숙;김인원;오진아;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6-205
    • /
    • 1999
  • Amylase 및 protease 분비능력이 우수한 균주 순창 1과 박2을 분리하여 액체 혹은 고체 고지로 활성화시켜 고추장을 담근후 $60^{Co}$의 감마선을 $15{\pm}1.5\;kGy$에 해당하는 선량으로 조사한 방사선 조사구와 방사선 비조사구를 $25^{\circ}C$에서 90일간 발효시키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효소활성 변화를 비교 실험하였다.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초기에 0.4%에서 30일 이후 $0.6{\sim}0.7%$로 급격히 증가하였고, 박2 균주의 고체 고지를 혼합한 처리구에서는 발효 90일에 0.75%로 가장 높았다. pH는 초기에 $5.20{\sim}5.35$이었으며 계속 감소하다가 90일 후에는 $5.02{\sim}5.12$가 되었고, 산도는 $1.28{\sim}1.39$에서 발효 30일 이후 급격히 증가한 후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분리균으로 제조된 고추장의 발효중 $CO_2$$O_2$의 비율은 비조사구에서 $CO_2$가 80%이상 생성되었고, 방사선 조사구는 가스 생성이 거의 없었다. 총균수는 초기에 비조사구에서 $10^6\;CFU/g$이었고 조사구에서는 $10^4\;CFU/g$였으나 발효 90일경에는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효모는 초기 10 CFU/g에서 30일에 $10^4{\sim}10^5\;CFU/g$ 증가하나 조사구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효소역가는 발효기간 중 증가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의 L, a, b값은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Delta}E$값이 증가되었다. 관능검사결과 박2접종 고추장이 품질면에서 우수하며 우수균 접종으로 고추장 품질개선 및 균일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작두콩 첨가 청국장의 Isoflavonoids 함량과 항균력 및 생리활성 (Isoflavonoid Contents,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heonggukjang Made from Sword Bean)

  • 김운성;김재영;김성조;문광현;백승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4-181
    • /
    • 2012
  • 본 연구는 영양과 기능성을 보유한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isoflavonoids 함량과 항균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로서 청국장 제조과정에서 사용하는 원료, 증자한 원료 및 이를 발효시킨 청국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Cheonggukjang made from the sword bean: CS)의 gram positive bacteria에 대한 항균력은 전통청국장(traditional Cheonggukjang: TC)과 비교하여 에탄올 추출에서는 Bacillus cereus, 물 추출은 Staphylococcus aureus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S의 gram negative bacteria에 대한 항균력은 모든 추출물이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청국장으로 발효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기존의 TC보다 SC가 우수하였다. CS의 isoflavonoids 함량에서 glycoside 형태인 daidzin과 genistin은 증자 과정에서는 감소되었으나 청국장으로 발효시키면 증가되어 가장 높았다. 한편 aglycone 형태인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의 경우도 증자 과정에서 감소경향을 보이나 발효되면서 증가하였다. ACE 저해활성은 원료<증자 원료<발효 청국장 순으로 증가하였고, 각각의 추출조건에서 CS의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청국장 제조 시 작두콩 첨가는 항균성, 항산화능, 총 flavonoid, isoflavonoids, ACE 저해활성 등의 기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 원료로 확인되었다.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Pediococcus acidilactici M76 Isolated from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 Song, Young-Ran;Jeong, Do-Youn;Cha, Youn-Soo;Baik, Sa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5호
    • /
    • pp.681-688
    • /
    • 2013
  • This work is aimed to increase knowledge of the functional exopolysaccharide (EPS) from lactic acid bacteria (LAB) in makgeolli, a Korean fermented rice wine. Among LAB strains isolated from makgeolli, strain M76 was selected as a functional strain producing a bioactive EPS, based on its antioxidative activity on the DPPH radical. The 16S rRNA gene sequencing analysis showed a high sequence similarity (99.0%) with P. acidilactici, but had different biochemical properties with the already known P. acidilactici type strains in the aspect of carbohydrates utilization. The obtained P. acidilactici M76 produced a soluble EPS above 2 g/l. One-step chromatography using gel filtration after ethanol precipitation from the supernatant of P. acidilactici M76 was enough to obtain purified EPS with a single peak, showing a molecular mass of approximately 67 kDa. Componential and structural analyses of EPS by TLC, HPLC, and FT-IR indicated that the EPS is a glucan, consisting of glucose units. The purified EPS had antioxidant activity on the DPPH radical of 45.8%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The purified EPS also showed proliferative effect on the pancreatic RIN-m5F cell line and remarkable protection activity on alloxan-induced cytotoxicity. This potent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PS by LAB in makgeolli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functionality of makgeolli.

전통 장류 유래 Bacillus subtilis SCJ4의 특성확인 및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한 배양조건 최적화 (Identification of characterization and statistical optimization of medium constituent for Bacillus subtilis SCJ4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 정수지;양희종;정성엽;정도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8-60
    • /
    • 2015
  • 순창군에서 제조된 전통 장류로부터 612종의 다양한 미생물을 분리하였고, 612종의 미생물 중에서 생리활성 분석 및 biogenic amine 생성여부를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Bacillus subtilis SCJ4를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한 균주 SCJ4의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B. subtilis SCJ4로 명명하였으며, B. subtilis SCJ4의 산업적으로 사용이 적합한 최적배지조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통계학적 방법인 반응표면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실험계획법은 배지조성을 예측하기 위해 Plackett-Burman design을 사용하여 모델을 설정하였다. 실험 모델을 통하여 선별된 배지 조성으로는 tryptone, peptone, $MgSO_4$로 예측되었으며, 배지조성에 대한 농도를 설정하기 위해 중심합성계획법을 사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최종 예측된 배지 조성의 농도는 tryptone 15.35 g/L, peptone 12.235 g/L, $MgSO_4$ 3.5 g/L로 예측되었다. 이때 최대 균체량은 1.07497 g/L로 예측되었으며, 모델의 검증실험을 통하여 예측된 모델과 실제 결과가 동일함을 확인하였으며, 기본배양배지와 비교하였을 때 균체량이 0.8767 g/L에서 1.1222 g/L으로 약 28%증가하였다.

저장 유통중 시어진 된장의 화학적 성분 연구 (O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ur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 신동화;강금성;이지영;정도연;한금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60-366
    • /
    • 2010
  •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제조된 정상된장과 유통중 신맛이 생성된 된장의 일반성분, 색도, 유기산,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및 미생물 분포를 비교하였다. 수분함량은 신맛된장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염도 함량은 정상된장은 16.37%로 높으나 신맛된장은 14.48%~8.92%로 낮았다. pH는 정상된장이 높았고 신맛된장은 숙성기간 중 유기산이 많이 발생되어 pH 값이 낮게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신맛된장이 높게 나타났고 항온($45^{\circ}C$)에서 1~4주간 저장기간에 적정산도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정상된장과 신맛된장이 비슷하였고 시료에 따라 함량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기산은 옥살산, 호박산, 초산 및 젖산이 신맛된장에서 현저하게 높았고 초산은 신맛된장에서 2.5~3.2배, 젖산은 신맛된장에서 11~18배 높았다. 항온저장($45^{\circ}C$)에서 4주 후 유기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젖산함량은 정상된장에서 8.4배정도 증가하였으며 구연산은 정상된장과 신맛된장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정상된장에서 글루탐산, 아스파트산 및 아르기닌 등이 4~5배정도 높았다. 항온저장($45^{\circ}C$)에서 4주 후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신맛된장에서는 변화가 없었고 정상된장에서는 1/3배정도 감소하였다. 일반세균수(생균수) 및 산생성균은 정상된장보다 신맛된장에서 낮게 나타났고 효모, 곰팡이, 대장균군은 정상된장과 신맛된장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항온저장($45^{\circ}C$)에서 저장 중 미생물 변화는 정상된장과 신맛된장에서 일반세균수(생균수), 산생성균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정상된장과 비교하여 신맛된장은 염도가 낮았으며 수분함량이 높았고 이에 따라 숙성과정 중 발효 미생물에 의하여 pH가 낮아지고 적정산도가 증가 하였으며 신맛된장은 글루탐산, 아스파트산, 아르기닌 등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정상된장 보다 낮아 신맛에 영향이 없으나 신맛된장에서 젖산, 초산 등의 유기산 함량이 높아져 된장에서 신맛이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일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한 볏짚 유래 Bacillus cereus free 스타터 컬쳐의 개발 (The Use of the Pathogen-specific Bacteriophage BCP8-2 to Develop a Rice Straw-derived Bacillus cereus-free Starter Culture)

  • 나디카 반다라;정서진;정도연;김광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5-120
    • /
    • 2014
  • 본 연구는 목적은 단일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여 볏짚으로부터 B. cereus가 제거된 스타터 컬쳐를 개발하는 것이다. 다양한 배지 가운데 5% 콩 갈은 물(GB)이 볏짚 미생물의 증식과 박테리오파지 BCP8-2의 활성에 적합한 배지로 선정되었다. GB를 이용하여 다양한 볏짚 샘플과 BCP8-2를 함께 처리한 결과 모든 샘플들에서 총균수는 $10^9$ CFU/mL 수준으로 동일하였고, B. cereus의 경우 BCP8-2를 처리하지 않은 샘플에서 $10^7$ CFU/mL까지 증식하였고, 박테리오파지 처리군에서는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샘플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을 16S rDNA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한 DGGE와 pyrosequencing을 통해 분석한 결과 BCP8-2 처리군과 미처리군 사이에 매우 유사한 미생물 군집을 확인하였고, 더 나아가 계대 배양에 따른 미생물 군집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볏짚 등에서 특정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여 특정 유해균을 제거한 컬쳐의 개발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고, 안전한 전통장류의 생산에 기여할 것이다.

대두의 발아시간이 분리 균주로 제조한 청국장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rmination Time of Soybean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an Isolated Bacterial Strain)

  • 정진보;최승권;정도연;김영수;김용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9-75
    • /
    • 2012
  • 대두의 발아시간이 발아대두 청국장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청국장의 발효기간 중 아미노태질소 및 isoflavone 함량 등의 이화학적 특성과 amylase 및 protease 등 효소활성을 비교하였다. 전통 청국장에서 분리한 균주 중 이취가 상대적으로 적고, 점질물 생성량이 많은 B. subtilis SCD 115035 균주를 선발하여 청국장 제조에 사용하였다. 청국장의 pH는 발효 초기 pH 6.68-6.74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발효 48시간에 pH 7.47-7.68을 나타냈다. 청국장의 점질물 함량은 발효 48시간에 발아 12시간 처리구에서 13.22%로 가장 높았으며, 대두의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질물 함량은 감소하였다. 산성 protease 활성은 발아 0시간 처리구에서 발효 72시간에 0.323 unit/mL로 가장 높았다. 산성 및 중성 protease 활성은 비발아대두로 제조한 청국장에서 발아대두로 제조한 청국장보다 높게 나타났다. ${\alpha}$-Amylase와 ${\beta}$-amylase 활성은 발아 시간 및 발효 시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발아대두로 제조한 청국장의 아미노태질소 함량이 발효 48시간에 436.93 mg%로 가장 높았으며, 그 함량은 발아 12시간 처리구와 비슷하였다. 발아 36시간 처리구의 총 isoflavone 함량은 발효 72시간에 $839.86{\pm}8.24{\mu}g/g$로서 가장 높았으며, 발효기간 동안 발아 0, 12, 24시간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발아 0, 12, 24시간 처리구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청국장을 제조하기 위하여 대두를 발아했을 때 점질물의 함량, protease 활성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대조구보다 감소하였으나 기능성 성분인 isoflavone 함량은 발아 36시간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