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mmer depression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4초

하고 피해 초지의 갱신전과 후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DM Yield and Quality Before and After Pasture Renovation of Summer Depression Damaged Pasture)

  • 이인덕;이형석;김선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5-220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the before and after renovation of summer depression damaged pasture, and carried out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ffom 1997 to 1999. The yield of DM in first and second year of after renovation, comparing with those of before renovation(6,547kg/ha), significantly increase obtained 12,291kglha and 13,50Ikg/ha, respectively(P<0.05). In the chemical composition, CP content and DM digestibility were markedly increased comparing with those of before renovation(P<0.05), but the contents of NDF, ADF, cellulose and lignin were decreased respectively(P<0.05). In the botanical composition, weeds after renovation was markedly decreased comparing with before renovation, but increased the percentage of herbage in summer depression damaged pastur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is proved that a renovation method, which was conducted by two times of reseeding and raking, was effective in recovering botanical composition of herbage, and enhancing productivity and upgrading quality in summer depression damaged pasture. (Key words : Renovation, Reseeding, Summer depression)

  • PDF

1형 당뇨인 자기주도 캠프가 1형 당뇨병 대상자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및 당뇨관리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Self Lead Camp for Type 1 Diabetes on Depression, Anxiety,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with Type 1 Diabetes)

  • 진철;김미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83
    • /
    • 2017
  • Purpose: It is thought to be crucial to guide diabetic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their adolescent period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Therefore, we investigated what positive roles a type 1 diabetic camp program would play on subjects in terms of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and self-efficacy.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38 diabetic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who attended summer camp.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a one-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depression (t=3.55, p=.001) and anxiety (t=3.09, p=.004) after attending camp, as well 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efficacy (t=-3.64,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elf-esteem (t=0.14, p=.89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ype 1 diabetic camps are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mong diabetic childre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diabetes programs related to camps be developed.

소양(瘙痒)의 병인.병기(病因.病機)에 대한 연구 (Study about the Cause and Mechanism of the Itching)

  • 박승림;강정수
    • 혜화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21
    • /
    • 2013
  • After studying the cause and mechanism of the itching with the perspective of chronic medical books including Neijing, and the annotator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itching, which has correlation with the heart, is the deficiency symptom(虛症). It is generated when the lung-metal(肺金) is infected by the fire pathogen(火邪) and developed to depression(鬱), because of the heart fire flaming upward of circuit year(歲火太過). The treatment is to make metal depression scatter(金鬱泄之). 2. The itching occurs between the dermis(膚) and the epidermis(皮). 3. The itching generates when the excess of yang exuberance(熱盛極) precede the transmission of the wind-heats(風熱), the wind-cold(風寒), and the wind-dampness(風濕). It causes the blood deficiency(血虛) and the blood stasis(血瘀) because of the skin dryness. 4. The itching usually generates during summer, causes the body fever(身熱) and the dermis pain(膚痛). When it becomes worse, it causes generalized itching and vesicles at the whole body(浸淫). 5. The itching is related to the spirit(魄), which works in unconsciousness and the movement of defense qi(衛氣) in night.

경북 농촌지역 여성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식습관 및 계절별 식품섭취 다양성 비교 (Dietary Behaviors and Seasonal Diversity of Food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Family in Gyeongbuk Rural Area)

  • 임영지;최영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20-62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dietary habits and seasonal variation and diversity of food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of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in a rural area. Forty nine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forty one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who reside in Goryeong-gun, Gyeongbuk, were interviewed using questionnaires in summer 2005, and their food intakes were assessed secondly in winter and thirdly in spring 2006. The average ages were 74.7 years for elderly living alone and 72.8 years for elderly living with family. Tooth status and bone fracture experience were similar between the groups.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 was 61.2% and that of circulatory disease was 32.7% of the subjects. Average of total score of mental depression of the subjects was 5.94 out of 12 points, and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Skipping meals was more frequent and mealtime was more irregular in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with the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Consumption of dietary supplements was also less in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Food intakes by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by the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Dietary diversity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with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with the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only in summer (p < 0.01). Percentages of the subjects who have taken meat group and vegetabl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lderly living alone compared with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during summ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food assistance or supporting program suited for the season within a community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에서 미량요소(Fe, Mn, Cu, Zn, Mo,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여러 특성에 미치는 영향 I. 목초의 생육, 하고 및 개화 등의 특성 변화 (Effects of Combined Micronutrient(Fe, Mn, Cu, Zn, Mo and B) Application on Forage Traits in Pure and Mixed Swards of Orchardgrass and White Clover I. Changes in the growth, summer depression, and flowering of forage plants)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29-236
    • /
    • 2003
  •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 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 및 B의 조합시비별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구명하였다. 다량요소 양분을 동일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T$_1$; 대조구, T$_2$; Fe, T$_3$; Fe+Mn, T$_4$; Fe+Mn+Cu, T$_{5}$; Fe+Mn+Cu+Zn, T$_{6}$;Fe+Mn+Cu+Zn+Mo 및 T$_{7}$; Fe+Mn+Cu+Zn+Mo+B로 하였다. 본 I집에서는 각 조합시비별 목초의 생육, 개화 및 수분생리/하고현상 특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orchardgrass는 T$_3$와 T$_{6}$ 에서 심한 Fe-결핍 황화현상을 보였고, 이는 T$_4$와 T$_{5}$ 에서는 크게 경감되었다. 반면에 T$_1$, T$_2$및 T$_{7}$ 조합시비에서는 황화현상이 없이 정상적인 생육을 보였고, 특히 T$_{7}$완전 조합시비에서는 단파 및 혼파재배 공히 다른 조합시비에 비해서 가장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white clover는 조합시비별 황화현상은 보이지 않았으나 단파재배에서 T$_1$, T$_2$및 T$_{7}$에서는 다른 조합시비에 비해서 더 진한 녹색과 더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2. 여름 고온기에 orchardgrass는 하고현강을 보였으나 T$_1$과 T$_{7}$에서는 다른 처리구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경감 되였다. 황화현상을 보인 조합시비에서는 약한 줄기와 고온으로 인하여 일부 도복현상을 보였다. white clover는 하고현상을 보이지 않았고 처리별 수부요구도의 차이는 분명하지 않았다. 3. 단파재배에서 white clover의 개화 및 화아 수는 T$_{7}$ 및 T$_2$에서 가장 많았고 T$_{7}$에서는 다른 조합시비에 비해서 더 긴 개화기간과 더빠른 만개를 보였다. 이에 비해서 T$_{5}$ 및 T$_{6}$에서는 대조구인 T$_1$보다 적었고 처리 중 가장 적은 개화수를 보였다. T$_{7}$에서 만이 단파 및 혼파재배 공히 개화 수가 화하 수보다 많은 개화 수/화아 수의 비율이 >1 이였다(혼파의 T$_{6}$ 예외). 4. Fe-결핍 황화현상은 항시 부적합한 Fe/Mn과 Fe/Mo 비율에 기인되지 않고, 양이온간(Fe, Mn, Cu, Zn), 음이온간(Mo, B), 그리고 이들의 총 농도의 부조화에도 기인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Fe${\times}$Mn${\times}$Mo${\times}$B 간 다량 교호작용이 있으며 이 때 B의 조정자 역할이 큰 것으로 보였다.

혼파초지에서 지역별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Dry Matter Yield and Days of Summer Depression in different Regions with Mixed Pasture)

  • 오승민;김문주;팽경룬;이배훈;김지융;베페카두;김시철;김경대;김병완;조무환;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3-60
    • /
    • 2018
  • 본 연구는 혼파초지 수량예측모형에서 기후특성이 뚜렷한 지역의 자료 제거 및 지역별 구분을 통해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데이터세트는 총 582점으로 11개 지역으로 분류되며 혼파조합은 총 41가지였다. 변수에서 반응변수는 건물수량 이었으며 설명변수는 하고일수를 포함한 5가지의 기상변수를 이용하였다. 통계방법은 산점도, 기술통계량 및 상관분석을 거쳐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산점도 분석 결과 데이터세트를 지역별로 구분하였을 때 9개 지역 중 7개에서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지역을 구분할 필요가 있었으며 대표본 근사이론을 적용할 수 있었던 5개 지역(화성, 수원, 대전, 시흥 및 광주)을 선정하였다. 5개 지역의 상관분석 결과 3개 지역(화성, 수원 및 시흥)에서, 다중회귀분석결과 화성에서 건물수량에 대한 하고일수의 효과가 부(-)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파초지의 건물수량에 대한 하고일수의 상관관계는 지역별로 구분하였을 때 풀사료 생산이론과 일치하여 수량예측모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헤어리베치 재배과원에서 해충과 천적의 발생 (Occurrence of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in Pear Orchard with Hairy Vetch)

  • 최용석;황인수;박덕기;최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48-453
    • /
    • 2013
  • 배 과원에 심겨진 헤어리베치가 배의 주요해충인 4종 나방류(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무늬잎말이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조팝나무진딧물 및 점박이응애의 발생과 천적인 기생봉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헤어리베치가 심겨진 배 과원과 바랭이가 주요 초종인 일반과원에서 4종 나방류의 발생에는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조팝나무진딧물은 6월 20일 헤어리베치구에서 신초 당 95마리가 1회 확인되었을 뿐 전체적으로 발생되지 않았다. 배 잎의 점박이응애 밀도는 헤어리베치가 심겨진 배 과원에서 월등히 낮았다. 2012년과 2013년에 조사된 기생봉류의 발생은 헤어리베치의 개화시기에 각각 398마리와 798마리로 일반초생구의 9마리와 22마리보다 월등히 높았고, 하고시기에도 헤어리베치구가 114, 172마리로 일반초생구 8, 5마리보다 월등히 많았다. 헤어리베치는 4종 나방류, 조팝나무진딧물, 점박이응애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오히려 천적인 기생봉류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배 과원의 피복 및 녹비작물로써 이용가능성이 높으므로, 천적에 저독성 농약선발을 통해 농약방제 체계를 개선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해충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목초(牧草)의 하고성(夏枯性) 방제(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초지피복(草地被覆)이 목초(牧草) 생산성(生産性) 및 영양성분(營養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Control of Summer Depression of Pasture Plants -Effect of Mulching on the Produ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asture Plants-)

  • 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84-191
    • /
    • 1976
  • 북방형(北方型) 목초(牧草)의 하고성(夏枯性) 방제(防除)하기 위하여 1976년(年) 7월(月)1일(日)부터 8(월)月14일(日)까지 Orchard grass, Tall fescue, Red clover, Alfalfa, Crabgrass의 5초종(草種)에 보리짚을 $100g/m^2$, $200g/m^2$, $300g/m^2$ 피복(被覆)하고 목초(牧草)의 성장(成長), 수량(收量) 및 영양성분(營養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보리짚 피복(被覆)에 의하여 피복구(被覆區) 지온(地溫)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하여 $1.0{\sim}3.04^{\circ}C$의 강하현상(降下現象)을 나타내었다. 피복처리구(被覆處理區)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하여 6.0~45%의 성장효과(成長效果)를 나타내었다. $100g/m^2$ 피복구(被覆區)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하여 32.77%의 증수효과(增收效果)를 나타내었고 $300g/m^2$구(區) 이상은 부식(腐蝕)에 의하여 7.75%의 감수현상(減收現象)을 표현(表現)하였다. 피복처리구(被覆處理區)에서 생산된 목초(牧草)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하여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의 증가(增加)를 가져왔고 조지방(粗脂肪), 조섬유(粗纖維) 및 조회분(粗灰分)은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의 고등학생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이문수;정유숙;홍성도;고영훈;김승현;조숙행;정인과;김린;이헌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2호
    • /
    • pp.111-116
    • /
    • 2005
  • 목 적:기분과 행동에서의 계절적 변동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있었지만 아직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는 보고되지 않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의 고등학생들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의 빈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서울의 남동쪽 지역에 거주하는 656명의 남녀공학 고등학교 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계절성 양상 평가 설문지(SPAQ)의 한국어 번역판을 통하여 응답하였다. 이들에게서 계절성 정동장애(SAD)와 아임상성 계절성 정동장애(S-SAD)의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서는 Kasper가 제시한 기준에 따랐다. 결 과:결측치가 발생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전체 565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이들의 평균 연령은 16.73(SD=0.65)세였다. 이들에서의 전반적 계절성 점수의 평균은 5.88(SD=4.72)이었다. 응답자의 73.1%는 자신들이 계절성의 변화가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전체 SAD의 유병률은 13.6%, S-SAD의 유병률은 10.8%로 나타났다. 이 중 여름철 SAD는 5.1%, 여름철 S-SAD는 3.2%였으며, 겨울철 SAD는 0.5%, 겨울철 S-SAD는 1.1%로 조사되었다. 결 론:여름철 SAD 및 S-SAD의 유병률이 겨울철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다른 아시아 국가인 중국이나 일본의 결과와 유사한 것이다. 여름 동안의 고온 다습한 날씨에서 오는 불쾌감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는 SPAQ의 적용에 있어서 동아시아 국가의 기후 특성에 맞는 계절성 정동장애를 위한 새로운 기준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