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 compound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5초

Alliinase 첨가에 의한 열처리 마늘로부터 생성된 함황 화합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iosulfinates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from Blanched Garlic Reacted with Alliinase)

  • 최윤희;심유신;김청태;이찬;신동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00-607
    • /
    • 2007
  • 마늘의 주요 향기성분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함황 화합물의 생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열처리에 의하여 마늘 중의 효소를 완전히 실활 시킨 마늘펄프에 마늘로부터 추출한 alliinase를 첨가하여 첨가량 및 반응시간에 따른 thiosulfinates 및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HPLC 및 LC/MS/MS를 이용하여 생마늘 중의 thiosulfinates를 분리, 확인한 결과 8종의 thiosulfinates를 확인하였다. Allicin은 전체 thiosulfinates함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로부터 추출한 alliinase를 열처리 마늘펄프에 각각 100, 200, 300 및 400 unit를 첨가하여 5, 10 및 15분씩 각각 반응시킨 결과 효소첨가량 및 반응시간의 증가와 함께 thiosulfinates 함량도 증가하였다. 100, 200, 300 및 400 unit의 alliinase를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킨 결과 총 thiosulfinates는 생마늘(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7, 68, 77 및 80%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C/MSD를 이용하여 대조구 및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36개의 피크를 분리하였고, 이중 28개 피크에 대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확인된 28개의 피크 중 23개 피크가 함황 화합물이었다. Alliinase를 100, 200, 300 및 400 unit씩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킨 시료에 대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25, 36, 66 및 76%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열처리한 마늘에 alliinase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면 반응조건에 따라 마늘 중의 주요생리활성 물질 및 휘발성 향기성분인 thiosulfinates와 휘발성 함황 화합물의 생성을 30-80%까지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늘 Oleoresin 제조시 휘발성성분에 관한 추출용매효과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Volatile Compounds of Garlic Oleoresin)

  • 정은주;김종필;조지은;이재우;이양봉;김우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33-1037
    • /
    • 2001
  • 마늘의 이용성 증진에 관한 기초자료와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마늘 oleoresin 제조과정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알기 위해 휘발성 향기성분을 4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석 검출기 (mass selective detector)를 이용하여 polar(Supelcowax-$10^{TM}$)와 nonpolar capillary column(HP-5)에서 각각 분리, 동정하였다. 용매에 따른 oreoresin 추출을 보면 m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한 경우가 가장 peak area가 높았고 그외 acetone, methy acetate, hexane을 사용한 경우는 비슷하였다 Polar capillary column에서 총 41종이 분류되었고, pyran 및 그 유도체 물질 13종, 황화합물이 11여종, furan 및 그 유도체들이 6종, alcohol류 2종 분류되었고 그밖에도 2종의 heterocyclic compound가 각각 확인되었다. Nonpolar capillary column에서는 32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pyran및 그 유도체물질이 11종, 황화합물 11여 종, acid류 5종, pyran 및 그 유도체들이 3종 그밖에 eugenol 등이 나타났다. Nonpolar 보다 polar에서 휘발성성분의 다량 검출되었으며, 대부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극성이 강한 methanol에서 잘 추출되었지만 마늘의 주요휘발성 성분인 황화합물 즉, 3,3'-thiobis 1-propene, methyl 2-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2-propenyl -trisulfide, 2-thiophenecarboxylic acid는 비극성용매인 methyl acetate와 hexane에서 잘 추출되었다.

  • PDF

황화물 측정용 가스센서의 연구개발 (Development and research of gas sensor for monitoring sulfur compounds)

  • 김기영;김종민;함영환;장용근;김종득;장상목
    • 센서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3-39
    • /
    • 1994
  • 냄새물질 특히, 환경오염물질의 측정을 위한 수정진동자를 이용한 센서 시스템을 수정진동자 표면에 여러가지 인지질과 활성탄 그리고 납계열 무기안료를 피막시켜 만들었다. 포스파티딜 콜린을 누적한 9MHz 수정진동자의 각종 유기가스에 대한 응답 특성을 살펴보았다. 인지질막의 특성에 기초한 서로 다른 냄새물질사이의 친화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냄새물질은 누적한 지질막에 의존하는 공진주파수 변화 패턴과 응답면적에서 계산되어지는 상대적인 응답 세기를 서로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납계열 무기안료를 누적한 수정진동자를 이용하여 황화물의 검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 여러가지 지질을 누적한 수정진동자를 이용하여 그 응답패턴을 비교한다면 냄새물질의 분석이 가능함을 알았다.

  • PDF

구강내 세균과 휘발성 황화합물에 대한 아연의 영향 (Effects of Zinc on Oral Bacteria and Volatile Sulfur Compound (VSC) in Oral Cavity)

  • 김영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3호
    • /
    • pp.273-281
    • /
    • 2007
  • 아연 화합물은 의학적 효용이 뛰어나서 예전부터 화장품, 의약품 및 치과용 제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특히, 아연의 구강내 생물학적 작용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데, 아연은 구강내 미생물에 다양한 기전으로 영향을 가해서 항균 작용, 항치태 작용, 항우식 작용을 갖게 된다. 또한, 아연은 구취를 유발하는 구강내 혐기성 세균과 구강내 휘발성 황화합물에 영향을 주어서 구취 치료제로서도 널리 애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아연의 개괄적인 물성과 독성 및 상용되고 있는 아연 제제들을 요약하여 제시한 후, 구강내 세균과 휘발성 황화합물에 대한 아연의 생물학적 영향에 대하여 항균 효과, 항치태 효과, 항우식 효과 및 구취감소 효과 등으로 나누어 고찰해보았다. 아연은 다른 금속에 비하여 독성이 적고 치아 착색을 거의 유발하지 않으며, 가격 또한 저렴하여 구강내 감염,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및 구취 등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향후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치과 임상에서의 아연제제의 적용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LPG 조성에 따른 황화합물의 분배계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ition Coefficients for Sulfur Compounds Related Composition of LPG)

  • 김영구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23-527
    • /
    • 2002
  • LPG에서 황화합물의 분배계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 대상 물질은 알칸계통에 사슬형머캡탄이었다. LPG의 액체상 및 기체상의 조성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SAS를 사용한 다중회귀분석방법(MLR)으로 황화합물의 끓는점(Bp), 온도(Tk), 용매의 조성(C4)과 관련되 분배계수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었다. Kpc=0.61222(${\pm}$0.000959)Bp+0.26984(${\pm}$0.06504)C40.003803(${\pm}$0.0019993)Tk, N=24, F=14.851, $R^2_{adj}$=0.6437. 분배계수에 미치는 중요 인자는 황화합물의 대기압에서 끓는점과 LPG의 조성이었다. n-부탄의 높은 조성 및 높은 온도에는 분배계수가 증가하여 가스의 취기 상승효과가 클 것으로 추측된다.

우포늪, 순천만, 서해 갯벌에서부터 분리한 황산염/황-환원 세균의 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lfate- and Sulfur-reducing Bacteria from Woopo Wetland, Sunchun Bay, and Tidal Flat of Yellow Sea)

  • 김소정;민의기;홍희지;김종걸;정만영;차인태;이성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54-260
    • /
    • 2014
  • 황화합물은 혐기성환경에서 혐기성호흡을 위한 매우 중요한 전자수용체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다양한 습지에서 배양을 통한 황산염/황-환원세균의 특성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리하기 위하여 혐기성 roll tube법을 통해 총 11개의 순수 배양체를 확보하였다. 16S rDNA를 이용한 계통분석 및 상동성 분석을 실시하여 Desulfovibrio 속의 세균 8종, Sulfurospirillum 속의 세균 2종, Desulfitobacterium 속의 세균 1종을 얻을 수 있었다. 이들 황산염/황-환원세균은 모두 lactate와 pyruvate를 전자공여체로 이용하였으며, sulfite and thiosulfate를 전자수용체로 이용할 수 있었다. 앞으로, 다양한 전자공여체와 배양조건을 통하여 유용한 절대혐기성 황산염/황-환원세균의 생물자원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 관악산 대기 중의 $SF_6$에 관한 연구 (Atmospheric Sulfur Hexafluoride $(SF_6)$ near the Kwanak Mountain, Seoul)

  • 이정현;김경렬
    • 대기
    • /
    • 제18권3호
    • /
    • pp.225-235
    • /
    • 2008
  • Sulfur hexafluoride ($SF_6$), man-made compound, has been paid attention as a potent greenhouse gas. After Kyoto Pototcol on Climate Change in 1997, nations established the policy aimed at minimizing release of $SF_6$ to atmosphere. We have developed and operated an automatic analytical system for monitoring atmospheric $SF_6$ using gas chromatography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GC-ECD) and packed separate-column. Here, we report and discuss 4-month record of atmospheric $SF_6$ concentrations monitor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pilot station near the Kwanak Mountain, Seoul. Most of observed $SF_6$ concentrations were excessively high compared with Northern Hemisphere (NH) background trend obtained from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Earth System Research Laboratory (ESRL) monitoring stations. And the observed $SF_6$ showed extremely wide variability ranging from 4.6 pptv to $1.1{\times}10^3$ pptv, which may be affected by local sources placed nearby. Simultaneous wind data with $SF_6$ measurements show that relatively high values of $SF_6$ correspond to weak wind as well as southerly. There are many engineering installations to the south of the station. The regional value of the atmospheric $SF_6$ estimated from the data selection by wind conditions is about 6.8 pptv. This value, which is similar to concentrations of urban areas, is higher than NH background concentration.

HgCdTe 기판의 황화 처리에 따른 보호막 특성 향상 (Sulfide treatment of HgCdTe substrate for improving the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f ZnS/HgCdTe heterostructure)

  • 김진상;윤석진;강종윤;서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
    • /
    • pp.973-976
    • /
    • 2004
  • The results of numerous studies in III-V semiconductors show that sulfur treatment improves the electrical parameters of III-V compound devices.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effects of sulfidation of HgCdTe surface on the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f metal-ZnS-HgCdTe structures. Different from sulfidation in III-V material, S can not be act as an impurity because II-S compounds (ZnS, CdS) generally used as passivant for HgCdTe. Our studies of sulfur-treatment on HgCdTe surface show that sulfur agent forms the S- S, II-S bonds at the surface layer. These bonds are very effective to improv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ZnS layer on HgCdTe 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native oxides formation. After the sulfidation process, MIS capacitors of HgCdTe show great improvement in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low density of fixed charge and reduced hystereisis width.

  • PDF

탄소섬유 표면의 H2S 처리에 관한 연구 (Surface Treatment of Carbon Fiber by Hydrogen Sulfide)

  • 신경한;한정련
    • 공업화학
    • /
    • 제1권2호
    • /
    • pp.176-181
    • /
    • 1990
  • 탄소섬유/알루미늄 복합 재료의 계면 전단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탄소섬유 표면을 $400-60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황화수소 기체로 처리하였다. 처리 탄소섬유 표면의 변화를 주사 전자 현미경과 X-선 광전자 스펙트럼에 의해 관찰하고 분석하여 표면 처리 탄소섬유의 표면에 황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고, 표면처리 탄소섬유의 탄소 및 탄소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탄소섬유 표면의 황화수소 기체 처리의 최적 온도는 $550^{\circ}C$였고, 처리 탄소섬유 표면의 황 화합물은 disulfide, $(S)_n$ 및 thiophene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처리 탄소섬유는 처리 온도 $400-600^{\circ}C$의 범위에서 5% 정도의 인장 강도 저하를 나타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Methane Oxidation by a Methanotroph Isolated from a Landfill Cover Soil, South Korea

  • Lee, Eun-Hee;Yi, Tae-Woo;Moon, Kyung-Eun;Park, Hyun-Jung;Ryu, Hee-Wook;Cho, Kyung-Su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7호
    • /
    • pp.753-756
    • /
    • 2011
  • A methane-oxidiz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the enriched culture of a landfill cover soil. The closest relative of the isolate, designated M6, is Methylocystis sp. Based on a kinetic analysis, the maximum specific methane oxidation rate and saturation constant were 4.93 mmol gdry cell $weight^{-1}{\cdot}h^{-1}$ and 23${\mu}M$, respectively. This was the first time a kine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ure methanotrophic culture. The methane oxidation by M6 was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aromatic (m- and pxylene and ethylbenzene) or sulfur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methanthiol) compounds. The methane oxidation was inhibited by the presence of aromatic or sulfur comp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