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onate

검색결과 484건 처리시간 0.028초

The Mechanism of the Decomposition of a Bronchodilator, S-Nitroso-N-acetyl-D,L-penicillamine (SNAP), by a Bronchoconstrictor, Aqueous Sulfite: Detection of the N-Nitrosohydroxylamine-N-sulfonate ion

  • Holder, Alvin A.;Marshall, Sophia C.;Wang, Peng George;Kwak, Chee-H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3호
    • /
    • pp.350-356
    • /
    • 2003
  • The mechanism of the decomposition of a bronchodilator, S-nitroso-N-acetyl-D,L-penicillamine (SNAP) by a bronchoconstrictor, aqueous sulfite, has been investigated in detail. The decomposition was studied using a conventional spectrophotometer at 336 nm over the ranges: 0.010 ≤ $[S^{IV}]_T$ ≤ 0.045 mol $dm^{-3}$, 3.96 ≤ pH ≤ 6.80 and 15.0 ≤ θ≤ 30.0 ℃, 0.60 ≤ I ≤ 1.00 mol $dm^{-3}$, and at ionic strength 1.00 mol $dm^{-3}$ (NaCl). The rate of reaction is dependent on the total sulfite concentration and pH in a complex manner, i.e., $k_{obs}\;=\;k_1K_2[S^{IV}]_T/ ([H^+]\;+\;K_2)$. At 25.0 ℃, the second order rate constant, $k_1$, was determined as $12.5\;{\pm}\;0.15\;mol^{-1}\;dm^3\;s^{-1}$. ${\Delta}H^{neq}\;=\;+32\;{\pm}\;3 kJ\;mol^{-1}\;and\;{\Delta}S^{\neq}\;=\;-138\;{\pm}\;13\;J\;mol^{-1}K^{-1}$. The N-nitrosohydroxylamine-N-sulfonate ion was detected as an intermediate before the formation of any of the by-products, namely, N-acetyl-D,L-penicillamine. The effect of concentration of aqueous copper(Ⅱ) ions on this reaction was also examined at pH 4.75, but there was no dependence on $[Cu^{2+}]$. In addition, the $pK_a$ of SNAP was determined as 3.51 ± 0.06 at 25.4 ℃ [I = 1.0 mol $dm^{-3}$ (NaCl)].

The Effects of Surfactants on the Biosynthesis of Galactolipid and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Chloroplast Envelope rind Thylakoid Membrane of Chlorella ellipsoidea

  • Choe, Eun-A;Cheong, Gyeong-Suk;Lee, Cheong-Sam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3호
    • /
    • pp.341-349
    • /
    • 1998
  • To analyze the effects of surfactants on the biosynthesis of galactolipid and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the chloroplast envelope and thylakoid membrane were cultivated in medium treated with anionic surfactants, such as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0.002%, LAS), a-olefin sulfonate (O.01%, AOS), and sodium lauryl ether sulfate (0.08%, SLES), respectively. During the cultivation, the chloroplast envelope and thylakoid membrane were isolated from the cells collected at the early and middle phase of the culture and the contents of their fatty acid composition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When treated with surfactants, the contents of total lipid MDGD methylesters, and DGDG methylesters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It was also confirmed that more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galactolipid. The fatty acids utilized in the biosynthesis of MGDG were in the chloroplast envelope and in the control, and linoleic acid in LAS, linolenic acid and oleic acid in AOS, and linolenic acid and oleic acid in SLES. The fatty acids in the biosynthesis of DGDG were linolenic acid and oleic acid in the control linolenic acid and stearic acid in LAS,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in AOS,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in SLES. In the thylakoid membrane,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biosynthesis of MGDG were linolenic acid and oleic acid in the control,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in LAS, 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in AOS, linolenic acid and palmitoleic acid in SLES. The fatty acids in the biosynthesis of DGDG were linolenic acid and oleic acid in the control,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in LAS, 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in AOS, palmitoleic acid and oleic acid in SLES.

  • PDF

이온성 고분자를 이용한 나트륨 섭취 감소 효과 (Effect of Ionic Polymers on Sodium Intake Reduction)

  • 박세현;이영주;이종휘
    • 폴리머
    • /
    • 제37권4호
    • /
    • pp.533-538
    • /
    • 2013
  • 염화나트륨은 우리 몸의 체액에 존재하며, 혈액 속에 약 0.9 wt%의 농도로 존재하여 삼투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이 섭취하는 소금의 양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과량 섭취로 인해 고혈압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적합성 이온성 고분자들의 특정 반대이온을 칼슘과 칼륨으로 치환시켜 나트륨 이온과의 이온교환을 통해 고분자에 나트륨이 흡착되어 대변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지를 in vitro 실험과 in vivo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조사된 고분자들 중 칼슘과 칼륨의 폴리스티렌설폰산, 칼슘 치환된 카라기난과 타마린드가 우수한 나트륨 치환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체온과 인공위액 및 인공장액의 조건에서도 나트륨 치환능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고분자들의 난용성 특징을 통해 구강 내에서는 맛의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나트륨을 흡착해 배설하는 메카니즘을 나트륨 과다 섭취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pectral and Thermal Studies of Transition Metal PSSA Ionomers

  • Shim, Il-Wun;Risen, William M. Jr.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9권6호
    • /
    • pp.368-376
    • /
    • 1988
  • Transition metal PSSA ionomers containing Co(II), Ni(II), Cr(III), Ru(III), and Rh(III) are investigated by IR, Far-IR, UV-Vis and DSC. Reliable IR Spectroscopic criteria are established for assessing the degree of ion-exchange of PSSA ionomers and the local structures around metal cations in them. In the hydrated transition metal PSSA ionomers, the ionic groups are solvated by water molecules and there is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sulfonate group and metal cations. The visible spectra indicated that metal cations are present as [M$(H_2O)_6$]$^{n+}$ with Oh symmetry. Their $T_g$ values increase as the extent of ionic site concentration increases, but there is no direct dependence of $T_g$ on the nature of metal cations or their oxidation states. Thus, the water content in PSSA ionomer is found to have dominant influence on $T_g$ of hydrated transition metal PSSA ionomers. Dehydration of the hydrated transition metal PSSA ionomers results in direct interaction between ionic groups and significant color changes of the ionomers due to the changes of the local structures around metal cations. On the base of spectral data, their local structures are discussed. In case of dehydrated 12.8 and 15.8 mol % transition metal PSSA ionomers, no glass transition is observed in 25-$250^{\circ}C$ region and this is believed to arise from the formation of highly crosslinked structures caused by direct coordination of sulfonate groups of metal cations. In the 6.9 mol % transition metal PSSA ionomers, the glass transition is always observed whether they are hydrated or dehydrated and this is though to be caused by the sufficient segmental mobility of the polymer backbone.

유기단결정 Polydiacetylene Para-toluene Sulfonate에서 2차원 공간고립파의 진행과 상호 작용 전산모의 (Propagation and interaction of two dimensional solitary waves in organic single crystal of polydiacetylene para-toluene sulfonate)

  • 류재명;조재흥;황보창권;정진호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00-407
    • /
    • 2002
  • 2차원 공간 고립파는 비선형 굴절률이 빛의 세기에 따라 일정한 값에 수렴하는 포화 매질에서 안정적으로 전파될 수 있다. 그러나 빛의 세기가 크지 않은 경우, 5차 비선형 굴절률이 음수인 매질은 포화 매질의 특성을 가지므로 2차원 공간 고립파가 전파될 수 있다. 2차원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의 전산 시늉을 통하여 빛의 세기가 크지 않은 경우 가우시안 빛살이 5차 비선형 매질을 전파하는 과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체 포획 일률로 입사시킬 때 가장 안정적으로 2차원 공간 고립파가 전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상차가 180$^{\circ}$인 두 공간 고립파를 0.05$^{\circ}$의 충돌각으로 충돌시키면서 한 쪽 고립파의 입사 일률을 조절한다면 출력단에서 두 공간 고립파의 완전 광 스위칭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고체 슈퍼캐퍼시터를 위한 폴리비닐알콜 고분자 전해질막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Solid-state Supercapacitor)

  • 이재훈;박철훈;박민수;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9권1호
    • /
    • pp.30-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titanium nitride (TiN) 나노 섬유와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PEDOT-PSS)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전극과 poly(vinyl alcohol) (PVA) 기반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을 이용하여 슈퍼 캐퍼시터를 제조하였다. TiN 나노 섬유의 경우 높은 전기 전도도와 이차원적 구조로 인한 스케폴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극 물질로 사용되었다. PEDOT-PSS 전도성 고분자는 수소 이온과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보다 높은 정전용량을 나타낼 수 있으며 용액상에 분산이 용이해 유무기 복합제를 형성하기에 적합하였다. PVA 기반의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은 기존의 액상의 전해질의 문제인 외부 충격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염으로 사용된 $H_3PO_4$의 경우 수소 이온은 빠른 확산으로 인해 캐퍼시터의 충방전 효율에 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보고된 PEDOT-PSS/TiN 슈퍼캐퍼시터의 정전용량은 약 75 F/g으로 기존의 탄소기반 캐퍼시터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 값이다.

용매와 분산제의 종류에 따른 그래핀의 분산 거동 (Dispersion Behavior of Graphene with Different Solvents and Surfactants)

  • ;이향무;정인우
    • 접착 및 계면
    • /
    • 제20권2호
    • /
    • pp.53-60
    • /
    • 2019
  • 여러 종류의 용매와 상용화되어 있는 비공유결합성 분산제들을 이용하여 안정한 그래핀 분산액을 제조 하였다. 분산액은 3시간의 초음파 처리를 통하여 제조 되었으며, NMP 용매에서는 Tween 계열과 Span 계열과 Pluronic 계열의 분산제가 안정한 그래핀 분산액을 형성하였다. 또한 에탄올 용매에서는 질소를 포함한 분산제 종류가 안정한 분산액을 형성하였으며, 물과 dichloromethane에서는 모든 분산제에 대하여 대체로 불안정하였지만 poly(4-vinyl pyridine)과 sodium dodecyl sulfonate를 사용한 경우 일부 안정한 분산액을 형성 하였다. 또한 Poly(4-vinyl pyridine), poly(vinyl pyrrolidone), poly(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를 이용하여 더 큰 용량의 그래핀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본 연구는 그래핀의 분산을 위한 여러 용매 및 분산제에 대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크로모델 실험 기반 계면활성제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주입효율 향상 (Increase of CO2 Injection Ratio Using Surfactants Based on the Micromodel Experiment)

  • 강석구;정종원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12호
    • /
    • pp.55-61
    • /
    • 2022
  • 대기 중 온난화 가스의 하나인 이산화탄소 감소를 위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 중이다. 이 중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은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중요한 공법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제한된 공간의 최대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 저장을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계면활성제의 활용은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효율 증진을 위해 계면활성제 종류(sodium dodecyl sulfate 및 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 및 농도, 이산화탄소 주입속도에 따른 2차원 마이크로모델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계면활성제의 농도 및 이산화탄소 주입속도가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한계 농도 및 속도 이상에서는 더 이상 효율 증진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탄 흡착공정에 의한 과불화화합물의 제거 및 활성탄 자동재생 성능 평가 (Evaluation of perfluorinated compounds removal performance and automatic regeneration performance by activated carbon adsorption process)

  • 정진호;이상훈;윤원상;최대희;정진영;한인섭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1-134
    • /
    • 2022
  • In this study, the removal efficiency of PFCs(perfluorinated compounds) in the GAC(granule activated carbon) process based on the superheated steam automatic regeneration system was investigated in laboratory scale and pilot-scale reactor. Among PFCs, PFHxS(perfluorohexyl sulfonate) was most effectively removed. The removal efficiency of PFCs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EBCT, and the removal efficiencies of PFOA(perfluorooctanoic acid), PFOS(perfluorooctyl sulfonate), and PFHxS were 43.7, 75, and 100%, respectively, under the condition of EBCT of 6 min. Afterward, PFOA, PFOS, and PFHxS exhibited the earlier breakthrough time in the order. After that, GAC was regenerated,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PFCs before and after regeneration was compared.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PFCs removal efficiency in the regenerated GAC process were higher, and that of PFOA was improved to 75%.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easibility of the superheated steam automatic regeneration system for the stable removal of the PFCs, and it was verified that this technology can be applied stably enough even in field conditions.

흰쥐 부정소 내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5{\alpha}$-reductase 그리고 Aromatase 발현에 미치는 EDS의 영향 (Effect of Ethane 1,2-Dimethane Sulfonate(EDS) on the Expression of Steroid Hormone Receptors, $5{\alpha}$-reductase and Aromatase in the Rat Epididymis)

  • 손혁준;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187-193
    • /
    • 2007
  • Ethane 1,2-dimethane sulfonate(EDS)는 Leydig 세포의 선별적 사멸을 유도하는 약물로서 가역적인 테스토스테론 결핍 흰쥐를 만드는데 널리 사용된다. 부정소의 구조와 기능 유지는 크게 보아 정소에서 분비되는 테스토스테론에 의존적이지만, 테스토스테론으로부터 유도되는 dihydroxytestosterone(DHT)와 에스트로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EDS 주사 후 7주까지 부정소에서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cyctochrome P450aromatase(P450arom)와 $5{\alpha}$-reductase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성숙한 수컷 흰쥐($350{\sim}400\;g$)에 EDS를 1회 복강 주사하고(75 mg/kg i.p.) 주사 후 0, 1, 2, 3, 4, 5, 6, 7주가 경과한 날에 희생하였다.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은 반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 반응법(semi-quantitative RT-PCRs)으로 측정하였다. Estrogen receptor alpha($ER{\alpha}$) 전사 수준은 EDS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주사 1주후에 유의하게 상승했으나(P<0.01) 2주 후부터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Estrogen receptor beta($ER{\beta}$)의 전사 수준은 주사 1주후 EDS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했다가(P<0.05), 2주와 3주에는 감소하였고(P<0.05와 P<0.01), 4주와 6주까지는 변동폭을 보이다가 7주 후에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Androgen receptor(AR) 전사 수준은 주사 2주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다가(P<0.01) 3주 후부터는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반면, P450arom는 주사 1주 후부터 3주까지 급격하게 감소했다가(P<0.01 1주와 2주; P<0.05 3주), 4주에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5{\alpha}$-reductase type 2($5{\alpha}$-RT2)의 mRNA 수준은 4주 후 유의하게 증가했다가(P<0.01), 이후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본 연구는 EDS 주사가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들과 안드로겐 전환 효소들의 전사 활성에 가역적인 변화를 유도함을 보여준 것이다. EDS 주사 모델은 부정소의 생리 조절 기작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